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보스포럼’으로 널리 알려진 세계경제포럼(WEF)이 최근 창립자 클라우스 슈밥 전 회장 사임 이래 연달아 각종 의혹에 휘말면서 조직 내부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WEF의 향후 존속 가능성에도 적신호가 켜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WEF) 창립자 겸 전 회장. /연합뉴스

15일(현지 시각)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슈밥이 지난 4월 사임 의사를 밝힌 지 약 2주 만에 추가적인 내부 고발 메일이 공개돼 WEF가 공식적인 내부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조사는 스위스 로펌 홈부르거(Homburger)가 주관하며, WEF 측은 “조사가 끝날 때까지 추가적인 언급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제가 된 고발 메일에는 저서 인세 독점, 업무 추진비 남용 등 10건 이상의 의혹이 제기됐으며 상당수는 재정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졌다. FT에 따르면 슈밥은 WEF가 연구 및 편집을 지원한 일부 저서에 대해서도 인세를 독점했다는 지적을 받았으며, 그의 부인이 WEF 건물 일부를 사적으로 유용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앞서 2018년 WEF는 본사 건물 옆 초고가 주택인 ‘빌라 문디’를 약 2000만달러(약 279억원)에 매입했는데, 슈밥의 부인이 이를 전적으로 관리하며 독점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슈밥이 여성 직원에 대해 비하 발언을 했다는 증언과 그의 아들 올리비에 슈밥이 연루된 성희롱 문제 처리가 미진했다는 지적, 슈밥이 노벨평화상 후보로 지명되기 위해 WEF 직원들까지 동원했다는 주장 등이 나왔다.

슈밥은 모든 혐의를 전면 부인 중이다. 그는 “나와 아내는 수십 년간 무보수로 WEF에 헌신해왔다. 개인 재산도 꾸준히 기부했다”며 “과거 이사회와 합의한 500만 스위스프랑(약 83억 원) 상당의 보너스와 급여 인상도 수령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업무 관련 비용 역시 “이후 사비로 충당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WEF는 이미 지난해부터 간부진의 성희롱과 인종차별 등 내부 문화 문제로 한차례 진통을 겪은 바 있으며, 당시에도 슈밥 책임론이 제기됐다. 결국 그는 지난달 2일 사임을 선언, WEF는 2027년 1월까지 임기를 마무리한 뒤 후임 체제로 이양하기로 했으나 추가 고발로 인해 내부 조사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WEF와 슈밥의 지나치게 밀착된 관계에서 비롯된 당연한 수순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FT는 복수의 전·현직 WEF 관계자를 인용, “슈밥은 포럼과 자신이 분리될 수 없는 존재라고 여겼다”며 “스스로 물러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의견을 전했다. 실제로 WEF 내부에서는 오랜 기간 독단적 의사결정과 권한 집중 문제가 지적돼 왔다.

슈밥의 퇴진 이후 WEF의 향후 운영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 스위스 정부가 WEF에 국제기구 지위를 부여하면서 이사회에 슈밥 일가 최소 1명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보르게 브렌데 전 노르웨이 외무장관이 회장직을, 페터 브라베크 네슬레 전 회장이 이사회 의장직을 임시로 맡고 있다.

차기 지도부 후보로는 칼라일 그룹의 공동 창업자인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창립자의 몰락으로 포럼의 존속 자체가 흔들리게 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WEF 측은 “‘글로벌 과제 해결을 통한 국제 사회 개선’이라는 사명과 가치는 변함없다”는 입장이나, 내부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 한 고위 간부는 “WEF의 파트너 기업들이 이번 사태로 추후 행보에 제동을 걸고 있다”며 “앞으로도 이들이 WEF와 함께 할지는 기약할 수 없다”고 전했다.

한편 WEF는 1971년 슈밥이 설립한 기관으로 매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세계 각국 정치·경제 리더들이 모이는 연례 회의를 주최한다. 세계 경제와 기후 변화, 기술 혁신, 지정학적 리스크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에 대한 논의의 장으로 기능해 왔으며 2015년 국제기구로 인정받았다. 현재 약 1000개의 글로벌 기업이 정회원으로 참여 중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76 이재명 “교사, 근무 시간 외 정치 활동 보장하겠다” 랭크뉴스 2025.05.15
48275 [단독]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 영상에 ‘일본 신사’…“테스트 영상” 랭크뉴스 2025.05.15
48274 김용태 “윤석열 탈당 권고…대선 승리 위해 결단해 달라” 랭크뉴스 2025.05.15
48273 제주 대선 벽보서 사라진 '기호 8번'…"기한 내 도착 안해" 랭크뉴스 2025.05.15
48272 '이준석 얼굴' 불에 그을렸다…한밤 선거현수막 훼손, CCTV 보니 랭크뉴스 2025.05.15
48271 [일문일답] 김용태 "윤석열 전 대통령에 정중하게 탈당 권고" 랭크뉴스 2025.05.15
48270 인도에서 아이폰 더 많이 만든다는 애플, 트럼프 “하지마”[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5.15
48269 “김용태, 윤 전 대통령 자진 탈당 권고”…“내란 사과나 하라” 랭크뉴스 2025.05.15
48268 '동탄 납치살인' 피해자 호소에 손놓은 경찰, 죽음 막지 못했다 랭크뉴스 2025.05.15
48267 이재명 "尹, 왕노릇 하려다 계엄…다음 정부는 '국민주권정부'"(종합) 랭크뉴스 2025.05.15
48266 11살 아들 때려 숨지게 하고 "훈육"‥40대 아버지 징역 12년 랭크뉴스 2025.05.15
48265 ‘주가 조작 무혐의’ 임창정, 30주년 콘서트 전석 매진 랭크뉴스 2025.05.15
48264 김용태 "尹 찾아 탈당 권고할 것…대선승리 위해 먼저 결단해야"(종합) 랭크뉴스 2025.05.15
48263 이재명, 영호남 횡단 '동서화합' 유세…"경상·전라 왜 나누나"(종합) 랭크뉴스 2025.05.15
48262 이재명 당선땐 홍준표 국무총리?…양쪽 다 “사실무근” 랭크뉴스 2025.05.15
48261 김용태 “윤 찾아뵙고 정중히 탈당 권고…결단해주셔야” 랭크뉴스 2025.05.15
48260 [단독] 지하수 유출 많은 지하철역 주변 ‘빈 구멍’ 집중 발생했다 랭크뉴스 2025.05.15
48259 "선거 도움 되면 날 밟고 가라"…尹이 제시한 '탈당 조건' 속내는 랭크뉴스 2025.05.15
48258 244개 통합분석···이재명 49.3% 김문수 25.1%[여론조사 ‘경향’] 랭크뉴스 2025.05.15
48257 손흥민에게 '임신' 협박해 금품 요구한 일당 압수수색‥휴대전화 분석 랭크뉴스 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