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장하 진주 남성문화재단 전 이사장과 차담
취재진 만나 "내란당에 내란 후보 옹립한 것"
"정말 웃음 밖에 안나 와···당이 아니다"
경청투어에 나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10일 오전 경남 의령군 의령읍 의령전통시장에서 책에 사인하고 있다. 뉴스1

[서울경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10일 국민의힘 대선 후보 교체사태를 두고 “새벽에 당내 쿠데타를 한 건데 그것도 일종의 친위 쿠데타”라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진주의 한 찻집에서 김장하 전 남성문화재단 이사장과 차담을 나눈 뒤 기자들을 만나 이 같이 말했다. 이 후보는 “저는 그 집안이 웃음 나와요. 당이 아니죠. 그게 무슨 정당입니까"라며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당은 민주주의를 떠받치는 가장 중요한 기구”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당이 민주적이지 않으면 그 나라의 민주주의가 제대로 될 수가 없다”며 “국민의힘은 어제 새벽에 당내 쿠데타를 한 건데 그것도 일종의 친위쿠데타를 한 거 아닙니까”라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실질적으로 그 당을 지배하는 특정인을 위해서 그 당이 법적으로 정당하게 뽑은 대선후보를 정당하지 않은 이유로 새벽에 뒤집었다"며 “친위 쿠데타”라고 쏘아붙였다.

이 후보는 또 “내란당”이라며 “내란당에 내란후보를 옹립한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내란당의 내란후보로 어떻게 민주공화국의 책임을 지겠다는 건지 저로서는 정말 웃음밖에 안 나온다”고 했다. 이어 “저러고도 국민의 선택을 받겠다고 하나, 이런 생각이 들었다”며 “그건 우리 대한민국을 위해서도 이 나라 민주주의를 위해서도 결코 용납돼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철저하게 내란은 진압돼야 한다”고 했다 .

홍준표 전 대구시장과 전화통화에 대한 질문에 이 후보는 “아직 내각을 같이 꾸리거나 이런 구체적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면서도 “통화에서도 그렇고 문자를 주고받은 것도 그런데 서로 민주주의가 이렇게 심각하게 훼손되는 것에 대해서 걱정된다는 점에 대해서 서로 공감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홍 전 시장이 브라질 대통령 룰라를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 후보는 “지지율 85%의 룰라를 배울 필요가 있다. 좌우 가리지 말고 통합해서 오로지 나라, 국가만을 위해서 국정을 하면 성과도 나고 결국은 지지율도 높은 성공적인 대통령이 되지 않겠느냐, 이런 말씀을 해 주셨다”고 덧붙였다.

김장하 전 이사장과의 대화에 대해선 “우리 사회에 밥에 돌이 없는 그런 제대로 된 밥을 지어야 되지 않겠냐 이런 말씀을 하셨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문형배 전 재판관한테 요란한 소수가 말없는 다수를 지배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냐, 이 말씀과 일맥상통하는 말씀인 것 같다”며 “밥에 돌은 없어야 되는 것이라는 말씀을 해주셨다”고 알렸다.

문 전 대행과의 인연에 대한 질문에 이 후보는 “다 아시는 대로 제 사법연수원 동기”라며 “부산에 부장판사를 하고 있을 때 한 번 본 일이 있는데 그 후에는 제 기억으로는 한 번도 연락도 안 했던 사이”라고 했다. 특히 “서로 조심했다. 제가 특히 결벽증이 있어서 재판을 하는 동기들한테 제가 워낙 아예 연락을 안 하는 그런 습성이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모친상과 관련한 일화도 전했다. 이 후보는 “우리 어머니 상 당했을 때 안 왔다면서. 부조도 안 했다던데, 그랬더니 그것도 오해받을까 봐 안 했다는 그런 얘기가 있었다”고 했다. 이어 “공직이라는 게 그런 것”이라며 “오해받지 않기 위해서 오얏밭에서 갓끈을 고쳐매지 않는 것처럼 그렇게 문 재판관도 그렇고 저도 그렇고 서로 오해받지 않도록 서로 많이 조심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전 이사장은 진주에서 약 60년 동안 한약방을 운영하며 남몰래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고 지역사회의 문화·예술, 여성, 역사, 언론 등 다양한 영역을 지원하며 평생 기부와 선행을 이어왔다. 김 전 이사장은 다큐멘터리에서 한약방을 찾은 이들 중 기억에 남는 인사로 대선 후보 시절 예고 없이 찾아온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을 꼽기도 했다. 정치인으로는 만남을 가진 것은 이 후보가 세번째였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77 저출생에도 결국 학군지로 이사…얼어붙은 시장 속 대치동·목동 신고가[집슐랭] 랭크뉴스 2025.05.13
47176 방탄복 입고 출정식 등장한 李… 저격 방비 풍선·방탄유리 검토 랭크뉴스 2025.05.13
47175 여성 후보 없는 대선···함께 실종된 ‘여성 의제’에 커지는 우려 랭크뉴스 2025.05.13
47174 "최소 2~3년은 버텨야" 쥐어짜서 살아남는 대형 건설사들[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5.13
47173 이재명·김문수·이준석, 오늘 TK서 3자 격돌 랭크뉴스 2025.05.13
47172 “경제 붕괴 피했다”…관세 전쟁 ‘전격 휴전’에 증시 ↑ 경기 침체 확률 ↓ 랭크뉴스 2025.05.13
47171 신정부 출범 2020년대 후반기…한국 경제 어떻게 될 것인가[한상춘의 국제경제 심층 분석] 랭크뉴스 2025.05.13
47170 칸영화제 앞 세계 배우·감독 "가자 제노사이드 침묵할 수 없다" 랭크뉴스 2025.05.13
47169 스스로 응급실 찾은 40대, ‘치료비 지불’ 요구에 흉기 난동 랭크뉴스 2025.05.13
47168 '사망사고' 야구장‥'부실 점검' 뒤 재개장? 랭크뉴스 2025.05.13
47167 홍준표에 막걸리 제안한 이재명, '홍준표 책사'까지 끌어안았다 랭크뉴스 2025.05.13
47166 이재명, 첫 유세 소감 "광화문 인파 놀라…'K이니셔티브' 첫걸음" 랭크뉴스 2025.05.13
47165 5·18 광주 지켰던 미국인 "12·3 계엄 날 나도 밤잠 설쳤다... 사회 분열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5.13
47164 "애플, 올해 출시 아이폰 가격인상 검토"…대중 관세 영향 받나 랭크뉴스 2025.05.13
47163 이재명·김문수·이준석, 오늘 이곳서 3자 격돌 랭크뉴스 2025.05.13
47162 이재명 독주 속 변수? 김문수와 이준석의 단일화 [김성탁의 이슈 해부] 랭크뉴스 2025.05.13
47161 기업 유치는 이렇게…美 조지아주, 현대차 공장 옆에 '신공항' 만들어준다 랭크뉴스 2025.05.13
47160 ‘모래톱 셀카’ 경쟁 중국-필리핀…남중국해의 긴장, 대만·한반도 못지 않다 랭크뉴스 2025.05.13
47159 [르포] 페라리·롤스로이스·마이바흐… 럭셔리카 몰리는 스페인 이비사 랭크뉴스 2025.05.13
47158 [단독] 낯뜨거운 감사원 ‘감나무숲’… 실명 전환 뒤 충성 경쟁 통로로 랭크뉴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