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육부 '2024년 교육활동 침해 실태 조사' 결과
초등 교권 침해 20.8% 증가… 상해·폭행도 늘어
교원단체 “실질적 처벌·복귀 보장 시스템 필요”
2023년 8월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서울 서의초 사건' 피해 교사 추모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진상규모를 요구하는 전단물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왜 우리 애한테 미소를 안 지어줘요?" "알림장을 왜 간단히 써주나요?"


초등 교사인 A씨는 한 학부모로부터 이런 내용의 문자와 전화를 수시로 받았다. 자신의 아이에게 더 상냥하게 대해 달라는 등 사소한 민원이었다. 학부모는 수업 시간 중에도 A 교사의 업무용 휴대전화로 자주 전화했다. 수업에 집중하기 어려웠던 A 교사가 이 사실을 교장 등에게 알리자 문제의 학부모는 자녀의 말 등을 토대로 A 교사의 행동 중 아동학대로 신고할 거리를 찾겠다며 협박했다.
김지현 초등교사노조 교권사업국장은 "한 반 20여 명의 아이들을 가르쳐야 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만 바라보고 맞춰달라'는 식으로 요구하는 부모가 있다"
며 "A 교사가 당한 일은 흔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젊은 교사가 학부모 민원 등에 힘들어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서울 서이초 사건(2023년) 이후 '교사의 교육활동을 보호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커졌지만 교권 침해는 여전히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폭행당하는 일도 적지 않지만 교사들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중학교에서 발생한 교육활동 침해가 가장 많아



이런 실상은 교육부가 13일 발표한 '2024학년도 교육활동 침해 실태 조사' 결과에 담겼다. 조사는 지난해 1·2학기에 전국 시도 교육청에서 열린 지역교권보호위원회(교보위) 현황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교보위는 교사의 교육활동이 침해받았을 때 이를 보호하고 가해 학생이나 학부모를 조치하려고 만든 기구다. 가해 행위의 심각성과 고의성, 반복성 등을 기준으로 판단해 가해자에 △학내 봉사 △사회봉사 △특별교육 또는 심리치료 △출석정지 △학급교체 △전학 △퇴학 등의 처분을 내릴 수 있다.

텅 빈 교실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교육활동 침해가 늘었다.
초등학생과 학부모가 저지른 교권침해 탓에 열린 교보위는 지난해 704건으로 전년(583건)보다 20.8% 증가했다
. 같은 기간 유치원과 초중고, 특수학교 등 전체 학교의 교보위 개최 건수는 16.2%(5,050건→4,234건) 줄어든 것과 대비된다. 초등 교실에서 교육활동을 침해한 가해자 중 70%는 학생이었고 나머지 30%는 학부모였다.
학교급 중 교보위가 가장 많이 열린 학교는 중학교(2,350건)였다.


또 강력범죄 유형의 교권 침해가 늘었다.
교사를 상해·폭행해 열린 교보위는 2023년 503건에서 지난해 518건으로 증가했고 불법 촬영 등 성폭력 범죄도 125건에서 157건으로 늘었다
. 유형별 비율을 보면 교육활동 방해가 29.3%로 가장 많았고, 모욕·명예훼손(24.6%) 상해·폭행(12.2%) 성적 굴욕감·혐오감(7.7%) 성폭력 범죄'(3.7%) 순이었다.

"교사 보호 못 하면 평범한 학생들이 피해 봐"



교원단체들은 교보위가 여전히 교사를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4년부터 교권 침해 사안이 발생하면 이를 의무적으로 신고하게 됐지만 교보위가 가해자에 내리는 처분은 대부분 '사과 및 특별교육' 위주에 그칠 뿐 보호자 고소·고발(지난해 14건)과 퇴학(54건)은 많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황지혜 중등교사노조 사무처장은 "교사가 교육 활동 침해를 당한 후 수업을 이어가려면 서면 사과나 교육이 아니라 실효적 처벌과 복귀 보장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국장도 "교사들은 자신을 심하게 괴롭히는 학생이나 부모가 반에 한 명만 있어도 위축돼 제대로 된 교육 활동을 하기 어렵다"면서 "이에 따른 피해는 대부분의 평범한 학생들이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61 박종철 선배 박종운, 농사짓다 온 차명진…김문수의 외인구단 [대선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5.14
47560 38년 복역 후 살인죄 벗은 英남성…"잘못된 일이지만 분노 안해" 랭크뉴스 2025.05.14
47559 '장밋빛 청사진' 쏟아냈지만, 로드맵·재원은 흐릿... 다양성 가치도 실종[H공약체크] 랭크뉴스 2025.05.14
47558 이재명 지지율 40% 초반이면…김문수·이준석 단일화 커진다[대선 맥짚기] 랭크뉴스 2025.05.14
47557 美재무 "정부교체기 韓, 선거본격화 전에 매우좋은 제안 갖고와"(종합) 랭크뉴스 2025.05.14
47556 칸 명예황금종려상 드니로 "트럼프, 속물 대통령" 랭크뉴스 2025.05.14
47555 어린이집 졸업사진 찍다 6세 여아에 '볼뽀뽀'한 사진기사…법원 판단은? 랭크뉴스 2025.05.14
47554 불탄 집터에 묶인 마당개들…집이 생겼습니다 [개st하우스] 랭크뉴스 2025.05.14
47553 "처음간 호텔 와이파이 자동연결, 남친이 '바람' 의심하는데 어쩌죠?" 랭크뉴스 2025.05.14
47552 머스크 "스타링크, 사우디 내 항공기·선박에 위성인터넷 제공"(종합) 랭크뉴스 2025.05.14
47551 "딸 지켜주지 못한 죄책감에 숨 막혀"…'서천 묻지마 살인' 피해자 부친의 절규 랭크뉴스 2025.05.14
47550 "엄마, 물에서 이상한 맛이 나요"…3살 아이가 비행기에서 마신 '음료' 알고보니 랭크뉴스 2025.05.14
47549 美전문가 "韓, 중국이 대만공격 않도록 설득하는 외교 해야" 랭크뉴스 2025.05.14
47548 푸틴, 이스탄불 협상장 갈까…크렘린궁 "대표단 발표는 나중에"(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14
47547 머스크 "스타링크, 사우디 내 항공기·선박에 위성인터넷 제공" 랭크뉴스 2025.05.14
47546 검찰, 김건희 14일 출석 통보…‘윤 부부 공천개입’ 의혹 랭크뉴스 2025.05.14
47545 中 국무원 “14일부터 對美 추가 관세율 125→10%”… 무역 합의 이행 랭크뉴스 2025.05.14
47544 트럼프, “사우디 방문으로 대미투자 1조달러 늘어”…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 랭크뉴스 2025.05.14
47543 멕시코 동부서 시장 후보, 유세 중 피살… "20발 총성 생중계" 랭크뉴스 2025.05.14
47542 전광훈 “천만명 가입 땐 백만원 연금” 광고, “가능성 없어” 거짓 아니다?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