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잇슈머니 시간입니다.

오늘도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함께합니다.

첫 번째 키워드 '누가 요즘 적금 들어요?'라고 하셨어요.

지난 시간에 은행권이 조삼모사식 고금리 예·적금 판촉을 하는데 소비자들이 알면서도 속아준다, 이런 말씀 하셨는데요.

이게 다 예·적금 금리가 너무 낮아서 벌어지는 일이지요?

[답변]

그렇습니다.

은행들이 3월 말 잇따라 예금 금리를 내렸고,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동결됐는데도 이달 들어 추가 인하에 나섰는데요.

1년 만기 은행 예금에 1% 금리 상품이 등장할 정도로 예·적금 금리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금리 대폭 인하 조짐은 4월부터 감지가 됐는데요.

한 달짜리 초단기 예금부터 연 1%대 금리 상품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뒤이어 은행의 대표 상품인 1년 만기 예·적금에도 연 1%대 금리 상품이 생긴 건데, 은행권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1%대까지 내려가는 건 2022년 이후 3년 만입니다.

[앵커]

금리가 이 정도로 낮으면 은행 예·적금을 굳이 들 필요가 있나 싶기도 한데요?

[답변]

맞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2%가 넘으니까, 1% 이자 받으면 만기에는 사실상 실질 자산이 감소한다는 얘기고, 그나마 15.4% 이자소득세까지 떼고 나면 안전하게 보관한다는 장점 이외에 돈을 장롱에 두는 것보다 나을 게 없는 상황입니다.

최근 예·적금 계좌가 빛의 속도로 사라지는 건 그래섭니다.

한은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2년 정기예금은 851만 계좌를 약간 웃돌았는데요.

2011년 처음 1,000만 계좌를 넘어섰고, 2022년엔 3,300만 계좌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코인과 주식으로 큰 수익을 경험한 데다 금리 인하로 이자 매력이 사라지면서 예·적금을 해지하기 시작한 거지요.

2023년에만 440만 개에 가까운 계좌가 해지됐고, 최근 2년 새 천만 계좌 이상 정기예금이 사라졌습니다.

하루 평균 2만 7천 개씩 예·적금을 해지했다는 얘깁니다.

[앵커]

그런데 금리 인하기라며 예·적금 금리는 내리는데, 대출 금리는 여전히 4%가 넘어서 요지부동인 것 같아요?

[답변]

맞습니다.

예·적금 금리에는 인색한 은행권이 대출 금리는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데요.

한은이 지난해 10월부터 세 차례 기준 금리를 내려서 은행권 예금 금리는 연 3%대에서 1%대까지 떨어졌지만, 대출 금리는 여전히 4%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4월 기준 4대 은행의 가계 대출 평균 금리는 연 4.3에서 4.6% 수준인데, 시장 금리 하락이 소비자들에게 내주는 예·적금에만 반영되는 건 이상한 일입니다.

다만 은행권도 사정이 없는 건 아닌데요.

시중은행 측은 금융 당국이 가계 부채를 관리하겠다는 기조라, 가산금리를 낮추거나 시장 금리 하락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데에 눈치가 보인다고 토로합니다.

하지만 말은 이렇게 해도 속으론 웃고 있을 것 같은데, 은행 수익으로 직결되는 예대금리차가 이례적으로 벌어지면서 4대 은행은 1분기 이자 장사로만 8조 6천억 원을 벌었습니다.

바꿔 말해 각 가정에선 그만큼 소비 여력이 줄어서 내수가 얼어붙었다는 뜻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75 ‘서부지법 난동’ 취재진 폭행·법원 월담 징역형…“언론 자유 크게 위축” 랭크뉴스 2025.05.16
48674 부산 테마파크 놀이기구 최고점 도달 순간 굉음·진동… 탑승객 18명 '벌벌' 랭크뉴스 2025.05.16
48673 이재명 “김상욱, 민주서 보수 실현하길 ”…김 “李 대통령 위해 최선” 랭크뉴스 2025.05.16
48672 ‘룸살롱 의혹, 입장 없다’ 하루 만에…대법 “사실관계 확인 중”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16
48671 김상욱, 유세현장서 이재명 조우‥"참된 보수 역할 앞장선 분" 랭크뉴스 2025.05.16
48670 ‘86 47은 트럼프 제거 암호?’... 美 당국, 코미 전 FBI 국장 수사 착수 랭크뉴스 2025.05.16
48669 SKT “19일부터 도서 벽지 직접 찾아가 유심 교체·재설정 서비스” 랭크뉴스 2025.05.16
48668 대법 "지귀연 부장판사 의혹, 구체적 비위 확인될 경우 법령 따라 진행" 랭크뉴스 2025.05.16
48667 "10년 새 집값 3배 가까이 뛰었다" 경기도에서 가장 아파트 가격 많이 오른 '이곳' [집슐랭] 랭크뉴스 2025.05.16
48666 중소기업 10곳 중 3곳 "자녀에 승계 안하면 팔거나 문 닫는다" 랭크뉴스 2025.05.16
48665 김문수의 ‘극우선동’ 말말말…“전광훈과 빨갱이 악령 물리칠 결심” 랭크뉴스 2025.05.16
48664 대법 "지귀연 '술접대 의혹' 확인중…비위 확인시 법령 따라 절차" 랭크뉴스 2025.05.16
48663 이재명 지지도 51%로 첫 과반…김문수 29%·이준석 8%[한국갤럽](종합) 랭크뉴스 2025.05.16
48662 호날두 시급 4,400만원···3년 연속 스포츠선수 수입 1위 랭크뉴스 2025.05.16
48661 이재명 “가짜 보수정당서 진짜 보수활동하다 쫓겨난 김상욱 어디계신가?” 랭크뉴스 2025.05.16
48660 '서부지법 난동' 취재진 폭행 등 징역 10개월…"민주주의 후퇴" 랭크뉴스 2025.05.16
48659 한동훈 "김문수, 18일 TV 토론 전까지 윤석열 부부와 절연해야" 랭크뉴스 2025.05.16
48658 "트럼프 코인 사면 디너 초대"…정치화되는 가상화폐[비트코인 A to Z] 랭크뉴스 2025.05.16
48657 대법 "지귀연 판사 의혹, 윤리감사관실서 사실관계 확인 중"(종합) 랭크뉴스 2025.05.16
48656 주한미군사령관 “한국, 일본과 중국 사이 항공모함”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