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글을 배우고 싶어서 간 야간학교도 아버지가 몽둥이를 들고 쳐들어오는 바람에 글을 못 배웠다.” “글을 보면 나는 꽃을 본 나비처럼 훨훨 날아가는 것 같다.”

지난달 부산시교육청이 시행한 검정고시 초등 부문 최고령 합격자인 박경자씨. 사진 박경자
지난달 부산시교육청이 시행한 초등 검정고시 최고령 합격자인 박경자(92ㆍ해운대구 반송동)씨가 쓴 시 ‘글이 너무 좋다’에 담긴 구절이다. 초등 부문 기준 부산에선 물론 전국 최고령 합격자다. 박씨는 13일 통화에서 “말로는 다 못할 만큼 고단한 삶을 살았다. 내 삶을 글로 옮길 수 있게 된 것도, 좋은 선생님 덕에 시험에 합격한 것도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13살 소녀 때 새긴 ‘못 배운 한’
박씨는 1933년 부산 영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전남 흑산도, 어머니는 경남 김해 출신이어서 어린 시절 이들 지역을 오가며 살았다고 한다. 그는 “김해에 살던 때 일본 학교엔 조금 다닌 적이 있지만, 한글을 배우지 못했다”고 했다.

‘글이 너무 좋다’에 쓴 야간학교 이야기는 박씨가 실제 겪었던 일이다. 그는 “글이 배우고 싶어 13살 때 야간학교를 찾아갔는데, 그때 아버지가 몽둥이를 들고 (야간학교에) 나를 데리러 왔었다”며 “아버지는 여자가 글을 배우거나 밖으로 나돌면 안 된다고 호통을 쳤다. 그래서 글 배우기를 포기했는데, 이게 평생의 한으로 남았다”고 말했다.



“7남매 건사하려 16가지 일했다”
어른이 돼 결혼을 하고 나서는 글공부할 시간이 없었다고 한다. 박씨는 “7남매를 낳고, 먹여 살려야 했다. 조선소 배 수리, 고기잡이, 옷 짓는 일 등 잠도 제대로 못 자고 16가지 일(직업)을 닥치는 대로 했다”고 회상했다.

지난달 부산시교육청이 시행한 검정고시 초등 부문 최고령 합격자인 박경자씨가 쓴 시. 박씨의 시엔 그의 인생 이야기가 담겼다. 사진 박경자
박씨의 남편은 40년 전 암으로 숨졌고, 슬하 7남매 중 두 아들도 2010년, 2016년 무렵 떠나 보냈다. “자식을 먼저 보낸 슬픔을 견딜 수 없었다”는 게 박씨 설명이다. 그러던 중 박씨는 5년 전 동네를 지나다 우연히 ‘파랑새 복지관에서 한글을 가르쳐준다’는 안내를 봤다.

그는 “교회를 다니면서 어깨너머로 배워 조금은 읽을 수 있었다. 그 덕에 안내를 알아봤다”며 “퇴행성 관절염 때문에 다리가 많이 불편하지만, 복지관은 집이 가까워 걸어 다닐 수 있었다. 무엇보다 글을 제대로 배우고 싶다는 열망이 컸다”고 했다.

복지관에서 글을 배우는 동안엔 쑤시는 듯한 퇴행성 관절염의 통증도, 자식을 보낸 허전함도 잠시 잊을 수 있었다고 한다. 마음껏 읽고 쓸 수 있게 된 박씨는 시화전에 작품을 내 몇차례 입선도 했다. ‘글이 너무 좋다’처럼 그가 쓴 시엔 모두 인생 이야기가 담겼다.



“어머님은 할 수 있어요” 용기 준 선생님 말
검정고시에 응시하게 된 계기에 대해 박씨는 “2, 3년쯤 전 복지관 이영지 선생님이 검시를 준비해보라고 권했다. ‘어머님이라면 할 수 있다’는 선생님 말씀이 정말 큰 응원이 됐다. 국어뿐 아니라 사회, 수학, 과학 같은 과목을 공부해야 했는데 선생님이 친절히 가르쳐주셨다”며 고마움을 표했다.

