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숙자 야영지 철거·단속 강화 지침…"더는 변명 안 통해"
차기 대선 출마 대비 행보 해석…민주당 이탈 표심 잡기


개빈 뉴섬 미 캘리포니아 주지사
[EPA=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미국 민주당의 '대권 잠룡'으로 꼽히는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지역 내 가장 큰 골칫거리로 꼽히는 노숙자 문제 해결에 발 벗고 나섰다.

뉴섬 주지사는 12일(현지시간) 노숙자 야영지 문제 해결을 위해 캘리포니아의 도시와 카운티 정부에 노숙자 야영지 철거 및 지원대책 실행을 촉구하는 시범 조례를 발표했다.

지난해 7월 노숙자 야영지를 긴급히 철거하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을 발령한 데 이어 실행을 촉구하는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한 것이다.

아울러 주민 투표를 통해 주(州) 채권 조달이 승인된 노숙자 대책 예산 33억달러(약 4조7천억원)를 이날 오후 주 전역에 배분해 보냈다고 캘리포니아주 정부는 밝혔다.

뉴섬 주지사는 "우리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주 정부 투자금을 전달했다"며 "이제 우리는 각 지방 정부가 즉시 실행할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들(노숙자들)이 보호소, 주택, 돌봄에 연결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행동하지 않는 시간은 끝났다"며 "더 이상의 변명은 통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캘리포니아주 정부가 발표한 조례에는 ▲ 특정 장소에서의 지속적인 야영 금지 ▲ 보도 통행을 방해하는 텐트 설치 금지 ▲ 지역 관료가 야영지 철거 전 미리 통지하고, 노숙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보호소를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할 의무 등이 포함됐다.

이 조례에는 노숙자에 대한 형사 처벌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공장소에서의 노숙자 야영을 불법 행위로 규정했다.

미 LA 시내 점령한 노숙자 텐트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 연방 주택·도시개발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캘리포니아의 노숙자 인구는 18만7천84명으로 추정돼 미국의 모든 주 가운데 최대치를 기록했다. 비율로 따지면 미 전체 노숙자 인구(77만1천480명) 중 24.3%를 차지한다.

뉴섬 주지사는 지난해 노숙자 인구가 전국적으로 18% 이상 증가했지만, 캘리포니아는 3% 수준으로 다른 40개 주보다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강조했다.

미 언론은 노숙자 문제 해결에 역점을 두는 뉴섬 주지사의 최근 행보가 차기 대선 출마를 위한 포석일 수 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노숙자 문제는 캘리포니아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 중 하나로 부상했으며, 뉴섬이 전국 선거에 출마할 경우 그를 분명히 괴롭히는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전국에서 가장 유명한 민주당 정치인 중 한 명이 노숙자 야영지 금지에 나선 것은 민주당의 노숙자 문제 접근 방식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짚었다.

NYT는 이런 변화가 노숙자 문제에 대해 점점 불만이 커지고 있는 캘리포니아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했다.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여론연구센터의 지난달 여론 조사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주의 민주당 지지층에 속하는 유권자 중 약 40%가 공원을 점령하고 인도 통행을 방해하는 노숙자 텐트에 지쳤다면서 보호소 수용을 거부할 경우 노숙자 체포를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81 삼성, 역대 가장 얇은 '갤럭시 S25 엣지' 공개…5.8mm 두께 랭크뉴스 2025.05.13
47180 진성준 "25만원 민생지원금, 집권 후 경제상황 살펴 판단" 랭크뉴스 2025.05.13
47179 “일단 집은 샀는데”...‘영끌족’들 어쩌나 랭크뉴스 2025.05.13
47178 불황에 돌아온 '햄버거 한 끼'‥피자도 간편식으로 랭크뉴스 2025.05.13
47177 저출생에도 결국 학군지로 이사…얼어붙은 시장 속 대치동·목동 신고가[집슐랭] 랭크뉴스 2025.05.13
47176 방탄복 입고 출정식 등장한 李… 저격 방비 풍선·방탄유리 검토 랭크뉴스 2025.05.13
47175 여성 후보 없는 대선···함께 실종된 ‘여성 의제’에 커지는 우려 랭크뉴스 2025.05.13
47174 "최소 2~3년은 버텨야" 쥐어짜서 살아남는 대형 건설사들[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5.13
47173 이재명·김문수·이준석, 오늘 TK서 3자 격돌 랭크뉴스 2025.05.13
47172 “경제 붕괴 피했다”…관세 전쟁 ‘전격 휴전’에 증시 ↑ 경기 침체 확률 ↓ 랭크뉴스 2025.05.13
47171 신정부 출범 2020년대 후반기…한국 경제 어떻게 될 것인가[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랭크뉴스 2025.05.13
47170 칸영화제 앞 세계 배우·감독 "가자 제노사이드 침묵할 수 없다" 랭크뉴스 2025.05.13
47169 스스로 응급실 찾은 40대, ‘치료비 지불’ 요구에 흉기 난동 랭크뉴스 2025.05.13
47168 '사망사고' 야구장‥'부실 점검' 뒤 재개장? 랭크뉴스 2025.05.13
47167 홍준표에 막걸리 제안한 이재명, '홍준표 책사'까지 끌어안았다 랭크뉴스 2025.05.13
47166 이재명, 첫 유세 소감 "광화문 인파 놀라…'K이니셔티브' 첫걸음" 랭크뉴스 2025.05.13
47165 5·18 광주 지켰던 미국인 "12·3 계엄 날 나도 밤잠 설쳤다... 사회 분열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5.13
47164 "애플, 올해 출시 아이폰 가격인상 검토"…대중 관세 영향 받나 랭크뉴스 2025.05.13
47163 이재명·김문수·이준석, 오늘 이곳서 3자 격돌 랭크뉴스 2025.05.13
47162 이재명 독주 속 변수? 김문수와 이준석의 단일화 [김성탁의 이슈 해부] 랭크뉴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