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성칠 교수의 일기는 1993년 〈역사앞에서〉란 제목으로 창비에서 출간되었다. 이 일기는 1945년 11월 29일자 뒤쪽부터 남아있었는데, 그 앞의 일기가 사라진 것으로 보였다. 유물을 보관하고 있던 필자의 아들 김기목(통계학·전 고려대) 교수가 사라진 줄 알았던 일기를 최근 찾아냈다. 1945년 8월 16일에서 11월 29일(앞쪽)까지 들어 있다. 중앙일보는 이 일기를 매주 토요일 원본 이미지를 곁들여 연재한다. 필자의 다른 아들 김기협(역사학) 박사가 필요한 곳에 간략한 설명을 붙인다.



11월 3일 개다. (토) [2시 기상]

새벽 두시부터 일기 쓰고

오랫동안 중단되었던 〈초당〉 번역을 계속하다. 조합도 쉬고 종일 번역작업에 정진.

낮에 면의 박원승(朴源承) 회계가 와서 미군(米軍)이 이 면으로 사냥을 나왔기 점심을 대접코저 준비가 있으니 나와 달라는 말이 있었으나 몸이 불편하다 핑계하고 나가질 않았다. 불과 몇 달 전에 같은 여관에서 같은 요리로 일군(日軍)을 향응하던 그 멤버들이다. 그때도 역시 나는 같은 핑계로 나가지 않았던 일이 생각난다. 그리고 나가지 않는 것이 내 개인으로선 지당한 일이라고 확신하나 한낱 공직자로선 과연 직무에 충실한 자세일까 하고 혼자 마음속으로 괴로워하던 일까지 생각난다.

그 후 내가 일군 접대에 출석하지 않았음으로 해서 공무에 다소의 지장이 있을 때마다 얼마쯤 내 성미의 고집불통이 스스로 뉘우쳐지던 일, 군국주의 일색의 당시인지라 무언중에도 직원들 사이에 내 태도가 너무나 소극적이어서 조합 일에나 직원들의 사생활에까지 영향이 있음을 비난하는 것 같은 기색이 있어서 내심 불안이 느껴지던 일까지 생각난다.

오늘날 미군 접대에 불참함으로 해서 앞으로 또 그러한 불편한 일이나 생기지 않을까 또는 우리가 미군을 향응하는 것은 일군에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 아닐까 하고 망설이는 마음이 없지 않았으나 다시 생각하여 보면 우리가 하도 못나서 우리 땅을 활보하고 다니는 외국 군대임에는 틀림없는지라, 공리적인 내 마음의 움직임에 침뱉고 싶었다.

[금년 봄부터 제천에 일군 부대가 주둔하고 이 지방에 가끔 나다니었다.]



11월 4일 개였다 흐려서 비오다. (일) [2시 기상]

새벽 두시부터 초당 번역.

오후엔 보례 서악영 군의 초대가 있어서 강 군과 함께 가서 자미있게 놀다 저녁 대접받고 비오는 것을 삿갓을 얻어 쓰고 넘어왔다.

보례 앞 개울에 다리가 놓이지 않아서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이 아침저녁으로 발을 벗게 된다기 우리가 놀면서 돌이라도 우선 주워다 놓자고 했으나 세 사람이 한나절 해서는 될 것 같지 않다 하고 또 곧 비가 올 것 같아서 그만두었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소학교 수신(修身) 같은 선행이라고 그러한 심지(心志)의 동기를 세상에서 오해할는지 모르나 꼭 할 만한 일이고 또 해서 좋은 일이라면 이 일을 하면 세상사람이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것은 염두에 둘 것 없이 담담한 심경으로 하는 것이 옳으리라고 여겨졌다.



11월 5일 개다. [2시 기상]

아침에는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이야기.

오늘부터 아내는 김장을 시작하였다. 종전 무렵에 씨 뿌린 배추로 이제 김장을 하게 되었으니 빠른 듯해도 그 동안 상당한 시일이 경과했음을 알 수 있다.

이 귀중한 시간에 얼마나 독립에의 코스를 건전히 걸어 나갔고 나는 또 얼마만치 거기 이바지했을까.
38도의 비극이 아직도 막을 내리지 않고 있는 오늘날 또다시 신탁관리 운운의 슬픈 뉴스가 전하여진다. 우리 민족의 앞길엔 아직도 많은 형극(荊棘)이 남아있다.

그러나 말하기도 가슴 아픈 일이지만 우리들의 현상으로 비추어보아 당연한 업보가 아닐는지? 전 민족적인 일대 반성이 필요하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리하여 자칫하면 사리사욕으로 쏠리려 하는 3천만의 눈과 눈이 이러한 민족적 시련으로 말미암아 자기성찰의 기회를 얻고 그 결과 민족적 대동단결이 촉진되고 모리배의 준동이 줄어진다면 전화위복일까 한다.

