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997년 대선 승리를 이끈 김대중 국민회의 후보와 김종필 자민련 후보의 DJP연합. [중앙포토]
“어느 정도 진통은 있을 줄 알았지만, 이렇게까지 될 줄은.”

국민의힘의 한 의원은 9일 통화에서 한숨을 쉬며 말끝을 흐렸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의 단일화 협상을 두고 한 말이다. 양측의 협상은 왜 이토록 수렁 속으로 빠져드는 것일까.

1987년 이후 대선후보 단일화를 추적한 『후보단일화 게임』에 따르면 단일화 성공에는 ‘네 가지’ 조건이 따라붙는다고 한다. ①지지율을 합쳤을 때 선두 후보를 이길 수 있다는 계산 ②후보 간 지지층의 이전 가능성 ③양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작거나 비등한 상황 ④(양측의 격차가 클 경우엔) 사퇴 후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다. ①②③ 또는 ①②④ 조건의 부합도가 높을수록 단일화 성공 가능성도 커진다.

2002년 대선을 앞두고 성사된 노무현 민주당 후보와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의 단일화. [중앙포토]
성공적 단일화로 꼽히는 2002년 대선의 노무현 민주당 후보와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 단일화는 ①②③ 조건이 맞아 떨어진 경우다.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가 30% 중반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대세론’을 굳혀가는 가운데, 추격하는 정몽준 후보와 노무현 후보는 20%대 초중반을 맴돌았다. 2002년 11월 24일(MBC·코리아리서치센터) 지지율 조사 결과는 이회창(32.9%)·정몽준(24.4%)·노무현(23.1%) 후보 순이었다. 노·정 후보의 지지율 합은 이 후보를 앞섰고(①), 두 후보의 지지율 차가 작았다(②). 두 후보 사이의 지지층 이전에 대한 확신(③)도 있었다고 한다. 당시 노 후보의 비서실장을 맡았던 신계륜 전 의원은 노 후보가 단일화 제의를 결심한 건 “‘이회창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정서가 크다’는 최종 분석 보고서를 받아 들고서였다”고 회고했다. 단일화에서 승리한 노 후보는 대권도 거머쥐었다. 1997년 DJP연합 단일화는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후보와 김종필 자유민주연합 후보 사이의 지지율 차가 컸다. 단일화가 이뤄진 건 보상 협상(④)이 체결되면서다. 김종필 후보가 단일화 조건으로 내건 ‘내각제 개헌’ ‘국무총리’ ‘내각의 절반’을 김대중 후보 측이 수용한 것이다.

한편 현재 지지부진한 김문수·한덕수 단일화는 2개의 조건만 충족하고 있다. 환경만 본다면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에 가깝다. 두 후보의 지지율 차가 작고(②), 모두 보수·대구·경북(TK)·반탄(탄핵반대)층에서 지지가 높아서 단일화 시 지지층 이동(③)도 수월한 편이다. 다만, 지지율을 합쳤을 때 선두 후보를 앞서는 조건(①)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약점이 있다. 8일 공개된 전국지표조사(NBS·5월 1주차)의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 따르면 한덕수 후보(13%)와 김문수(6%) 후보의 지지율을 합쳐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42%)를 넘지 못했다. 다른 조사도 별반 다르지 않다. 단일화를 하더라도 이 후보를 넘을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표가 붙으면서 대중적 관심과 흥행에도 한계가 있다.

박동원 폴리컴 대표는 “김문수-한덕수 단일화의 경우는 지지층이 겹쳐서 각자 파이를 키우기 어렵다”며 “조속한 단일화를 통해 지지층을 결집해 이재명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를 좁히지 않으면 점점 어려워진다. 양측의 단일화는 빠를수록 좋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18 이재명·김문수·이준석 닉네임 못 쓴다… 스타벅스, 대선 때까지 후보 이름 사용 금지 랭크뉴스 2025.05.13
47217 김문수 “尹 탈당, 생각해본 적 없다” 랭크뉴스 2025.05.13
47216 연봉 보다 이게 더 큰 문제…'신입사원 조기 퇴사' 이유 1위는 랭크뉴스 2025.05.13
47215 여성 국회의원 향해 ‘미스 가락시장’…김문수 후보 발언 논란[컨트롤+F] 랭크뉴스 2025.05.13
47214 이재명 "남북 군사긴장 완화" vs 김문수 "자체 핵잠재력 강화" 랭크뉴스 2025.05.13
47213 김문수 “윤석열 출당? 도리 아니다···탈당 여부는 본인의 뜻” 랭크뉴스 2025.05.13
47212 300억짜리 회사가 1조 대어로… 스톤브릿지, 리브스메드 ‘대박’ 회수 눈앞 랭크뉴스 2025.05.13
47211 청년층 대상 ‘연 3천% 이자’에 ‘나체 사진’ 담보 요구…불법 대부업 조직 총책 검거 랭크뉴스 2025.05.13
47210 디올 “고객 정보 지난 1월 해킹…금융정보는 미포함” 랭크뉴스 2025.05.13
47209 설날 ‘교도소 지인’ 집 찾았다가…누나 홧김에 살해한 60대 랭크뉴스 2025.05.13
47208 1분 200만개 뇌세포 죽는 뇌졸중···"골든타임 확보 위한 특수구급차 도입을" 랭크뉴스 2025.05.13
47207 [신종수 칼럼] 지더라도 잘 지는 게 중요하다 랭크뉴스 2025.05.13
47206 경비실서 성관계 하다 숨진 경비원…中법원서 '산재' 인정된 까닭 랭크뉴스 2025.05.13
47205 [속보] 대구고법 “포항 지진에 국가 배상 책임 없다” 랭크뉴스 2025.05.13
47204 [단독] AI위원회 설치·G7 참석... 이재명, 하루 단위로 '100일 집권 로드맵' 준비 랭크뉴스 2025.05.13
47203 [속보] 포항지진 손배소송 항소심 "1심 원고 일부승소 취소" 랭크뉴스 2025.05.13
47202 젊은 비대위원장 김용태, 젊은 거 말고 또 뭐? [5월13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5.13
47201 "백스텝 몰라" 유시민 혀 내둘렀다…고문도 버틴 투사 김문수 [대선주자 탐구] 랭크뉴스 2025.05.13
47200 “8만 원 내고 남편·아이들까지”…축의금 논쟁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5.13
47199 항생제 8500톤이 매년 강으로 흘러들어간다 랭크뉴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