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욕 브루클린 500 메트로폴리탄 에비뉴 시니어론’ 펀드, 부실채권 매각 예정

국내 기관 투자자들이 미국 뉴욕 부동산 개발 사업에 투자하기 위해 1억3300만달러(약 1872억원) 규모로 조성한 ‘뉴욕 브루클린 500 메트로폴리탄 에비뉴 시니어론’ 펀드가 약 24%의 손실을 보고 부실 채권으로 매각된다.

손실도 문제지만, 부실 채권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잡음이 나오고 있다. 일부 투자사는 채권 매각을 주도하는 NH투자증권이 독단적으로 거래를 진행해 손실률을 키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다만 NH투자증권은 이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했다.

일러스트=챗GPT 달리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국내 기관 투자자들은 미국 뉴욕 브루클린 500 메트로폴리탄 호텔 부동산을 담보 선순위로 한 대출 펀드의 채권을 미국 사모펀드인 패럴론 캐피탈 매니지먼트(Farallon Capital Management)에 매각하기로 했다. 매각 대금은 1억200만달러(약 1434억원)다.

한강자산운용은 2019년 뉴욕 브루클린 윌리엄스버그 ‘500 메트로폴리탄’ 개발 사업에 대출을 하기 위해 펀드를 조성했다. 차주는 기존 대출 상환과 입점 호텔 안정화 비용에 사용하겠다며 펀드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대출 기간은 2019년 5월부터 2023년 6월까지, 금리는 연 6.13%로 투자사들은 이 기간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이듬해 터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호텔 개발 사업이 차질을 빚으면서 문제가 시작됐다. 차주는 대출 이자를 상환할 수 없게 됐고, 이들에 대출을 내준 펀드도 함께 부실화됐다. 부실 사태는 대출 만기일까지 이어지면서 대주단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출 채권 매각에 나섰고, 최근 매각 대상을 패럴론 캐피탈로 정했다. 이번 거래는 대주단 중 한 곳인 NH투자증권이 주도해 이뤄졌다.

투자 원금을 포함해 투자자들이 당초 예상했던 수익과 4년 간의 연체 이자 규모는 1억7000만달러에 이른다.

하지만 매각가는 이에 한참 못 미치는 규모로 제안을 받았다. 이 중 패럴론 캐피탈은 최초 1억2100만달러를 제시하면서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 하지만 협상 과정에서 패럴론 캐피탈은 수차례 가격 수정을 요청, 최종 제안 가격이 1억200만달러로 정해졌다. 이번 펀드에 투자한 투자사는 당초 기대했던 수익까지 고려하면 손실률이 40%에 달한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투자사들은 손실을 감수하고서라도 부실 채권을 매각하는 데 뜻을 모았으나, 손실 규모에 대해서는 이견이 나온다. 일부 투자사는 채권 매각을 주도한 NH투자증권이 손실 규모를 더 키웠다고 주장한다. 손실률을 24%에서 20%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데, 굳이 낮은 가격을 제시한 곳에 매각할 이유가 없었다는 것이다.

대주단 한 관계자는 “채권 매입 의향을 보인 곳 중 훨씬 유리한 조건을 제시한 곳이 있었다”며 “이곳이 조건을 걸기 전에 패럴론 캐피탈과 투자의향서를 체결한 것은 사실이나, 협상 초기부터 잡음이 있었고 매각가도 하락해 268억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했다”고 했다.

반면 NH투자증권은 협상 과정에서 대주단의 합의가 있었고, 대주단 사이에서 이번 거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나온 적도 없다고 밝혔다.

다만 대주단의 대화 내용에서는 이들 사이에 갈등이 있었던 점이 확인된다. 감내해야 할 손실 규모를 두고 투자사들 사이에 이견이 있던 것은 맞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NH투자증권은 아직 거래가 마무리되지 않은 만큼 구체적인 사안은 밝힐 수 없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76 방탄복 입고 출정식 등장한 李… 저격 방비 풍선·방탄유리 검토 랭크뉴스 2025.05.13
47175 여성 후보 없는 대선···함께 실종된 ‘여성 의제’에 커지는 우려 랭크뉴스 2025.05.13
47174 "최소 2~3년은 버텨야" 쥐어짜서 살아남는 대형 건설사들[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5.13
47173 이재명·김문수·이준석, 오늘 TK서 3자 격돌 랭크뉴스 2025.05.13
47172 “경제 붕괴 피했다”…관세 전쟁 ‘전격 휴전’에 증시 ↑ 경기 침체 확률 ↓ 랭크뉴스 2025.05.13
47171 신정부 출범 2020년대 후반기…한국 경제 어떻게 될 것인가[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랭크뉴스 2025.05.13
47170 칸영화제 앞 세계 배우·감독 "가자 제노사이드 침묵할 수 없다" 랭크뉴스 2025.05.13
47169 스스로 응급실 찾은 40대, ‘치료비 지불’ 요구에 흉기 난동 랭크뉴스 2025.05.13
47168 '사망사고' 야구장‥'부실 점검' 뒤 재개장? 랭크뉴스 2025.05.13
47167 홍준표에 막걸리 제안한 이재명, '홍준표 책사'까지 끌어안았다 랭크뉴스 2025.05.13
47166 이재명, 첫 유세 소감 "광화문 인파 놀라…'K이니셔티브' 첫걸음" 랭크뉴스 2025.05.13
47165 5·18 광주 지켰던 미국인 "12·3 계엄 날 나도 밤잠 설쳤다... 사회 분열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5.13
47164 "애플, 올해 출시 아이폰 가격인상 검토"…대중 관세 영향 받나 랭크뉴스 2025.05.13
47163 이재명·김문수·이준석, 오늘 이곳서 3자 격돌 랭크뉴스 2025.05.13
47162 이재명 독주 속 변수? 김문수와 이준석의 단일화 [김성탁의 이슈 해부] 랭크뉴스 2025.05.13
47161 기업 유치는 이렇게…美 조지아주, 현대차 공장 옆에 '신공항' 만들어준다 랭크뉴스 2025.05.13
47160 ‘모래톱 셀카’ 경쟁 중국-필리핀…남중국해의 긴장, 대만·한반도 못지 않다 랭크뉴스 2025.05.13
47159 [르포] 페라리·롤스로이스·마이바흐… 럭셔리카 몰리는 스페인 이비사 랭크뉴스 2025.05.13
47158 [단독] 낯뜨거운 감사원 ‘감나무숲’… 실명 전환 뒤 충성 경쟁 통로로 랭크뉴스 2025.05.13
47157 "놀랄 만큼 빠르게 변화"‥김문수, 계엄 첫 사과 랭크뉴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