박경자씨가 복지관에서 시화전에 낼 작품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박경자
지난해 처음 치른 시험에선 낙방했다. 초등 검정고시는 필수 4과목(국어ㆍ수학ㆍ사회ㆍ과학)과 선택 2과목(도덕ㆍ체육ㆍ음악ㆍ미술ㆍ실과ㆍ영어 중 택2)에 응시해 평균 60점을 넘겨야 합격한다. 그는 “작년엔 시험이 쉽다고 생각했는데도 떨어졌다. 올해는 시험이 어렵다고 느껴져 걱정했는데 오히려 붙었다”며 “가장 어려웠던 과목은 국어다. 정해진 시간 안에 글을 다 읽고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게 어렵게 느껴진다”고 했다.

박씨에겐 중등검시에 도전하고픈 마음도 크다. 하지만 배울 곳이 마땅찮다고 한다. “중등 공부를 가르쳐주는 곳이 있지만 버스를 두세번 갈아타야 하고 거리도 멀다. 아픈 다리를 이끌고 그 먼 길을 다니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하는 박씨 목소리엔 진한 아쉬움이 느껴졌다. 다만 그는 “글을 배우면서 시를 쓰고 그림 그리는 일은 계속해서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교육청 전경 (부산=연합뉴스) 부산광역시 교육청 전경 DB. 2014.4.11 (끝) 〈저작권자 ⓒ 2014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43 멕시코 동부서 시장 후보, 유세 중 피살… "20발 총성 생중계" 랭크뉴스 2025.05.14
47542 전광훈 “천만명 가입 땐 백만원 연금” 광고, “가능성 없어” 거짓 아니다? 랭크뉴스 2025.05.14
47541 ‘재매이가 남입니까”…TK 민심 다지는 이재명, 전국 압승 노린다 랭크뉴스 2025.05.14
47540 美 4월 CPI 안정됐지만…‘널뛰기 관세’에 연준 동결 길어질 듯 랭크뉴스 2025.05.14
47539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검찰서 구속 청구…"수사감찰 의뢰" 랭크뉴스 2025.05.14
47538 빈 살만 만난 트럼프, 850조원 투자유치…'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 랭크뉴스 2025.05.14
47537 [속보] 트럼프 "美국무, 튀르키예에서 열리는 우크라종전 협상에 참석" 랭크뉴스 2025.05.14
47536 정명훈 ‘라 스칼라’ 깜짝기용, 베니스의 인연도 한몫 랭크뉴스 2025.05.14
47535 갓난아이가 사고, 금 구입에 쓰고… 변질되는 온누리상품권 랭크뉴스 2025.05.14
47534 李 “중국에 셰셰, 틀린 말 했나… 러시아와도 관계 잘 유지해야” 랭크뉴스 2025.05.14
47533 ‘코로나 저금리’ 영끌족 후폭풍… 서울 주담대 연체율 역대 최고 랭크뉴스 2025.05.14
47532 카타르 왕실서 선물한 5600억 전용기…트럼프, 에어포스원 불가능? 랭크뉴스 2025.05.14
47531 “음주운전 깊이 반성, 선처해달라”…검찰, ‘환승연애2’ 김태이에 징역 2년 구형 랭크뉴스 2025.05.14
47530 [사설] 대선후보들 “AI·반도체 강국”…규제 혁파 등 실천 방안 제시하라 랭크뉴스 2025.05.14
47529 연필보다 얇은데 성능은 울트라급…베일 벗은 S25 엣지 랭크뉴스 2025.05.14
47528 [단독] ‘탄핵이 필요한 거죠’ 윤석열 풍자 고소 KTV, 결국 소 취하 랭크뉴스 2025.05.14
47527 美, 대테러 비협력국에 쿠바 재지정…북한 29년 연속 포함 랭크뉴스 2025.05.14
47526 "학생이 폭행까지, 교권 추락에 젊은 교사들 다 떠난다"…교원 90% "이탈 심각" 랭크뉴스 2025.05.14
47525 여권 요구후 숙박 거부한 日호텔 손배소…재일교포 3세女,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5.14
47524 [사설] 돈 쓰겠다는 공약만 있고, ‘얼마나’ ‘어떻게’가 없다니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