메뉴 건너뛰기

SK실트론의 웨이퍼. 사진제공=SK실트론

[서울경제]

SK실트론이 올해 1분기동안 삼성전자(005930)보다 SK하이닉스(000660)에 더 많은 실리콘 웨이퍼를 판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역폭메모리(HBM)·서버용 D램 등으로 큰 돈을 벌고 있는 SK하이닉스가 최근 고전 중인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량을 앞질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6일 SK실트론이 사업보고서에서 공개한 주요 고객사 매출에 따르면, 이 회사는 1분기 동안 'A계열' 회사에 1244억 원의 웨이퍼를 판매했다. 'B계열' 회사에는 1288억 원의 제품을 팔았다. ‘A계열’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약 27% 줄었고, ‘B계열’은 32%가량 늘었다.

A계열은 삼성전자, B계열은 SK하이닉스로 추정된다. 1분기 동안 SK실트론의 웨이퍼를 가장 많이 사갔던 1등 손님은 SK하이닉스였던 셈이다.


이 기록은 상당히 의미가 있다. SK하이닉스 판매액이 삼성전자를 역전한 건 SK실트론이 2017년 SK㈜에 합병된 뒤, 분기보고서를 공시하기 시작한 2018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실리콘 웨이퍼는 반도체 칩을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원판이다. SK실트론은 일본 시네츠화학, 섬코 등과 함께 세계 글로벌 '톱3' 웨이퍼 회사로 불린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 판매액을 넘어선 이유로는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된다. △삼성전자가 구매 전략 변경으로 SK실트론의 웨이퍼 구매 비율을 줄였거나 △SK하이닉스가 SK실트론의 웨이퍼 비중을 늘렸을 공산도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최근 두 회사의 상이한 업황 변화가 SK실트론 판매 기록에 변화를 준 것에 무게를 싣고 있다.

삼성전자 메모리 사업부는 일반 D램, HBM 등에서 제품 경쟁력 약화, 기술 로드맵 지연 등으로 고전을 하고 있다. 파운드리 사업은 고객사 수주 부진으로 시설 투자액을 전년 대비 절반으로 줄이는 등 생산 능력이 저하됐다.

SK하이닉스의 HBM3E. 사진제공=SK하이닉스


반면에 SK하이닉스는 지난해부터 5세대 HBM(HBM3E) 등이 불티나게 팔리면서 10나노급 5세대(1b) 생산 능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M15X 등 신규 공장을 설립하거나 구형 팹·기존 패키징 공장을 HBM 등으로 전환 중이기도 하다.

또한 이 현상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기존 반도체 생산 능력이 큰 차이를 보이는 와중에 나타난 것이라 더욱 주목을 끌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각 사의 웨이퍼 구매 비율은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안다"며
"각 사 웨이퍼 구매 전략의 변화가 있었던 것보다 삼성전자 메모리·파운드리의 전반적인 생산량이 줄고 SK하이닉스는 약진하면서 웨이퍼 매출이 역전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SK실트론은 신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실리콘카바이드(SiC) 사업의 1분기 실적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1분기 SK실트론의 SiC 웨이퍼 법인인 SK실트론CSS (SK Siltron USA)는 61억 4700만 원의 매출, 634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매출 213억 원, 영업손실 263억 원에 대비해 매출은 크게 줄고 적자 폭 또한 크게 늘어난 셈이다.

SiC 웨이퍼는 차세대 전력 반도체용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SK실트론은 2019년 이 사업에 뛰어들기 위해 2019년 미국 듀폰의 SiC 웨이퍼 사업부를 4억 5000만 달러(약 6300억 원)에 인수했다.

그러나 기술 경쟁력과 고객사 수주 부진은 물론 업황이 기대만큼 올라오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의 차세대 산업으로 떠올랐던 이 사업은 최근 ‘리밸런싱’을 위해 SK실트론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SK그룹의 '앓는 이'로 전락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
SK그룹이 SK실트론을 매력적인 매물로 어필하기 위해 알짜인 실리콘 웨이퍼 사업만 매각하고 SiC 웨이퍼 법인은 그룹에 남겨두는 전략을 취할 수도 있다
"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763 이재명은 이틀째 ‘집토끼’ 호남 집중 유세… 김문수·이준석은 중원 공략 랭크뉴스 2025.05.16
48762 민주, 이재명 유세에 방탄유리막 설치…“경호 우려 커” 랭크뉴스 2025.05.16
48761 이재명 51%…1987년 이후, 대선 직전 지지율 역대 최고치 [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5.16
48760 헌재, 민주당 추진 ‘재판소원법’ 찬성…대법은 반대 랭크뉴스 2025.05.16
48759 “계엄에 민주주의 환기”…‘긴급조치 위반’ 46년 만에 재심 청구 이유 랭크뉴스 2025.05.16
48758 [단독]"임원들도 이코노미석 타라" 삼성 TV사업부 '비상경영' 랭크뉴스 2025.05.16
48757 이재명 “골프와 선거는 고개 쳐들면 진다” 랭크뉴스 2025.05.16
48756 60대 의사 함익병 찬조연설 “국민 일꾼은 40대 이준석”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16
48755 법원 나온 허경영, 성추행 혐의 질문에 “아니”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16
48754 권성동 "시대정신, 윤석열·이재명 동반퇴진‥尹 탈당은 스스로 판단해야" 랭크뉴스 2025.05.16
48753 "86 47, 트럼프 암살 신호"... 美, 조개껍질 사진 올린 전직 FBI 국장 수사 랭크뉴스 2025.05.16
48752 권영국 "이재명 성장 얘기할 때 아냐... 김문수는 정치를 왜 하나" [인터뷰] 랭크뉴스 2025.05.16
48751 서울 호우주의보·남양주 호우경보 발효 랭크뉴스 2025.05.16
48750 [속보] 한·미, 다음주 워싱턴서 통상 협상 2차 기술협의 개최 합의 랭크뉴스 2025.05.16
48749 김재원 "대구·경북 지지율 부진 뼈 아파‥ 80% 득표 못 하면 난관" 랭크뉴스 2025.05.16
48748 경기 남양주에 시간당 74mm 집중호우…올해 첫 긴급재난문자 발송 랭크뉴스 2025.05.16
48747 삼양식품 '불닭 매운맛' 업고 20% 불기둥…사상 첫 ‘황제주’ 등극 랭크뉴스 2025.05.16
48746 검찰, '목걸이 청탁의혹' 관련 김여사 측 前 행정관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5.16
48745 비행 중 여객기 비상문 열려 한 30대 승객 체포 랭크뉴스 2025.05.16
48744 불편하지 않은 ‘플렉스’…유튜버 선우용여는 무엇이 달랐나[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