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보스포럼’으로 널리 알려진 세계경제포럼(WEF)이 최근 창립자 클라우스 슈밥 전 회장 사임 이래 연달아 각종 의혹에 휘말면서 조직 내부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WEF의 향후 존속 가능성에도 적신호가 켜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WEF) 창립자 겸 전 회장. /연합뉴스

15일(현지 시각)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슈밥이 지난 4월 사임 의사를 밝힌 지 약 2주 만에 추가적인 내부 고발 메일이 공개돼 WEF가 공식적인 내부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조사는 스위스 로펌 홈부르거(Homburger)가 주관하며, WEF 측은 “조사가 끝날 때까지 추가적인 언급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제가 된 고발 메일에는 저서 인세 독점, 업무 추진비 남용 등 10건 이상의 의혹이 제기됐으며 상당수는 재정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졌다. FT에 따르면 슈밥은 WEF가 연구 및 편집을 지원한 일부 저서에 대해서도 인세를 독점했다는 지적을 받았으며, 그의 부인이 WEF 건물 일부를 사적으로 유용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앞서 2018년 WEF는 본사 건물 옆 초고가 주택인 ‘빌라 문디’를 약 2000만달러(약 279억원)에 매입했는데, 슈밥의 부인이 이를 전적으로 관리하며 독점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슈밥이 여성 직원에 대해 비하 발언을 했다는 증언과 그의 아들 올리비에 슈밥이 연루된 성희롱 문제 처리가 미진했다는 지적, 슈밥이 노벨평화상 후보로 지명되기 위해 WEF 직원들까지 동원했다는 주장 등이 나왔다.

슈밥은 모든 혐의를 전면 부인 중이다. 그는 “나와 아내는 수십 년간 무보수로 WEF에 헌신해왔다. 개인 재산도 꾸준히 기부했다”며 “과거 이사회와 합의한 500만 스위스프랑(약 83억 원) 상당의 보너스와 급여 인상도 수령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업무 관련 비용 역시 “이후 사비로 충당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WEF는 이미 지난해부터 간부진의 성희롱과 인종차별 등 내부 문화 문제로 한차례 진통을 겪은 바 있으며, 당시에도 슈밥 책임론이 제기됐다. 결국 그는 지난달 2일 사임을 선언, WEF는 2027년 1월까지 임기를 마무리한 뒤 후임 체제로 이양하기로 했으나 추가 고발로 인해 내부 조사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WEF와 슈밥의 지나치게 밀착된 관계에서 비롯된 당연한 수순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FT는 복수의 전·현직 WEF 관계자를 인용, “슈밥은 포럼과 자신이 분리될 수 없는 존재라고 여겼다”며 “스스로 물러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전했다. 실제로 WEF 내부에서는 오랜 기간 독단적 의사결정과 권한 집중 문제가 지적돼 왔다.

슈밥의 퇴진 이후 WEF의 향후 운영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 스위스 정부가 WEF에 국제기구 지위를 부여하면서 이사회에 슈밥 일가 최소 1명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보르게 브렌데 전 노르웨이 외무장관이 회장직을, 페터 브라베크 네슬레 전 회장이 이사회 의장직을 임시로 맡고 있다.

차기 지도부 후보로는 칼라일 그룹의 공동 창업자인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창립자의 몰락으로 포럼의 존속 자체가 흔들리게 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WEF 측은 “‘글로벌 과제 해결을 통한 국제 사회 개선’이라는 사명과 가치는 변함없다”는 입장이나, 내부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 한 고위 간부는 “WEF의 파트너 기업들이 이번 사태로 추후 행보에 제동을 걸고 있다”며 “앞으로도 이들이 WEF와 함께 할지는 기약할 수 없다”고 전했다.

한편 WEF는 1971년 슈밥이 설립한 기관으로 매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세계 각국 정치·경제 리더들이 모이는 연례 회의를 주최한다. 세계 경제와 기후 변화, 기술 혁신, 지정학적 리스크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에 대한 논의의 장으로 기능해 왔으며 2015년 국제기구로 인정받았다. 현재 약 1000개의 글로벌 기업이 정회원으로 참여 중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35 코인베이스 해킹 소식에 가상화폐 일제히 하락… 리플 6% 빠져 랭크뉴스 2025.05.16
48534 황정음, 회삿돈 43억 원 횡령…가상화폐 투자 [잇슈 컬처] 랭크뉴스 2025.05.16
48533 홍준표 "국힘, '국민의짐' 된 줄도 몰라... 새판 짜야해" 랭크뉴스 2025.05.16
48532 이재명 51.9%, 김문수 33.1%, 이준석 6.6%[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5.16
48531 거위·물고기 파란색 물들었다…브라질 호수 충격 변화, 무슨일 랭크뉴스 2025.05.16
48530 신차로 반전 노리는 아우디, 중형 세단 A5도 가세 랭크뉴스 2025.05.16
48529 주한美사령관 "주한미군 北격퇴에만 초점 아냐…역내 작전에도" 랭크뉴스 2025.05.16
48528 홍준표 “국힘, ‘국민의짐’ 된 줄 몰라…대선 끝나면 새판 짜야” 랭크뉴스 2025.05.16
48527 ‘성평등’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슬기로운 기자생활] 랭크뉴스 2025.05.16
48526 [김정하의 시시각각] 민주당의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랭크뉴스 2025.05.16
48525 홍준표 “‘국민의짐’ 된 줄 모르는 국힘, 대선 끝나면 보수 새 판 짜야” 랭크뉴스 2025.05.16
48524 트럼프 생일 '軍 퍼레이드'에 전차 24대 동원…비용만 620억원 랭크뉴스 2025.05.16
48523 오늘 천둥·번개에 돌풍까지…전국 소란스러운 봄비 랭크뉴스 2025.05.16
48522 연소득 ‘2억원’과 ‘1000만원’ 사이···모든 숫자는 양극화를 가리킨다 랭크뉴스 2025.05.16
48521 이성의 납북인사가족協 이사장 "유엔서 납북문제 조치 나서야" 랭크뉴스 2025.05.16
48520 '낑낑' 소리 들린 헌옷수거함…봉투 속 강아지 3마리 있었다 랭크뉴스 2025.05.16
48519 SK실트론, 웨이퍼 1위 손님 삼성→SK하이닉스로 바뀌었다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랭크뉴스 2025.05.16
48518 부산 롯데월드 놀이기구 굉음·진동‥"운행 중단" 랭크뉴스 2025.05.16
48517 [단독]로봇 관절 기술 1위 로보티즈, 중국 너머 중앙아시아 베팅한 이유 랭크뉴스 2025.05.16
48516 낑낑’ 소리에 헌옷수거함 뒤졌더니…강아지 3마리 봉지에 담겨 버려져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