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육부, 40개 의대 유급·제적 현황 집계, 발표
유급 대상 8305명, 제적 46명…더 늘 듯
의대 학장 모임 "복귀 학생, 안심하게 지원"
의대생 단체 반발…"교육 받을 여건 안 돼"
비가 내린 9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의 모습. 교육부는 전국 40개 의대의 유급·제적 현황(7일 기준)을 집계한 결과 전체 재학생의 42.6%인 8,305명이 유급 대상자였다고 이날 밝혔다. 뉴스1


의대 2,000명 증원 정책 등에 반발해 수업을 거부해 온 의대생 8,000여 명이 유급 조치를 받게 됐다. 다음 학년으로 진급할 수 없다는 얘기다. 또 40여 명은 제적당해 의대생 신분을 잃게 됐다. 교육부와 각 대학이 학생들의 복귀를 최대한 기다렸지만 최종 복귀 마감일(5일 7일)까지 끝내 돌아오지 않은 탓이다. 강경 성향인 의대생 단체 지도부는 유급·제적 조치가 부당하다며 교육부 고위 공무원들을 수사기관에 고발하는 등 '강대강'으로 맞서기로 해 향후 진통이 계속될 전망이다.

교육부 "복귀 학생 괴롭힘 땐 예외 없는 조치"



교육부는 전국 40개 의대로부터 유급·제적 대상자 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체 재학생(1만9,475명)의 42.6%(8,305명)가 유급 대상이었다고 9일 밝혔다.
특히 본과 1~4학년 중에는 절반이 넘는 5,850명(56.4%)이 유급된다.


유급된 학생들은 1, 2학기를 통으로 날리게 된다. 의대 교육은
1년 단위로 짜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유급된 24·25학번과 26학번이 내년 1학년 수업을 함께 받아야 한다.
약 6,000여명의 학생이 같은 강의를 들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의정갈등 이전의 두 배 가량 되는 인원이다. 대학들은 강의실이나 실험실 등이 부족해 모두 수업 듣기 어려운 상황이 되면 신입생인 26학번에 수강신청 우선권을 부여할 방침이다.
만약 26학번이 우선 교육을 받는다면 선배인 24·25학번보다 먼저 진급하게 된다. 또 병원 실습도 먼저 받고 의사 국가시험(국시) 등도 먼저 치를 가능성이 높다.


전체 학생 중 제적 예정 인원은 46명이었다. 하지만 유급·제적 학생 수는 향후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예컨대 대전 을지대 본과 1학년생 41명은 수업에 복귀하기로 했다가 8일 갑자기 성명을 내고 "각 개인의 의사에 따라 제적을 불사하고 수업 거부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각 대학은 유급·제적 대상자들에게 처분 예정 통보서를 보내고 소명절차 등을 거쳐 처리할 예정이다. 이로써 전국 의대생 중 1학기를 제대로 마칠 수 있는 학생은 최대 6,708명(34.4%)이 됐다.

그래픽=이지원 기자


교육부와 각 대학은 더는 미복귀 의대생을 기다리지 않기로 했다. 보건복지부 등 다른 부처와 여론 반발에도 내년 의대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되돌리기로 하는 등 선제적 유화책을 제시했지만 끝내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신 돌아온 학생들을 제대로 교육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특히, 강경파 의대생들이 복귀 학생들을 더 심하게 괴롭힐 수 있다고 보고 원칙 대응하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들은 "지금까지는 민원이 많은 사안 중심으로 수사의뢰했다"면서 "앞으로는 예외 없이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또 자퇴·제적 등으로 발생한 빈자리는 각 대학이 편입학을 통해 충원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 지원중단' 언급하며 대학에 압력"



유급과 제적이 현실화하자 강경 성향의 의대생들도 '고발 카드'를 꺼내 들며 반발했다. 전국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9일 경기도 과천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 차관과 의대교육지원관 등 2명을 강요 및 업무방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의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이선우(왼쪽 두 번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장이 9일 경기 과천의 정부과천청사 민원실 앞에서 교육부 차관과 의대교육지원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 강요죄 등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들은 교육부가 강압적으로 대학을 압박해 미복귀 의대생을 제적·유급 처분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교육부가) 각 대학 총장 및 학장 등 주요 보직자에게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을 제적시키지 않으면 대학에 대한 정부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협박성 압력을 행사했다"며 "이는 명백한 강요이자 직권남용"이라고 말했다.

의대협 측은 정부와 학교가 복귀하라고 독촉만 할 뿐 교육시킬 준비는 해놓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이 위원장은 "충북대는 '빠르게 실습실을 짓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벌판이고, 강원도 해부실습실을 짓겠다던 부지가 여전히 공원으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23 "이재명·김문수님, 주문하신 아메리카노…" 금지한 스타벅스, 이유 보니 랭크뉴스 2025.05.12
47022 법원, ‘조희대 사퇴’ 요구 대법원에서 시위한 대진연 회원 4명 구속영장 기각 랭크뉴스 2025.05.12
47021 정명훈, 伊 스칼라극장 음악감독 선임… 동양인 최초 랭크뉴스 2025.05.12
47020 베선트 美 재무장관 “몇 주 안에 중국과 다시 만날 것”(종합) 랭크뉴스 2025.05.12
47019 이재명 "AI 육성" 김문수 "규제철폐" 이준혁 "리쇼어링" 랭크뉴스 2025.05.12
47018 알리에 올라온 ‘전두환 얼굴’ 가방…5·18기념재단 “판매 중단 요청” 랭크뉴스 2025.05.12
47017 [단독] 洪캠프 이병태 “지나친 좌경화 막으려 李캠프 합류” 랭크뉴스 2025.05.12
47016 미중 '관세폭탄' 멈추고 90일 휴전…115%p씩 상호관세 대폭 인하(종합3보) 랭크뉴스 2025.05.12
47015 게임 지적에…교사 얼굴 폭행한 고3, ‘강제 전학’ 처분 랭크뉴스 2025.05.12
47014 AI·기업·부처 축소…후보별 10대 공약은? 랭크뉴스 2025.05.12
47013 헬기 도착 늦어지자 '초조'‥"압박 받았다고 생각" 랭크뉴스 2025.05.12
47012 법원까지 따라붙은 경호관‥팔 끌며 질문 방해 랭크뉴스 2025.05.12
47011 “출석 통보는 내가 한다” [그림판] 랭크뉴스 2025.05.12
47010 尹, 포토라인 말없이 '휙'‥지지자 쪽만 쳐다봐 랭크뉴스 2025.05.12
47009 민주당, 김문수 불법계엄 첫 사과에 "윤석열식 '개 사과'" 랭크뉴스 2025.05.12
47008 이준석, ‘청년·미래’ 강조…“단일화 쇼 아닌 정면돌파” 랭크뉴스 2025.05.12
47007 [2보] 정명훈, 伊 라 스칼라 극장 음악감독 선임…2027년부터 랭크뉴스 2025.05.12
47006 정명훈, 세계 최고 오페라극장 ‘라스칼라’ 음악감독 됐다…동양인 최초 랭크뉴스 2025.05.12
47005 푸틴에 역제안한 젤렌스키…“직접 만나자, 기다리겠다” 랭크뉴스 2025.05.12
47004 정명훈, 伊 라 스칼라 극장 음악감독 됐다…247년 역사 첫 동양인 랭크뉴스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