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3 대선에 출마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6·3 대선에 출마한 주요 후보들의 지난 5개월간 지지율 변동을 통합 분석한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49.3%로 독주 체제를 이어가는 것으로 15일 나타났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25.1%였다. 이재명 후보가 50% 선을 돌파해 대세론을 굳힐지, 김 후보가 30% 지지율 벽을 뚫을지 등이 19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 최종 결과의 관건으로 꼽힌다.

경향신문 데이터저널리즘팀이 이날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팀과 함께 지난 5개월간 여러 여론조사기관에서 내놓은 결과들을 종합 분석해 지난 12일 기준으로 ‘전체 추정 지지율’을 추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재명 후보(49.3%), 김 후보(25.1%)에 이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5.7%를 기록했다.

이런 지지율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일주일이 지난 지난해 12월22일부터 5월12일까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등록된 244개 여론조사를 대상으로 추정했다. 경향신문과 한 교수팀은 개별 여론조사 결과만으로 선거 기간 여론의 세밀한 변화를 추적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각 조사기관의 특성과 오차를 고려해 조사 결과를 한 데 합치는 방법을 적용했다.

이재명 후보 최근 전체 추정 지지율은 40%대 중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4일 50.6%를 기록하며 나흘간 50%대를 기록했으나, 지난 8일을 기점으로 40%대 후반으로 내려왔다. 민주당 내에선 과반 득표율을 넘어 ‘압도적 승리’를 목표로 삼는 목소리가 많다. 선거운동 기간 무당층과 중도층 표심을 확보하는지가 역대 대선 최고 득표율 51%(박근혜 전 대통령)를 넘어설지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김 후보는 지난 11일 국민의힘 최종 후보로 확정된 뒤 25%대 지지율을 기록 중이다. 국민의힘 후보 교체 파동이 한창이던 지난 10일 지지율(21.9%)에서 일부 올라섰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나눠 가졌던 보수 표심 일부가 김 후보에게로 모인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후보 확정 뒤에도 보수 결집세 규모가 크지 않고,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지정당별 지지율에서도 이런 흐름이 확인됐다. 민주당 지지층은 이재명 후보에게 95.4%의 지지를 보냈지만,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김문수 후보 지지율이 50.9%에 그쳤다. 국민의힘 지지층 절반이 관망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무당층에선 이재명 후보 19.1%, 김문수 후보 12.7%, 이준석 후보 6.3%였다.

여론조사 결과 전체를 종합해 추정한 3자 가상대결 결과도 전체 추정 지지율과 유사했다. 지난 12일 현재 3자 가상대결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지지율 49.2%로 김 후보(30.2%)와 이준석 후보(7.4%)를 제쳤다.

지난 14일 부산·경남(PK)을 찾은 대선 주자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경향신문·연합뉴스


이번 대선의 스윙보터로 꼽히는 20~30대 표심에서도 이재명 후보 우세 구도는 유지됐다. 다만 지지세는 상대적으로 약했다. 20대 지지율은 이재명 후보 38.3%, 이준석 후보 10.8%, 김문수 후보 10.3% 순으로 나타났다. 30대 지지율은 이재명 후보 44.6%, 김문수 12.5%, 이준석 8.3%였다.

이준석 후보는 20~30대에서 전체 추정 지지율(5.7%)보다 높은 지지율을 확보하고 있어, 지지층 확장 여부가 두 자릿수 지지율 확보를 가를 변수가 될 예정이다. 최종 득표율에서 10% 미만이면 선거비용을 전혀 보전받을 수 없다.

전체 유권자 절반가량이 몰린 수도권에서는 전체 추정 지지율에 비해 김문수 후보 약세가 두드러졌다. 서울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46.2%로 앞섰고, 김문수 후보(15.6%)와 이준석 후보(4.8%)가 뒤를 이었다. 인천·경기는 이재명 후보 49.8%, 김문수 후보 18.4%, 이준석 후보 5.0% 순이었다.

여론조사 결과들을 종합분석한 각종 추정 지지율과 개별 조사결과 데이터 등은 경향신문 여론조사 ‘경향’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선일까지 일주일에 2~3차례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자세한 개별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여론조사 '경향'개별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해 추정한 통합 지지율 데이터를 제공합니다.https://www.khan.co.kr/kh_storytelling/2025/poll_2025/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02 美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시스템 해킹당해…280억원 요구" 랭크뉴스 2025.05.16
48501 [단독] 대상포진, 코로나 백신도 무료 될까… 성인 국가예방접종 확대 예고 랭크뉴스 2025.05.16
48500 [단독]더본코리아, 예산시장 ‘장터광장’ 상표권 등록 시도했었다···뒤늦게 알게된 상인들 “분통” 랭크뉴스 2025.05.16
48499 마음급한 김문수…오늘 '최대표밭' 수도권, '중원' 충청 광폭유세 랭크뉴스 2025.05.16
48498 [단독]45년 전 불법계엄의 ‘그날’도 시민편에 섰던 군인이 있었다…이재춘 씨 최초 인터뷰 랭크뉴스 2025.05.16
48497 민주, 부동산 세금 추가 규제 안 한다…文정부와 선긋기 랭크뉴스 2025.05.16
48496 “달러는 싸진다 1,250원까지” 블룸버그의 ‘촉’은 맞을까 랭크뉴스 2025.05.16
48495 [단독]“5·18 왜곡은 한국 민주주의 부정”…허위사실 유포자 단죄나선 20대 이주원씨 랭크뉴스 2025.05.16
48494 [르포] ‘천당 아래 분당’에서도 중도보수 등 돌리나…“양심이 너무 없어” 랭크뉴스 2025.05.16
48493 '미국 예산 절감' 칼 잡은 머스크...목표치 근처도 못 갔다 랭크뉴스 2025.05.16
48492 파월 "팬데믹 이후 경제환경 변화… 지속적 공급 충격 올수도" 랭크뉴스 2025.05.16
48491 이재명이 던진 'HMM 본사 부산 이전'...명분은? 효과는? [H공약체크] 랭크뉴스 2025.05.16
48490 동덕여대, ‘점거 농성’ 학생 고소 취하…남은 과제는? 랭크뉴스 2025.05.16
48489 박쥐 '유사 장기'로 신종 팬데믹 막는다…IBS, 세계 최초 개발 [팩플] 랭크뉴스 2025.05.16
48488 ‘43억 횡령’ 황정음 “회사 키우려다 미숙한 판단…부끄럽다” 랭크뉴스 2025.05.16
48487 '불닭'이 결국 일냈다…삼양식품, 애프터마켓 '황제주' [마켓시그널] 랭크뉴스 2025.05.16
48486 김문수, 경기·충청 유세…GTX·행정수도 공약 발표 랭크뉴스 2025.05.16
48485 이재명, 전북 집중 유세…청년 국악인과 간담회 랭크뉴스 2025.05.16
48484 릴레이 '관세 협상'‥오늘 한미 장관급 회담 랭크뉴스 2025.05.16
48483 경찰, “돈 안 주면 임신 폭로” 손흥민 협박한 일당 구속영장 신청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