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곽노필의 미래창
1972년 발사 실패한 ‘코스모스 482호’
10일 대기권 재진입 예상…피해 우려
무게 500kg…자동차가 떨어지는 충격
1972년 옛 소련의 금성 탐사선 베네라 8호 착륙선의 복제품. 코스모스 482호도 이 우주선과 같은 모양이다. 미국 항공우주국 제공

1972년 지구 궤도를 벗어나는 데 실패했던 옛 소련의 금성 탐사선 ‘코스모스 482호’가 이번 주말 지구로 추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항공우주국(나사)은 8일 코스모스 482호가 9일부터 10일 사이에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재진입 예상 시점의 중간치는 10일 오전 7시30분(세계 표준시 기준, 한국시각 10일 오후 4시30분)이다.

다른 추적 기관들도 추락 예상 시점을 10일로 예상했다. 우주 잔해물을 추적하는 비영리단체 에어로스페이스 코퍼레이 예상한 추락 시간은 9일 오후 11시37분(한국시각 10일 낮 12시37분)이다. 미 우주군은 9일 오후 8시(한국시각 10일 오전 9시)로 예상했다. 네덜란드 델프트공대의 위성 추적 전문가 마르코 랑브룩의 예상 시간은 10일 오전 3시34분(미 동부시각 기준, 오차범위 14시간)이다.

53년만에 지구 대기권으로 재진입하는 착륙선 ‘코스모스 482호’의 무게는 495kg, 크기는 1m에 이른다. 나사는 “이 탐사선은 금성 대기권 진입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본체가 다 타지 않고 지표면에 도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탐사선엔 금성의 뜨거운 온도와 기압, 마찰열로부터 우주선을 보호해주는 방열판 등이 장착돼 있다.

랑브룩은 “질량과 크기를 고려할 때 충돌 위험은 운석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미국 천체물리학자 조너선 맥도웰은 영국 데일리메일에 “자동차가 공중에서 시속 150~300km 속도로 추락하는 것과 같은 충격일 것이나 사람이 피해를 입을 확률은 1만분의 1”이라며 “만약 충돌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거나, 누군가가 다칠 경우 러시아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선 일부가 남아서 회수된다면, 이는 법적으로 러시아 소유가 된다.

옛 소련의 금성 탐사선 코스모스 482호의 8일 오전 9시13분(한국시각 오후 10시13분) 현재 위치와 궤도 경로. 뉴욕타임스에서 인용.

추락 위치는 북위 52도~남위 52도 사이

8일 현재(미국 동부시각 기준) 추락 예상 위치는 북위 52도에서 남위 52도 사이다. 이 지역은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아메리카 대륙 대부분, 남위와 중위도 유럽, 아시아의 대부분 지역을 포함한다. 나사는 “대기권 재진입 시간과 위치는 앞으로 1일 이내에 더 정확히 파악될 수 있지만, 재진입 직전까지 불확실성이 상당히 크다”고 덧붙였다.

우주물체 추적기업 레오랩스 수석기술연구원 대런 맥나이트는 뉴욕타임스에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면 첨벙, 쿵, 비명 세 가지 소리 중 하나가 일어날 수 있다”며 “지구는 대부분 바다로 덮여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것은 ‘첨벙’ 소리”라고 말했다.

코스모스 482호의 ‘210x9800㎞’ 타원형 궤도 경로. EU SST 제공

코스모스 482호의 비행 속도는 현재 시속 2만7천km이지만 대기권에 진입하면 대기 저항을 받아 속도가 떨어진다. 랑브룩은 지상 또는 해상 충돌시 최종 속도는 시속 240km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코스모스 482호엔 금성 상층 대기권으로 진입할 때 사용할 낙하산이 있었다. 랑브룩은 “하지만 지금은 낙하산이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1972년 3월31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코스모스 482호는 나흘 전 발사된 금성 탐사선 베네라 8호와 동일한 본체와 임무 계획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엔진 오작동으로 인해 금성 궤도에 도달할 만큼의 추력을 내지 못하고 지구 궤도에 머무르고 말았다. 이 과정에서 우주선은 4개 조각으로 분리돼 일부는 48시간 후 대기권으로 재진입해 분해됐고, 착륙선을 포함한 나머지 두 조각은 더 높은 ‘210x9800㎞’의 타원형 궤도로 상승했다. 착륙선은 이후 수십년에 걸쳐 고도가 조금씩 낮아졌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38 [단독] 애터미, ‘6000억’ 애경산업 인수전 참전 저울질 랭크뉴스 2025.05.12
46637 [단독] '전세 대출사기'로 반년 만에 100억…사기꾼만 웃는 '몸빵 재테크' 랭크뉴스 2025.05.12
46636 ‘당일 연차’ 주의에 법적 대응…직장 부하 '을질’ 어떻게 대응할까 [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랭크뉴스 2025.05.12
46635 공식선거운동 돌입…이재명 광화문 광장·김문수 가락시장 첫 유세 랭크뉴스 2025.05.12
46634 이번엔 법원 지하로 못 가는 윤석열…첫 포토라인서 입장 밝힐까 랭크뉴스 2025.05.12
46633 현대차 이어 삼성 계열사 5곳도 벤처투자 4600억 쏜다...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최대 랭크뉴스 2025.05.12
46632 “환율 심상치 않네” 美 주식 정리하는 서학개미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5.12
46631 [단독]러 수리 맡긴 40억 산불헬기 엔진, 통째 날릴 뻔한 사연 랭크뉴스 2025.05.12
46630 전력기기 날개 단 효성… 화학 부문도 재무 개선 속도 랭크뉴스 2025.05.12
46629 [단독]檢, 건진 처남 측근 '尹경호팀장' 조사…경찰 인사청탁 의혹 랭크뉴스 2025.05.12
46628 꿈쩍않던 전공의 일부 왜 복귀 원하나··· “이대로면 전문의 취득·군 입대 피해 너무 커진다” 랭크뉴스 2025.05.12
46627 전광훈 구속영장에 ‘눈물’ 흘렸던 김문수···‘광화문’ 극우 청구서 받나 랭크뉴스 2025.05.12
46626 윤석열 전 대통령 첫 포토라인 설까…법원 '지상 출입' 방침 랭크뉴스 2025.05.12
46625 '이재명 살리기' 허위사실공표죄 축소 시행 땐... 첫 수혜자 전북교육감 랭크뉴스 2025.05.12
46624 단일화 밀어붙이다 찢긴 보수… ‘빅텐트’보다 급해진 집안 수습 랭크뉴스 2025.05.12
46623 검찰, 코인 파헤치다 공천 헌금 '법사폰' 열어… '김건희 의혹' 새 국면 랭크뉴스 2025.05.12
46622 ‘내란 우두머리 혐의’ 尹 오늘 3차 공판 출석… 첫 포토라인 서나 랭크뉴스 2025.05.12
46621 [단독] 생활고에 라면 한봉지 ‘슬쩍’… 1만원 이하 절도 4년새 2배 랭크뉴스 2025.05.12
46620 "오십견? 파킨슨이었다" 척추 명의가 무시한 이상 징후 랭크뉴스 2025.05.12
46619 尹, 오늘 걸어서 중앙지법 청사 입장…포토라인서 입 열까 랭크뉴스 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