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신한울 2호기·전력거래체계 영향
신재생에너지 비중도 첫 10% 돌파
국민일보DB

원자력 발전이 지난해 18년 만에 국내 최대 발전원 지위를 탈환했다. 2007년부터 1위를 지켜온 석탄은 원자력과 액화천연가스(LNG)에 밀려 3위로 내려앉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이런 에너지 전환 추세는 다음 달 새 정부가 출범하더라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국내 총 발전량 595.6테라와트시(TWh) 중 발전량 비중이 가장 큰 발전원은 원자력이라고 11일 발표했다. 지난해 원전 발전량은 전년 대비 4.6% 증가한 188.8TWh로 총 발전량의 31.7%를 담당했다. 원전이 최대 발전원에 등극한 것은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원전 발전량 증가 원인은 두 가지다. 먼저 국내 28번째 원전인 신한울 2호기가 지난해 6월 상업운전에 들어간 영향이 반영됐다. 신한울 2호기는 앞서 국내 전체 발전량의 2% 정도를 담당할 것으로 예측됐다. 여기에 전력거래소의 전력거래 체계가 맞물렸다. 전력거래소는 실시간 필요한 전력을 가장 저렴한 발전원 순으로 구매한다. 지난해 원전 발전 단가는 킬로와트시(㎾h)당 평균 59.57원으로, 석탄화력 발전(126.86~172.88원), LNG 발전(145.37~172.88원)보다 훨씬 저렴했다.


2007~2023년 17년간 40%가량의 비중을 유지하며 1위 자리를 지켰던 석탄의 비중은 지난해 28.1%까지 떨어졌다. 발전량이 전년 대비 9.6% 감소한 167.2TWh에 머무르며 원자력, LNG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LNG 비중도 28.1%지만 발전량에서 근소한 차이로 석탄을 앞섰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석탄화력 발전 비중이 줄어든 건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동해안 지역 석탄화력 발전소 3곳이 송전선 문제로 정상 가동하지 못한 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쳤다.

신재생 발전량은 전년 대비 11.7% 늘어난 63.2TWh를 기록하며 전체 발전량 중 10.6% 비중을 차지했다. 산업부는 태양광 중심의 설비 확대와 발전 여건 개선, 투자 활성화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신재생 발전설비가 늘면서 발전설비 용량도 전년 대비 10.5% 늘어난 32.7기가와트(GW)를 기록했다. 전체 에너지원 중 발전설비 용량 증가율이 10%를 넘는 것은 신재생이 유일하다.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산업부가 지난 2월 확정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명시된 내용이므로 향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38년까지 원전과 신재생 비중을 각각 35.2%, 29.2%까지 늘리기로 했다. 이는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도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다른 에너지원과 달리 원자력과 신재생은 대외 수급 우려가 낮다.

정치적 우려가 적다는 점도 이 전망에 힘을 싣는다. 더불어민주당은 문재인정부에서 ‘탈원전’을 추진했지만 다음 달 대선을 앞두고는 원전 친화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캠프는 지난달 원전에 대한 이 후보 입장과 관련해 “원전 비중을 유지하되 사회적 합의로 조금씩 줄여가는 것이 큰 방향”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원전과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믹스’ 기조에 힘을 싣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대 양당 중 하나인 국민의힘 역시 윤석열정부에 이어 ‘친원전’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418 미국·이란 4차 핵 협상 마무리…“의견차 좁힐 합리적 방안 모색” 랭크뉴스 2025.05.12
51417 오늘부터 공식 선거운동…이재명 광화문·김문수 송파·이준석 여수서 첫발 랭크뉴스 2025.05.12
51416 김문수, 비대위원장에 김용태 내정…사무총장엔 박대출(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12
51415 테더 충전에 3분·결제는 1초…"은행 없이도 사고 먹고 잔다" 랭크뉴스 2025.05.12
51414 민주당, 尹정부 거부 법안 줄줄이 재추진... 이재명 '양곡법 개정안' 공약 랭크뉴스 2025.05.12
51413 아산서 승용차 중앙분리대 충돌 파편에 반대편 택시기사 사망(종합) 랭크뉴스 2025.05.11
51412 후보 등록 전날 김문수 내치고 한덕수 세워…당원 투표로 ‘리셋’ 랭크뉴스 2025.05.11
51411 윤석열 “우린 반드시 승리”…이제와 김문수 거들며 ‘대선 개입’ 랭크뉴스 2025.05.11
51410 美국무, 14∼16일 튀르키예서 나토와 우크라 종전 방안 논의 랭크뉴스 2025.05.11
51409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 별세…향년 97세 랭크뉴스 2025.05.11
51408 [단독] 90년생 김용태, 국민의힘 새 비대위원장·선대위원장 내정 랭크뉴스 2025.05.11
51407 일본군 ‘위안부’ 피해 이옥선 할머니 별세…생존자 6명 뿐 랭크뉴스 2025.05.11
51406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 별세 랭크뉴스 2025.05.11
51405 푸틴 ‘30일 휴전’ 화답 없이 “우크라와 직접 대화”…젤렌스키 “휴전부터 하자” 랭크뉴스 2025.05.11
51404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 별세 랭크뉴스 2025.05.11
51403 日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 별세 랭크뉴스 2025.05.11
51402 한밤의 후보교체 난동…정당 민주주의 퇴행시킨 ‘막장극’ 랭크뉴스 2025.05.11
51401 고속도로서 날아든 쇳덩이…수사도 배상도 막막 랭크뉴스 2025.05.11
51400 저출생 속 폐교 360여 곳 방치…활용 대책 절실 랭크뉴스 2025.05.11
51399 대화 제안한 푸틴 속내는…휴전협상 급물살 기대도(종합) 랭크뉴스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