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신한울 2호기·전력거래체계 영향
신재생에너지 비중도 첫 10% 돌파
국민일보DB

원자력 발전이 지난해 18년 만에 국내 최대 발전원 지위를 탈환했다. 2007년부터 1위를 지켜온 석탄은 원자력과 액화천연가스(LNG)에 밀려 3위로 내려앉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이런 에너지 전환 추세는 다음 달 새 정부가 출범하더라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국내 총 발전량 595.6테라와트시(TWh) 중 발전량 비중이 가장 큰 발전원은 원자력이라고 11일 발표했다. 지난해 원전 발전량은 전년 대비 4.6% 증가한 188.8TWh로 총 발전량의 31.7%를 담당했다. 원전이 최대 발전원에 등극한 것은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원전 발전량 증가 원인은 두 가지다. 먼저 국내 28번째 원전인 신한울 2호기가 지난해 6월 상업운전에 들어간 영향이 반영됐다. 신한울 2호기는 앞서 국내 전체 발전량의 2% 정도를 담당할 것으로 예측됐다. 여기에 전력거래소의 전력거래 체계가 맞물렸다. 전력거래소는 실시간 필요한 전력을 가장 저렴한 발전원 순으로 구매한다. 지난해 원전 발전 단가는 킬로와트시(㎾h)당 평균 59.57원으로, 석탄화력 발전(126.86~172.88원), LNG 발전(145.37~172.88원)보다 훨씬 저렴했다.


2007~2023년 17년간 40%가량의 비중을 유지하며 1위 자리를 지켰던 석탄의 비중은 지난해 28.1%까지 떨어졌다. 발전량이 전년 대비 9.6% 감소한 167.2TWh에 머무르며 원자력, LNG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LNG 비중도 28.1%지만 발전량에서 근소한 차이로 석탄을 앞섰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석탄화력 발전 비중이 줄어든 건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영향이다. 동해안 지역 석탄화력 발전소 3곳이 송전선 문제로 정상 가동하지 못한 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쳤다.

신재생 발전량은 전년 대비 11.7% 늘어난 63.2TWh를 기록하며 전체 발전량 중 10.6% 비중을 차지했다. 산업부는 태양광 중심의 설비 확대와 발전 여건 개선, 투자 활성화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신재생 발전설비가 늘면서 발전설비 용량도 전년 대비 10.5% 늘어난 32.7기가와트(GW)를 기록했다. 전체 에너지원 중 발전설비 용량 증가율이 10%를 넘는 것은 신재생이 유일하다.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산업부가 지난 2월 확정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명시된 내용이므로 향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38년까지 원전과 신재생 비중을 각각 35.2%, 29.2%까지 늘리기로 했다. 이는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도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다른 에너지원과 달리 원자력과 신재생은 대외 수급 우려가 낮다.

정치적 우려가 적다는 점도 이 전망에 힘을 싣는다. 더불어민주당은 문재인정부에서 ‘탈원전’을 추진했지만 다음 달 대선을 앞두고는 원전 친화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캠프는 지난달 원전에 대한 이 후보 입장과 관련해 “원전 비중을 유지하되 사회적 합의로 조금씩 줄여가는 것이 큰 방향”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원전과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믹스’ 기조에 힘을 싣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대 양당 중 하나인 국민의힘 역시 윤석열정부에 이어 ‘친원전’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22 김문수 캠프는 尹시즌 2?… 일정·메시지·수행까지 판박이 [캠프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5.14
47821 싸움 말리는 교사 폭행한 초등생…부모는 교사를 아동학대 신고 랭크뉴스 2025.05.14
47820 홈플러스, 결국 임대차 계약 해지 통보… 임대료는 후순위 채권 전환될 듯 랭크뉴스 2025.05.14
47819 MG손보 영업정지, 모든 계약 ‘5대 손보사’ 이전 랭크뉴스 2025.05.14
47818 ‘우주항공청’ ‘두산에너빌리티’ 찾은 김문수… 경남서 ‘일자리 대통령’ 약속 랭크뉴스 2025.05.14
47817 "완전 개판이네" 군의관 비명…이재명·김문수 군면제 사연 [대선주자 탐구] 랭크뉴스 2025.05.14
47816 ‘윤석열 변호인’ 석동현, 김문수 선대위 합류···전광훈과 더 가까워지는 국힘 랭크뉴스 2025.05.14
47815 이재명 “내란세력 ‘깨끗한’ 법정에 세울 것”…윤석열·대법 겨냥 랭크뉴스 2025.05.14
47814 "재명이가 남이가"에 급정색‥'김문수 발언은 안 봤나' 랭크뉴스 2025.05.14
47813 1700번째 수요집회에도 혐오 공세···바들바들 떨며 소리친 위안부 할머니 랭크뉴스 2025.05.14
47812 법사위, 민주당 주도 ‘조희대 사법 남용 특검법’ 등 소위 회부 랭크뉴스 2025.05.14
47811 이정후 단독 인터뷰 "미국서 뛰는 매일이 특권... 응원에 감사" 랭크뉴스 2025.05.14
47810 푸틴·젤렌스키·트럼프 한자리에 모일까···‘15일 튀르키예’를 주목하라 랭크뉴스 2025.05.14
47809 민주 "尹내란사건 재판장, 룸살롱서 직무관련자로부터 접대받아"(종합) 랭크뉴스 2025.05.14
47808 윤석열 내란 변호인 김문수 선대위 합류···“당 전광훈에 먹힌다” 우려 랭크뉴스 2025.05.14
47807 권성동 "홍준표, 보수 일으켜 세운 영웅‥김문수와 함께해달라" 랭크뉴스 2025.05.14
47806 “공적자금 없이 구제” MG손보, 가교보험사 거쳐 5대 손보로 랭크뉴스 2025.05.14
47805 지귀연 재판부, 김용현 재판 ‘5연속 비공개’···방청객 항의에 “검토하겠다” 랭크뉴스 2025.05.14
47804 금값·식대·스드메 다 올랐다…신부도 손님도 울리는 웨딩플레이션 랭크뉴스 2025.05.14
47803 '논문 표절' 김건희 학위 취소 가능토록 소급 적용…숙대, 학칙 개정 착수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