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김문수 측 가처분 모두 기각
양측 만나서 실무협상 했지만 '결렬’
'역선택 방지' 놓고 金 '반대' 韓 '찬성’
의원총회서 '재선출' 놓고 거수 표결
양측 만나서 실무협상 했지만 '결렬’
'역선택 방지' 놓고 金 '반대' 韓 '찬성’
의원총회서 '재선출' 놓고 거수 표결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굳은 표정으로 나오자 권성동 원내대표가 김 후보를 따라 나서고 있다. 뉴스1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 측이 9일 단일화를 놓고 두 차례 심야 협상을 벌였지만 끝내 불발됐다. 국민의힘은 단일화 협상 결렬시 후보자 교체하기로 의결했다. 사실상 최후 협박이다. 경선을 통해 뽑은 대선 후보의 자격을 스스로 취소하고 무소속 후보를 재선출하겠다는 것이다. 정당사 초유의 일로, 정당 민주주의의 원칙을 훼손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날 서울남부지법 민사합의51부(수석부장 권성수)는 김 후보가 당을 상대로 낸 대통령후보자 지위 인정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다. 김 후보를 지지하는 원외 당협위원장 7명이 국민의힘 전국위원회와 전당대회 개최를 금지해달라며 낸 가처분 신청 역시 기각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은 이번 주말 계획했던 전국위원회 등을 열 수 있게 됐다.
법원 판단에 따라 협상의 장이 열렸다. 김 후보 측 김재원 비서실장과 한 전 총리 측 손영택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은 이날 밤 8시30분 이양수 사무총장 주재로 단일화 실무 협상에 착수했지만 약 20분 만에 빈손으로 헤어졌다. 단일화 방식, 특히 여론조사 대상을 놓고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오는 11일 후보 등록이 마감되는 터라, 시간이 하루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해 양측 모두 자동응답방식(ARS)의 여론조사로 후보를 결정하는 데 대해선 동의했다. 다만 타당 지지층을 여론조사 대상으로 포함하는 문제를 두고 의견이 갈렸다. 김 후보 측은 "무소속 후보와 단일화를 하는데 왜 정당 지지를 묻느냐"고 주장했고, 한 전 총리 측은 "국민의힘 후보를 선출하는 단일화"라고 맞섰다.
양측, '역선택 방지 조항' 두고 이견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측 김재원 비서실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문수-한덕수 대선후보 측 단일화 협상'을 마치고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오른쪽은 한덕수 무소속 대선후보 측 손영택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 뉴시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취재진에게 "김 후보 측은 역선택 방지조항을 두지 않은 일반 여론조사로 하자는 것"이라며 "한 전 총리 측은 기존 경선룰(당원 투표+역선택 방지 여론조사) 또는 여론조사를 하더라도 민주당 지지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건 봉쇄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 측은 한 전 총리가 당에 단일화 방식을 일임한 만큼, 협상에 참여해선 안 된다는 주장도 폈다. 김 실장은 "한 전 총리가 당에서 결정하면 따른다고 했는데 새빨간 거짓말임이 백일하에 드러난 것"이라며 "한 전 총리 측은 발언권이 없다. 당 지도부가 저와 협상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한 전 총리 측 손 전 실장은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국민과 당원들이 동의할 수 없는 원칙"이라고 맞받았다.
각기 다른 명분을 내세웠지만, 결국 각자의 유불리에 따른 주장을 편 것으로 해석된다. KBS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조사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휴대전화 100% 전화면접·그밖의자세한사항은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단일화가 누구로 돼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김 후보(김문수 47%·한덕수 33%)가 앞섰다. 반면 국민의힘과 무당층에서는 한 전 총리(김문수 33%·한덕수 53%)를 선택한 응답자가 많았다. 여론조사 방식에 따라 단일 후보 결과가 뒤바뀔 수 있는 것이다.
최종 결렬 시 후보 교체 작업 착수할 듯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9일 서울 한 호텔에서 열린 외교행사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국민의힘 지도부는 최종적으로 후보 교체 등을 위한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밤 열린 의원총회에선 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 후보 교체 등에 관한 사항을 비대위에 일임하기로 결의했다. 60여 명의 의원들 대부분이 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후보 측이 낸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모두 기각하면서 법적인 장애물은 일단 치워진 상태다.
지도부는 지난 7일 실시했던 단일화 여론조사 8, 9일 실시한 양자 선호도 조사 등을 근거로 김 후보의 당선을 취소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당헌 74조의 2 특례조항을 근거로 '상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김 후보의 당선을 취소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단일화를 요구하는 여론이 '상당한 사유'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날 밤 비대위회의와 선관위 회의 등을 거쳐 김 후보의 당선을 취소한 뒤 10일 후보 재선출 절차에 돌입할 수 있다. 한 전 총리를 입당시키고 피선거권을 부여한 뒤 ARS 전당원 투표 등을 통해 재선출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11일 예정된 전국위원회에서 의결을 하게 되면 전당대회와 같은 효과를 거둔다는 주장이다.
이 경우 김 후보 측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김 실장은 "예정대로 10일 후보 등록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 지도부가 '당인'을 찍어주지 않을 가능성이 큰데, 이에 대해선 "우리 당은 도장을 들고 튄 역사가 한 번 있다. 또 한 번 그런 불행한 사태가 일어난다면 역사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며 "저희들은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제적 단일화에 대한 당 안팎의 비판도 쏟아질 수 있다. 윤상현 의원은 이날 취재진과 만나 "후보자 동의 없는 강제적 단일화를 줄기차게 반대했다"며 "후보자 교체 권한을 비대위에 넘기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당 자체 존립이 위태로울 지경으로까지 갈 것"이라고 한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