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잇슈머니 시간입니다.

박연미 경제평론가 나오셨습니다.

오늘의 주제 'SKT 위약금, 귀책 사유 누구에게?' 라고 하셨어요.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 SK텔레콤의 유심 해킹 사태에서 유심 교체 지연과 위약금 면제 여부가 논란이 되는 거지요?

[답변]

그렇습니다.

SKT 해킹 사건 후 몇 주가 흘렀지만 상황이 진정되기는커녕 논란이 더 커지는 양상인데요.

어제를 기준으로 유심을 교체한 고객은 전체 대상자의 10%를 밑도는 143만 명뿐이고, 유심 교체를 신청하고 대기 중인 고객이 722만 명, 누적 예약 고객은 820만 명에 이릅니다.

SKT는 해킹 발생 이후 늑장 신고와 유심 대란에 이어 번호 이동에 따른 위약금 면제 이슈로 도마 위에 올라와 있는데요.

소비자와 정치권에서는 SKT 측 보안이 뚫리면서 발생한 해킹 사건이니 당연히 사측에 귀책 사유가 있고, 약관에 따라 이동 위약금을 받지 말아야 한다 주장하지만, SKT 측의 입장은 전혀 다릅니다.

[앵커]

위약금이라는 게 이용자가 약정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계약 해지를 할 때 통신사에 내는 일종의 손해배상금이지요?

[답변]

맞습니다.

통신사는 이용자와 약정 계약을 맺으면서 공시지원금 또는 선택 약정 할인금으로 혜택을 주지요.

공시지원금은 통신사가 고객 유치를 위해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할인 혜택이라 약정 기간을 채우지 못하게 된다면 이를 통신사에 돈을 물어주게 돼 있습니다.

선택 약정 할인은 공시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 할인(25%)을 약정 기간 받는 제도인데, 역시 약정 기간 전에 계약을 해지하려면 할인받았던 금액을 반환해야 합니다.

이번 위약금 논란은 '나가도록 등 떠밀었으니 나갈 때 돈을 물어줘야 하느냐, 마느냐'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앵커]

비난 여론 속에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직접 사과하기도 했는데, 위약금을 면제하면 사측 부담이 너무 커서 안 된다는 주장인가요?

[답변]

그렇습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이미 30만 명에 가까운 SKT 가입자가 다른 통신사로 떠났습니다.

사측은 귀책 사유는 인정하는데, 위약금을 면제하면 250만 명에서 최대 500만 명까지 이탈할 수 있고, 앞으로 3년간 7조 원 이상의 손실이 예상돼 이렇게 큰 손해를 감당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합니다.

최태원 회장도 위약금 면제 건은 이사회의 법적 검토 등이 필요하다며 언급을 피했고, 국회에 나온 SKT 사장의 발언 취지도 같습니다.

그래서 국회에선 회장과 사장 등 임원들은 그럼 새 걸로 교체했느냐 안 했느냐 질타하기도 했지만, 정확한 답변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앵커]

애초부터 SK텔레콤 측이 실기하고 있다, 대응이 적절치 않다는지 등의 지적이 있었잖아요.

주가도 영향을 받았지요?

[답변]

네, 이번 해킹 사건을 보면 SKT가 중요한 순간마다 위기 커뮤니케이션을 잘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올만 한데요.

가입자들이 사측 단체 문자를 통해 이번 사건을 통지받고 사측 사과를 받은 건 지난달 29일입니다.

사측이 해킹 사건을 인지한 뒤 11일이 지난 시점입니다.

SKT는 제일 처음 해킹을 인식하고도 당국 신고를 규정한 24시간보다 훨씬 늦은 45시간 뒤에 진행했고, 고객들에게 사건 초기 직접적인 설명이나 양해를 구하는 작업이 전혀 없었습니다.

고객들의 분노를 직접적으로 유발한 건 해킹당한 유심 교체 과정이었는데, 회선을 빌려 쓰는 알뜰폰 가입자 포함 2,500만 명이 교체 대상인데도 턱없이 부족한 재고만 가지고 대책 없이 유심 교체를 언급하면서, 각 대리점에는 새벽부터 유심 오픈런을 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몇 시간씩 대기를 해도 번호표도 받지 못하고 돌아오는 고객들에게 사측은 기다리라는 말뿐이었지요.

아울러 유심 교체와 같은 효과를 낸다는 유심 보호 서비스도 문제였습니다.

전 고객 가입을 사측이 전산으로 한 번에 처리할 수가 있었을 텐데도 사건 초기에는 이걸 일일이 개인이 가입해야 했고, 유심 부족 사태 속에 접속자가 몰리면서 서비스가 원활치 않았습니다.