낮에 강 군의 중대발언이 있었다.

우리가 20년 가까이 지속하여 온 우정을 동지의 단계로 추진시킬까 했더니 이번에 10여일 동안 기거를 같이 해온 결과 오히려 종래보다도 더 우리 둘의 사이의 거리가 먼 것이 느껴져서 섭섭하다고. 그 까닭은 내가 말하는 소위 치통무애(馳通無碍)라는 건 아직도 마음의 발전이 그러한 경계에 이르지 못한 만치 세속적인 생활의 영위에 급급하고 마는 결과에 이르지 않을지 우려된다는 것이며 실지로 예를 든다면 연합회로 가도 좋다 아니 가도 좋다, 조합계에 그냥 눌러 있을지 말지 하는 태도는 옆에서 보기에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 알 길이 없다. 그러면 숙(塾) 문제를 들어서 상의하고 싶다던 본의가 어디 있느냐. 이해하기에 곤란하다.

또 한편 생각하면 나는 내 갈 길이 이미 확정해 있어서 요지부동한 것 같이 보이는데 그렇다면 그가 처음 생각한 것 같이 우리들을 동여묶어서 한 보조로 나갈까 하던 계획은 나를 구속하고 마는 결과가 될 것이니 그렇다면 왜 아예 깊은 사려도 없이 숙 문제를 제기했는가 하는 것이며 또 한 가지는 내가 그를 이해하는 정도가 아직 얕다는 것이다. 내가 말하는 꼬장꼬장한 성미만이 자기의 본질이 아닐 것이며 사유와 행동이 유리(遊離)함이 없도록 항상 엄격한 양심의 채찍질을 하긴 하나 본래의 성미가 고집불통한 것은 아니란 것이며 보례서 다리 놓기를 반대한 것도 서 군과의 마음의 접촉을 도모코저 한 것이지 결코 그때 웃음의 말로 한 거와 같이 세인의 비판을 겁내서 그런 건 아니었다고 하고 가정적으로도 자기는 나보다 더 심각한 고민을 하고 있으니 내 처지를 동정은 할지언정 문제의 해결에 협력할 자신은 없노라고 말하였다.

거기 대해서 나는 말하기를

숙 문제는 아직 나로선 문제의 제기에 지나지 않으며 지대한 일인 만큼 지금 곧 해결지을 것이 아니라 서서히 서서히 도모해서 모든 조건이 순리로 달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하였다. 그에게 아직 말하지 않았으나 숙 자금의 조달도 한 사람에게 백원씩 천 사람이고 이천 사람에게 빌리는 것이 간접적으로 그만큼 많은 우리 숙의 지원자를 얻게 된다는 그의 의견에 나는 늘 이견을 품고 있다. 이것은 한 가지 예에 지나지 않지만 이와 같은 모든 조건이 무리 없이 이루어지도록 우리가 항상 유의해서 시기가 원숙하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을지며 우리 두 사람 사이에 지향이 다르고 마음의 거리를 느낀다는 것도 나는 생각하기를, 우리가 종극에 이르고자 하는 경지는 물론 같겠지만 거기에 이르는 방도로는 철인(哲人)의 길과 학자(學者)로서의 길과 사업인(事業人)의 길과 기타 모든 길이 있을 것이다.

말하자면 어디까지든지 철인적인 사색을 통해서 자기반성과 자기수련을 쌓아가서 자기완성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며 농부는 그러한 이념이 없이도 농사에 자기 심신을 몰입시켜서 자기 직책의 완수에 일의정신(一意挺身)하기를 수십 년 동안 계속한다면 구극(究極)엔 저절로 자기완성의 경지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강 군은 철인으로서의 길이 있을 것이고 나는 학도로서 학문에 나의 전 심신을 몰입시켜서 이 길을 내 평생토록 지속하는 동안에 조금이라도 나은 경지로 내 자신을 끌어올려 보겠다고 말하였고 그리고 사유와 행동과의 간격을 없이 하기에 전심하겠다는 건 여늬 사람 같으면 극구 권장할 일이지만 강 군이 그러한다면 나는 오히려 경계하고 싶다.

관념의 유희에 그치는 것도 물론 나쁘지만 지나친 행동주의도 삼가야 할 것이다. 사유는 부단히 진전해 나가고 자기수정을 해나가는 것인데 언제든지 그때그때의 사유를 곧 행동으로 옮긴다면 행동에 과오 없기를 바랄 수 있을까. 역사상으로 보아 그리해서 성공한 사람은 두엇 철인에 그치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광신가로서의 과오를 되풀이하고 말지 않았는가.

