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 - 6.3 대선주자 탐구 6.3 대선에 도전장을 내민 사람들. 나라를 맡겠다는 그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그들이 언제 어떻게 정치 무대에 올랐는지, 정치를 하기 전에는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기억하시나요? 세월이 바꾸는 건 강산만이 아닙니다. 노래 가사처럼 사람들은 모두 변하고 세상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6.3 대선주자 탐구(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2)’입니다. 그들의 사상과 전략, 공약, 지지 기반 같은 것에 천착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들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면서 탄생과 성장과 사랑과 투쟁의 이야기, 즉 땀냄새나는 삶 속으로 들어가 보려 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선주자 탐구-이준석②

2010년 명문대 졸업생들의 '공부 기부' 문화가 확산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이목을 끌었다. 당시 '배움을나누는사람들'을 설립한 하버드대 졸업생 이준석. 중앙포토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홍보팀이죠? 서울과학고 학생회 부회장 이준석이라고 합니다. 혹시 저희 학교에 컴퓨터를 기증해주실 수 있을까요?”

2002년, 당시 고등학교 2학년이던 이준석 학생(이하 경칭 생략)이 제안한 내용은 이랬다. 그해 치러진 부산아시안게임, 한·일 월드컵의 공식 후원사인 삼성전자가 두 대회의 홍보 부스에 전시했던 컴퓨터를 기증해줄 수 있느냐는 것이었다.

“학교 시설이 별로 안좋았어요. 특히 컴퓨터는 1997년 빌 게이츠 사준 걸 5년째 쓰고 있었죠. 낡은 컴퓨터 문제를 해결하려고 머리를 굴리다 아시안게임이 떠올랐죠.”

이준석의 제안을 받은 삼성전자는 학교로 확인 전화를 걸어왔다. 교사들은 이준석을 불러 “왜 그런 구걸을 하고 다니냐, 우리가 거지냐”며 호되게 꾸짖었다. 하지만 며칠 뒤 서울과학고로 2500만원 어치의 삼성전자 컴퓨터가 배송됐다.

“그때 어렴풋이 깨닫게 됐죠. 문제가 있을 때 정체된 상태 그대로 두고 보지 말고 뭔가 하려고 발버둥치면 하나라도 달라지는구나. 그리고 나는 그런 변화를 만들 때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구나.”

프로그래머를 꿈꾸던 이준석으로 하여금 정치인으로서 자질을 자각하게 한 사건이었다.

이준석을 하버드에 보낸 건 김대중·노무현이었다 이준석은 당시의 여느 과학고 학생들처럼 2학년을 마치고 조기졸업한 뒤 2003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수리과학과에 입학했다. 미국 하버드 대학에도 입학 원서를 제출하고 결과를 기다리던 상태였다. 당시 이준석의 미국 수학능력시험(SAT1) 성적은 1440점(1600점 만점)으로, 하버드대 합격자들의 평균 SAT 점수인 1580점에는 못미쳤다. 하지만 두 편의 에세이가 높은 점수를 받아 합격할 수 있었다.

문제는 학비였다. 당시 하버드대 학비는 4년간 2억 원 수준. 당시 아파트 한 채 값에 달했다.

그런 이준석을 미국행 비행기에 태운 건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이었다. 김대중 대통령이 퇴임 직전 설립한 과학장학재단이 노무현 대통령 취임 후 ‘대통령 과학 장학금’ 1호 수혜자를 선정했는데 이 때 이준석이 국비 장학생으로 뽑혔다.

청와대에서 장학 증서를 받게 된 이준석은 그날 노무현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운명을 느꼈다”고 할만큼 깊은 인상을 받았다.

“앞사람이 긴장했던지 노 대통령과 악수하면서 너무 오랫동안 손을 잡고 있었거든요. 노 대통령이 다음 차례인 제게 오더니 활짝 웃으면서 ‘짧게 하세요’ 그러시더라구요. 너무 신선했어요. 유머가 넘치고 소탈한 분, 자기를 확 낮출 수 있는 사람…. 제 뇌리에 박힌 노 대통령의 모습입니다. 그 순간을 돌이켜보면 운명 같은 것이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리고 운명 같던 만남으로부터 22년 뒤인 5월 11일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된 이준석은 지난 2000년 부산 북·강서을 총선 후보 노무현이 섰던 부산 명지시장에 섰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11일 오후 부산 강서구 명지시장을 방문해 연설하고 있다. 뉴스1
“바로 이곳에, 지금으로부터 25년 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섰습니다. ‘참 사람이 별로 안 왔네요’라고 운을 뗐던 걸로 기억합니다. 옳은 방향으로 가고자 할 때 사람들이 이상하다고 타박하고 왜 대세에 편승하지 않느냐고 할 때 느끼는 외로움이었을 겁니다. 저는 노 전 대통령의 고뇌를 계승하고 싶습니다. 동서 화합이라는 노 전 대통령의 꿈을, 저는 세대 화합으로 이어받고자 합니다.”