접속 자체가 되지 않는 상황이 반복되자 소비자 분노가 극에 달하는 상황이 됐고 뒤늦게 사측이 이걸 해결하는 소모적인 과정이 반복된 것이지요.

보안 이슈에 이른바 괘씸죄가 더해지면서 SKT 주가는 당국에 신고한 뒤인 4월 21일 5만 8천 원에서 5월 9일 5만 2천4백 원까지 하락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면 진짜 교체와 같은 효과가 나는 걸까요?

주말 사이엔 이심(eSIM) 교체가 낫다는 얘기도 나와 더 헷갈리던데요?

[답변]

네, SKT는 유심 보호 서비스로도 보안 사고는 막을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보안 전문가 중에도 같은 의견을 내는 쪽이 있는데, 사측이 사건 초기부터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은 터라 미심쩍다는 의견도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아예 실제 유심칩이 들어가는 게 아니라 소프트웨어로 대체하는 이심으로 교체를 하기도 하는데, 장단점이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식별 모듈 이심을 바꾸면 유심 교체와 비슷한 효과가 있는 건 맞는데요.

소프트웨어 설치만으로 유심 교체 효과를 낼 수 있어서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유심과 이심이 다 들어있는 최신형 고가 기종만 가능하고, 기기 파손 시 교체가 쉽지 않다는 게 문젭니다.

사실 유럽에선 유심과 이심 둘 중 유리한 걸 이용해 통신사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듀얼심 제도를 채택하고 있지만, 통신사 입김이 강해 1폰 1통신사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국내에선 이 방식을 채택하는 게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앵커]

지금까지는 유심 교체를 받지 못한 분들이 대다수고, 보안에 대한 의심도 완전히 가라앉는데 시간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격앙된 소비자들의 마음이 좀 누그러질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사측은 일요일인 어제 브리핑을 통해서 6월까지 천 만개 이상의 유심을 확보하고, 위약금 문제를 포함해 손해 배상을 논의할 고객신뢰회복위원회를 2주 안에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사과의 적시성과 진정성, 구체성 모든 걸 계속 놓치고 있는 데다 당연히 해줘야 하는 유심 교체를 '무료 유심 교체'라고 표현해 마치 안 해도 되는 서비스를 하는 것처럼 표현했다는 점 등은 대표적인 실책으로 꼽힙니다.

현재 SKT는 위약금 문제도 '면제는 안 된다'에서 위원회 검토로 일단은 한 발을 빼고 있는데, 약관이 있기는 하지만 민관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624 김문수 "가난하게 하는 게 진보인가…가짜진보 찢어버리고 싶다"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23 이주호 대행 “딥페이크 등 선거 위법행위,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22 이재명·김문수 1호 공약은 '경제'… 이준석은 '부처 개편' 전면에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21 생애 첫 '포토라인' 윤석열, 의외로 발걸음 안 멈추고‥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20 김문수 “나를 이 자리에 앉힌 사람은 서영교 민주당 의원···난 한 게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9 경찰, 대선후보 협박글 7건 적발… 모두 이재명 관련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8 관세 탓에 美 자동차 수출, 1년 전보다 20% 감소… KDI “韓 경기 둔화 시사 지표”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7 방탄복 입고 출정식 나선 이재명 “국민 통합에 확실히 앞장설 것”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6 SKT, 해외로밍 고객도 유심보호…취약계층 방문 서비스 추진(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5 90년생 김용태, 국힘 비대위원장 지명…"尹계엄 잘못,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4 "황제주 후보, 저가 매수 기회"…한화에어로,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3 법정 공개 출석한 尹… ‘YOON AGAIN’ 펼친 지지자들 “윤석열 대통령” 연호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2 이재명 10대 공약, 성장에 초점두고 軍·檢권력기관 고강도 개혁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1 [속보] 이재명 출정식 “내란 끝내고 대한민국 정상으로 돌려놓겠다”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10 정은경 "내란 움직임 끝내려 선대위 합류‥정권교체 뒤엔 대학으로"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09 [속보] SK텔레콤, 1분기 영업익 5674억원… 전년 比 13.82%↑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08 '논란의 중심' 백종원, 히든카드 꺼냈다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07 한동훈이 때리니 권성동 살았다?…국힘서 이런 말 나오는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06 “문수야 어떡하냐” 조롱하던 이수정, 이틀 뒤 태도 ‘급수정’ new 랭크뉴스 2025.05.12
51605 한덕수, 김문수 제안 선대위원장 고사 new 랭크뉴스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