강 군의 말이 그러한 상식론은 자기도 모르는 바가 아니나 그것도 역시 자기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한 표상이 아닐까 저어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은 무엇이든지 자기 수준 이상으로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것은 우리가 큰 철인을 대했을 때나 명 문장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언제나 느끼는 일이다. 이것은 생리적으로 시선의 한계 밖에는 아무리 좋은 것이 있어도 보이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강 군은 나보다 훨씬 높은 경지에 있는데도 나는 그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 방황하고 있기 때문에 내 전 심령으로 감득할 수 있는 것은 강 군이 가진 것의 극히 낮은 부분만일는지 모른다. 그러므로 강 군이 이처럼 안타깝게 여기는 것이 아닐는지.

그러나 이러한 것은 그에게 직접 말할 수는 없는 일이다. 나는 내 키가 얼른 자라나서 그와 맞서더라도 내 머리가 그의 어깨에밖에 닿지 않는 부자연을 극복하는 수밖에 별다른 도리가 없다. 그가 아무리 어깨를 겨루지 못함을 안타까이 여긴대도 하는 수 없는 노릇이다. 다만 나는 내 앞에 놓여진 길을 보다 더 성실히 보다 더 꾸준히 나아가서 그 길을 통해서의 내 성장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 그의 제언은 나에게 여러가지로 반성할 점을 퉁겨주었다. 이러한 의미에서도 나는 언제나 그러한 동무를 가지었음을 그지없이 다행한 일로 여긴다. 그가 숙 문제로 해서 일시적인 오해를 갖는다더라도 일정한 시일이 지나면 자연히 풀려질 것이다. 그게 다른 사람 아닌 강 군이므로 나는 그럴 것을 확신한다.

아침나절에 새로 온 순사가 와서 낮에 신임 서장이 올 터이니 [白舜基] 주재소까지 와달라고 하므로 인사 겸 나갔더니 미군 헌병대장 등도 와 있었다. 그들과 이러한 자리에서 수작해 보기는 그들의 진주 후 처음이다. 이러한 경우에 써먹을 줄 알았다면 차라리 영어를 배우지 않았던들 하는 생각이 문득 머리를 스치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60 [속보] 김문수 “비대위, 후보 자격 불법 박탈…야밤의 정치 쿠데타” 랭크뉴스 2025.05.10
50659 與 ‘후보 교체’에 날선 반응들…이준석 “이재명 밀어주기 밀약했나” 랭크뉴스 2025.05.10
50658 [속보] 김문수 "비대위, 후보 자격 불법 박탈…야밤의 정치 쿠데타" 랭크뉴스 2025.05.10
50657 [속보] “파키스탄, 인도 상대 대규모 군사 작전 개시” 랭크뉴스 2025.05.10
50656 [속보] “파키스탄, 인도 상대 대규모 군사작전 개시” 랭크뉴스 2025.05.10
50655 [속보] 김문수, 오전 9시40분 긴급 기자회견…후보 취소 관련 입장 표명 예상 랭크뉴스 2025.05.10
50654 안철수 "정치 쿠데타 막장극 멈춰라"…한밤중 후보교체에 국민의힘 내부 반발 랭크뉴스 2025.05.10
50653 '대선 D-24일' 국힘, 김문수에서 무소속 한덕수로 후보 교체 랭크뉴스 2025.05.10
50652 "배운 게 없어 저런 일 하지" 천박한 모욕···폐기물 수거 청년의 꿈을 꺾진 못한다 랭크뉴스 2025.05.10
50651 변호사 사칭해 사기 피해자 두 번 울린 일당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5.10
50650 레오 14세 첫 미사 집전‥"교회가 세상의 어두운 밤 밝혀야" 랭크뉴스 2025.05.10
50649 11년 걸린 건보공단 담배 소송, 곧 결론…의료계 “담배회사가 니코틴 중독 유도” 랭크뉴스 2025.05.10
50648 국민의힘, 초유의 후보 교체‥밤사이 '김문수 후보 자격' 취소 랭크뉴스 2025.05.10
50647 김무성·유준상 “단식 중단… 아름다운 단일화 이루지 못해” 랭크뉴스 2025.05.10
50646 콜마홀딩스, 콜마비앤에이치 이사회 개편 움직임…주주 살리기 총력 랭크뉴스 2025.05.10
50645 [속보]김문수, 9시 40분 긴급 기자회견…대선후보 취소 관련 입장 밝힐 듯 랭크뉴스 2025.05.10
50644 김정은 "우크라 방치하면 서울의 군대도 무모함 따라할 것" 랭크뉴스 2025.05.10
50643 민주 "국민의힘, 폭력으로 대선후보 강탈해 尹대리인에 상납" 랭크뉴스 2025.05.10
50642 “한밤중 쿠데타 같은 막장극”···국민의힘 새벽 후보 교체에 당내 비판 빗발 랭크뉴스 2025.05.10
50641 국힘, 초유의 대선후보 교체…'기호 2번 한덕수' 임박 랭크뉴스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