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흡연과 폐암, 주목받는 담배소송’ 심포지엄 개최
성인 1,209명 대상 ‘흡연과 폐암’ 관련 온라인 설문 결과 발표
(연합뉴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담배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500억 원대 손해배상 소송의 항소심 최종 변론을 앞둔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은 폐암 환자의 의료비를 담배회사가 부담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담배회사에 대한 책임 인식은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더 강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1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와 '흡연과 폐암, 주목받는 담배소송' 심포지엄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온라인 방식의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3월 27일부터 4월 15일까지 전국 20세 이상 성인 1209명(비흡연자 757명, 흡연자 218명, 금연자 234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4년부터 국내 담배회사(KT&G, 한국필립모리스, BAT코리아)를 상대로 총 533억 원 규모의 건강보험 급여비 환수를 위한 소송을 진행 중이다. 이는 20갑년(매일 1갑씩 20년 흡연) 또는 30년 이상 흡연한 흡연한 폐암·후두암 환자 3465명에게 지급된 진료비를 담배회사에 청구한 것으로, 항소심 최종 변론일은 오는 22일이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45.9%는 건보공단의 담배 소송을 어느 정도(34.2%) 또는 자세히(11.7%) 알고 있다고 답했다. 단순히 들어본 적 있다는 응답은 33.3%였다.

자세히 알고 있다는 응답의 경우 흡연자 그룹이 22.5%로 비흡연자(7.8%), 금연자(14.5%)보다 높았다. 들어본 적 있다는 답변은 비흡연자(39%), 금연자(24.4%), 흡연자(23.4%) 순이었다.

건보공단이 주장하는 담배회사의 의료비 부담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3.7%가 찬성했다.

그룹별 찬성률은 흡연자의 72.5%(일정 부분 부담 45.9%, 전적으로 부담 26.6%), 비흡연자의 59.8%(일정 부분 부담 38.8%, 전적으로 부담 21%), 금연자의 68%(일정 부분 부담 46.6%, 전적으로 부담 21.4%)였다.

전반적으로 흡연 여부와 상관없이 담배회사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현재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가 비흡연자나 금연자보다 이를 더 강하게 느끼는 셈이다.

'흡연이 폐암을 유발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91%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 위험도에 대한 추가 질문에는 '10배 높다'는 응답이 비흡연자의 49.1%, 금연자의 46.6%, 흡연자의 38.5% 순으로 많았다. 흡연자보다는 비흡연자와 금연자에게서 폐암 발생에 대한 위험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담배의 중독성에 대해서는 흡연자의 62.8%, 비흡연자의 70.4%, 금연자의 66.1%가 '매우 그렇다'고 응답했다. 간접흡연은 비흡연자와 금연자 그룹에서 모두 약 63%가 '매우 해롭다'고 봤다. 반면 흡연자는 절반(50%)만이 이런 인식을 보였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흡연과 폐암의 인과성을 강조하는 전문가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천은미 이화여대 의대 호흡기내과 교수는 "벤조피렌, 니트로사민, 케톤 등 담배 속 발암물질이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켜 폐암으로 이어진다는 게 지금까지 학계의 정설"이라며 "흡연은 폐암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원인으로,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이미 흡연자의 암 발병 위험이 최대 30배에 이른다고 보고했다"고 밝혔다.

권규보 법무법인 마중 변호사는 "국내 법원은 흡연과 폐암 간의 필연적 인과관계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는 담배회사의 징벌적 손해배상을 인정한 판례가 다수 있다"고 말했다.

임현정 국민건강보험공단 법무지원실 실장은 "그간 담배 소송에서 공단이 패소한 것은 2014년 대법원판결과 국가 공기업이 담배를 제조·판매한 배경, 사법 시스템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며 "이번 국민건강보험공단 소송은 인과성을 기준으로 엄격히 대상자를 선정하고, 방대한 증거와 전문가 의견을 확보해 과거와는 다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길원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회장은 "폐암 등 흡연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막기 위한 담배 소송이 시작된 지 10년이 지났다"며 "이번 소송을 통해 담배회사에 명확한 책임을 줌으로써 국민의 건강권이 보다 단단히 보호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41 젤렌스키도 '이스탄불 회담' 불참…고위급 회담은 열릴 듯 new 랭크뉴스 2025.05.16
48440 "어? 메시지 쓰고 있네?"…카카오톡에서도 메시지 입력 상태 보여준다 랭크뉴스 2025.05.16
48439 몇 시간 주무세요? 수면 부족 ‘3일’이면 심장 망가진답니다 랭크뉴스 2025.05.16
48438 사법부 공격, 이재명 방탄입법 이어가는 민주…선대위원장 말도 ‘패스’ 랭크뉴스 2025.05.16
48437 검찰, 이승기 장인 등 13명 기소…코스닥 상장사 3곳 연달아 주가조작 랭크뉴스 2025.05.16
48436 뉴욕증시, 급등 후 숨고르기…일제히 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5.16
48435 마일리지 통합 전 소진 이끈다… 대한항공·아시아나, 용처 확대 랭크뉴스 2025.05.16
48434 황정음, 회삿돈 횡령해 42억원 코인 투자…"심려 끼쳐 죄송"(종합) 랭크뉴스 2025.05.16
48433 'MB계' 이재오, 친명계와 만찬 "단순 사제지간·선후배 모임" 랭크뉴스 2025.05.16
48432 머스크의 AI 챗봇 그록, '야구 선수 연봉' 묻자 엉뚱한 답변... 논란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16
48431 김용태 “윤 전 대통령에 탈당 권고드릴 것”…국힘 최연소 수장의 ‘미지근’한 취임 일성 랭크뉴스 2025.05.16
48430 트럼프 2기 행정부도 北여행금지 유지…내년 8월까지 연장 랭크뉴스 2025.05.16
48429 "아내가 밥도 안 줘" "쓰레기 소리 들어"…전한길, 결국 한국사 강사 은퇴 랭크뉴스 2025.05.16
48428 김용태, 김건희 검찰 소환 불응에 “수사에 성역 없어야” 랭크뉴스 2025.05.16
48427 [Today’s PICK] 내수에 발목 잡힌 식품? 삼양식품·오리온 빛났다 랭크뉴스 2025.05.16
48426 “코로나 거치면서 대중의 과학화 이뤄진 걸 보고 기뻤죠” 랭크뉴스 2025.05.16
48425 제이미 다이먼 “美 침체 가능성 아직 반반” 랭크뉴스 2025.05.16
48424 한화 ‘먹거리’ 늘어난다…급식 판 바꾸는 아워홈 랭크뉴스 2025.05.16
48423 [사설] 판사 술 접대 의혹...민주당, 증거 내놓고 법원은 신속 규명을 랭크뉴스 2025.05.16
48422 경찰, 손흥민에 “임신했다” 협박한 일당 구속영장 신청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