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윤석열 전 대통령은 어제 12.3 비상계엄 이후 처음으로 법원 앞 포토라인에 섰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위헌·위법적 비상계엄에 대한 반성과 사과 한마디 내놓지 않았죠.

과거 전직 대통령들은 어땠을까요.

수사기관과 법원의 첫 포토라인에 나왔던 전직 대통령들과 윤 전 대통령의 차이를 유서영 기자가 비교해 봤습니다.

◀ 리포트 ▶

비상계엄 이후 처음 기자들의 질문을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

[윤석열 전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사과하실 생각 있나요?〉 ……."

오전, 오후 모두 네 차례 법원을 드나들 때마다 질문이 이어졌지만, 윤 전 대통령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계엄에 대한 사과나 반성도 없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사과하실 생각 없으십니까?〉 ……."

윤 전 대통령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는 이유를 묻자 변호인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윤갑근/윤석열 전 대통령 변호인]
"비상계엄을 정상적으로 행사한 것이 이게 헌재로 이어지고 내란으로 지금 의율돼서 되고 있다, 그 상황이 조기대선으로 이어졌고 대선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대통령께서 이 얘기를 자꾸 말씀드리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헌법재판소가 불법 비상계엄을 확인하며 파면 결정을 했는데도, 내란몰이라는 주장을 반복하고 있는 겁니다.

전직 대통령들은 수사나 재판을 앞두고 적어도 국민들에게 머리는 숙였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2018년 3월)]
"국민 여러분께 죄송스럽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2017년 3월)]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2009년 4월)]
"면목 없습니다."

30년 전에도 그랬습니다.

[노태우(1995년 11월)]
"국민 여러분께 죄송합니다."

사과하지 않은 건 윤 전 대통령과 같은 내란 수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전두환 씨뿐이었습니다.

[전두환(1995년 12월)]
"어떤 조치에도 협조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윤 전 대통령은 최근 "단결하면 승리할 수 있다"며 같은 당 김문수 후보를 지지하는 메시지를 냈습니다.

자신의 파면 때문에 치러진 조기 대선인데도, 사과 없이 지지층 단결만 호소한 겁니다.

파면으로 관저를 나왔을 때 이웃 주민들에게는 "다 이기고 돌아온 거니까 걱정마라, 어차피 5년 하나 3년 하나"라는 말도 했습니다.

법원이 공개 출석 방침을 이어간다면 윤 전 대통령은 오는 연말까지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기자들의 질문을 피할 수 없는데, 계속 침묵할지 관심이 쏠립니다.

MBC뉴스 유서영입니다.

영상편집: 이정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77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2명 모두 실형…법원 "모두가 피해자"(종합) 랭크뉴스 2025.05.14
47676 [속보] ‘서부지법 사태’ 첫 선고…‘폭력 난입’ 2명 모두 실형 랭크뉴스 2025.05.14
47675 "죽어도 싫다"더니 연인 되는 '혐관 로맨스'... 왜 계속 인기일까 랭크뉴스 2025.05.14
47674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남성 2명 모두 실형 랭크뉴스 2025.05.14
47673 “尹, 이르면 오늘 ‘자진 탈당’ 가능성…선거 변곡점 될듯” 랭크뉴스 2025.05.14
47672 "우파 연예인들이 선거 돕겠다"... 김흥국 등 10명, 김문수 지지 선언 랭크뉴스 2025.05.14
47671 제한속도 30㎞ 초과해 사망사고 낸 30대 운전자 무죄, 왜? 랭크뉴스 2025.05.14
47670 삼성전자,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 독일 플랙트 2조3700억원에 인수 랭크뉴스 2025.05.14
47669 [속보]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30대 男 징역 1년6개월, 20대 男 징역 1년 랭크뉴스 2025.05.14
47668 홈플러스, 임대료 협상 결렬…17개 점포 계약 해지 통보 랭크뉴스 2025.05.14
47667 [속보]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30대 男 징역 1년6개월 랭크뉴스 2025.05.14
47666 이재명 48.2% 김문수 29.8% 이준석 7.7%…보수 결집 추세 랭크뉴스 2025.05.14
47665 이정헌 "방탄유리막 제작 시작‥빨리 설치해야" [모닝콜] 랭크뉴스 2025.05.14
47664 [대선공약] 이재명·김문수 '증시 부양' 한목소리…상법 개정은 입장차 랭크뉴스 2025.05.14
47663 “공조산업이 미래 성장동력” 삼성전자,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 ‘플랙트그룹’ 인수···2조원대 ‘빅딜’ 랭크뉴스 2025.05.14
47662 “국힘과 절연” 홍준표에 권영세 “타고난 인성 어쩔 수 없나 보다” 랭크뉴스 2025.05.14
47661 [단독] 전세사기 주택 '셀프 낙찰' 지난해만 '971건'...10년 새 최대치 랭크뉴스 2025.05.14
47660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물었더니... 반대 43%·찬성 38% 랭크뉴스 2025.05.14
47659 4월 취업자 19만4000명↑…청년·건설·제조업 고용은 한파 지속 랭크뉴스 2025.05.14
47658 김용태, '윤석열 거취' 두고 "고민 중‥곧 말씀드릴 것"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