“망할 거야” 예언한 페북의 성공, 자유와 다양성 가치 배웠다
“안녕, 나는 마크야. 내가 이런 걸 만들었는데 한번 써보지 않을래?”

이준석이 하버드대 1학년 2학기 때의 일이다. 한 학년 선배인 마크 저커버그가 ‘페이스북’이란 걸 만들었다며 컴퓨터 과학과 전체 학생에게 단체 e메일을 보냈다. 호기심에 페이스북에 가입(전 세계 38번째 가입자)한 이준석은 이내 코웃음을 쳤다.

‘허접하군.’


그리고 페이스북 공동 창업자인 하버드 내 지인에게 답장을 보냈다.

“이봐, 한국엔 이미 이런 게 있어.”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가 거지냐, 왜 구걸해” 이준석 바꾼 ‘삼성전자 사건’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263

허벅지 피멍 가득한 여고생…분노한 이준석, 그때 朴이 왔다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999
더중앙플러스 - 6.3 대선주자 탐구 이재명, 수면제 수십알 삼켰다…아버지 죽도록 미웠던 17살 [이재명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76

고졸 따낸 이재명 “최고의 날”…아버지는 “다시 공장 다녀라” [이재명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43

이재명 “저 사시 붙었어요”…부친의 눈물, 그게 임종이었다 [이재명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44

이재명 생가마을서 만난 노인 “재맹이? 아버지 닮아 머리 좋아” [이재명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680

대낮 납치된 성남노조 간부…“이변”이라 불린 청년의 등장 [이재명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95

이재명도 아버지도 움찔했다…“내를 때리소!” 모친의 반란 [이재명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71

“이 빨갱이! 심상정 불어!” 통닭구이 고문 버틴 김문수[김문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4

수배고 뭐고 고향 달려갔다…“문수야 안아줘” 엄마의 마지막 [김문수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3

그 여자, 김문수랑 결혼한다고? 경찰은 ‘닭장차 5대’ 보냈다 [김문수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85

욕먹고 여당 간 혁명가 김문수…첫 상대, 무려 박지원이었다 [김문수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312

김문수에 “밥 한끼 사주고 싶소”…98년 성탄전야, 한 노인의 접대 [김문수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432

43세 김문수, 서울대 졸업…모친의 ‘마지막 유언’ 지켰다 [김문수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86

“니들은 되고 김문수는 안되냐” 30년 동지 홍준표 ‘마지막 의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147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30 이재명 "가장 부담스러웠던 상대 홍준표, 美서 돌아오면 막걸리 하자"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9 연회비 최소 60만원인데 '불티'…특급호텔 '다이닝 멤버십' 뭐가 좋길래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8 [속보] 조희대 대법원장 14일 국회 청문회 불출석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7 “조선인 122명 사망한 ‘이 섬’이 활기차다고?”…日 뻔뻔한 홍보에 서경덕 비판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6 조희대 대법원장 등 16명 전원, 국회 청문회 ‘불참 선언’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5 초고도비만·남성·재수술… 로봇 수술 안정·용이성 입증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4 美 145%→30%, 中 125%→10%…미중, 90일간 관세인하 전격 합의(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3 ‘홍준표 경제책사’ 이병태 교수, 이재명 선대위 합류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2 김문수 "사법방해죄 신설, 공수처 폐지"…李지역화폐엔 반대 [10대 공약]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1 류희림 사표 처리 지연에 21대 대선 선거방송심의도 중단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20 “尹이 계엄 두 번, 세 번 하면 된다고 해” 쏟아진 증언들…檢은 김건희 내일 소환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19 미국·중국, 상호 관세 ‘115% 포인트’ 인하하기로 합의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18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 14일 국회 청문회 ‘불출석’ 하기로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17 "이참에 국산화"…中 '공급망 자립' 날개 달아준 美 관세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16 미중, 90일간 관세 인하... 미국 145%→30%, 중국 125%→10%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15 [속보] 대법, 국회에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불출석 입장 전달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14 이재명 "검사파면제 도입, 대법관 증원"…군·검·사법부 손본다 [10대 공약]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13 [속보] 14일 초유의 대법원장 청문회…대법 "조희대, 출석 어렵다"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12 김용태, ‘채 상병 특검’ 반대하더니…대선 앞 ‘진상 규명’ 표명 new 랭크뉴스 2025.05.12
46911 경찰, 대선 후보 협박글 수사 착수… 7건 모두 이재명 new 랭크뉴스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