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설사들 “리스크 분산, 사업성 확보 위한 선택”
“시장 악화로 수의계약·컨소시엄 늘어날 것”

최근 원자잿값, 인건비 상승 등으로 공사비가 급격히 오르면서 재건축·재개발 수주시장에서 건설사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중견·중소 건설사뿐만 아니라 대형 건설사끼리도 손을 잡고, 신탁사들도 공동 수주에 나서는 모양새다.

서울 성북구 장위9구역 공공재개발 정비사업 투시도. /DL이앤씨 제공

1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DL이앤씨와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서울 성북구 ‘장위9구역’ 공공재개발 사업 시공사로 최종 선정됐다. 시공능력평가 2위(현대건설)와 5위(DL이앤씨)가 손을 잡은 것이다.

이 밖에도 이달 19일 분양에 나서는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고척제4주택 재개발정비사업)는 대우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이달 12일 분양에 나서는 ‘고양 더샵포레나’(고양원당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는 포스코이앤씨와 한화 건설부문 컨소시엄이 각각 시공사로 참여한 정비 사업이다.

지난해 입주한 1만2032가구의 대규모 단지인 올림픽파크포레온은 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 등 대형건설사 4곳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시공사로 참여했다.

신탁사들도 컨소시엄을 구성하기도 한다. 지난달 한국토지신탁과 대한토지신탁이 구성한 컨소시엄이 서울 노원구 중계무지개아파트 재건축 사업의 공동 예비신탁사로 선정된 것이 대표적이다.

컨소시엄 방식은 건설사들이 자금과 인력 부담을 분산하고 브랜드를 결합해 사업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최근 공사비 인상에 따라 사업의 리스크가 커진 데다 경기 침체로 건설사들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컨소시엄 구성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3000가구가 넘는 대형 사업장은 건설사 한 곳이 끌고가기에는 부담이 있어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1500~2000가구 정도의 사업장은 효율성과 경제성을 고려해 컨소시엄을 구성한다”며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 공사비 상승으로 큰 이익을 거두지 못하다 보니 수주 경쟁을 하게 되면 홍보비 등 리스크가 크다. 이럴 때 컨소시엄을 구성해 최적의 사업성을 확보하는 선택과 집중을 한다”고 했다.

다만 정비사업 조합들은 입찰 경쟁이 줄어 원하는 조건을 요구하기 어렵고,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는 우려에 컨소시엄 방식을 선호하지 않는 곳이 많다. 복수 브랜드가 결합된 단지는 프리미엄 측면에서 가치가 떨어진다는 반응도 나온다.

특히 사업성이 큰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은 시공사 선정 조건으로 ‘컨소시엄 불가’를 제시하기도 했다. 서울 강남구 ‘개포우성7차’ 재건축 조합은 시공사 선정 공고문에 ‘컨소시엄 금지’를 명시했다. 서초구 ‘신반포4차’, 송파구 ‘개포주공6·7단지’ 등도 비슷한 조건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정비사업 조합 관계자는 “조합에서는 이름값 때문에라도 단일 브랜드 아파트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시공 결과에 대해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우려가 된다”며 “특히 한남4구역처럼 출혈경쟁으로 더 좋은 조건과 금전적 혜택이 발생하길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했다. 한남4구역은 시공능력평가 1, 2위인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맞붙으면서 분담금 최대 4년 유예와 가구당 최소 12억원의 이주비 지원, 한강 조망권 100% 보장 등 파격적인 조건을 내세우며 출혈경쟁을 벌인 바 있다.

한편 건설업계는 최근 시장이 좋지 않아 업계가 어려움을 겪는 만큼 컨소시엄 구성이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반응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조합 입장에서는 건설사들끼리 경쟁하는 것이 상대방을 이기기 위해 더 좋은 설계를 내놓고 공사비를 낮추는 경우가 많아 더 선호하겠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시장이 안 좋을수록 경쟁을 피하고 싶어 한다”며 “당분간은 선별 수주 기조 때문에 단독 입찰해서 수의계약으로 전환하거나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96 "얼리어답터 의사·환자가 만난 리프팅 산업…수출 효자로" 랭크뉴스 2025.05.12
46695 MBTI 다음은 호르몬? ‘유형 프레임’에 열광하는 MZ세대 랭크뉴스 2025.05.12
46694 [단독] 이재명 ‘경호팀장’은 ‘태권도 국대’ 여경…“李가 신뢰” 랭크뉴스 2025.05.12
46693 지인과 말싸움하다 모텔에 불 지르려 한 50대 체포 랭크뉴스 2025.05.12
46692 김문수, 가락시장서 첫 선거운동… “장사, 제가 책임지겠다” 랭크뉴스 2025.05.12
46691 이재명, 오늘 광화문 광장서 대선 출정식···“빛의 혁명 계승” 랭크뉴스 2025.05.12
46690 김문수, 가락시장 순댓국 먹으면 선거돌입…"장사 되게 하겠다" 랭크뉴스 2025.05.12
46689 숙명여대 구성원 “김건희 논문표절 판정 73일…학위 취소하라” 랭크뉴스 2025.05.12
46688 다니엘 헤니, 40년 불법 도살 개농장 찾아 ··· "67마리 새 삶 기회는 기적" [인터뷰] 랭크뉴스 2025.05.12
46687 [장훈 칼럼] 중도를 위한 나라는 없다 랭크뉴스 2025.05.12
46686 우상호 “한덕수, 왜 정치판에 들어와서…” [여의도 라이브]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12
46685 거리서 한국인에 '인종차별'‥프랑스 '발칵' 랭크뉴스 2025.05.12
46684 압수한 대마 20t 태우다가…주민 ‘집단 환각’ 논란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5.12
46683 SKT, 위약금 면제해 줄까?…‘귀책 사유’ 누구에게 있는지 달렸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5.12
46682 '비대위원장 내정' 국민의힘 김용태 "국민 놀랄 정도로 변화 보여드릴 것" 랭크뉴스 2025.05.12
46681 이주호, 의대생 1만명 동시 수업 파행 “책임지고 해결”할까 랭크뉴스 2025.05.12
46680 '욘사마 코인' 파헤치다 '법사폰' 열어… '김건희 의혹' 새 국면 랭크뉴스 2025.05.12
46679 한국 여성 스트리머에 인종차별 폭언…프랑스 검찰 수사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5.12
46678 美中 첫 '관세 담판' 종료… '美 낙관' vs '中 신중', 온도 차 랭크뉴스 2025.05.12
46677 김문수 "나도 내가 후보될줄 몰라…그렇게 이재명도 역전" 랭크뉴스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