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콘클라베, 4번째 회의서 프레보스토 추기경 선출
이례적 미국 출신 교황···페루 등 선교지 경험 풍부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돼 ‘레오 14세’로 즉위한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 AP연합뉴스

[서울경제]

프란치스코 교황을 이을 제267대 교황으로 미국의 미국의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69) 추기경이 선출됐다.

8일(현지시간)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선거인단 수석 추기경은 “하베무스 파팜(Habemus Papam·우리에게 교황이 있다)”을 외쳐 새 교황의 탄생을 공식 선언했다. 이어 새로운 교황으로 프레보스트 추기경이 선출됐으며, 그가 앞으로 사용할 교황 즉위명은 ‘레오 14세’라고 발표했다.

앞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에서는 개막 이틀만 이자 투표 횟수로는 4번째 만에 새로운 교황 선출에 다다랐다. 지난달 21일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이후로는 17일 만이다. 2005년(베네딕토 16세)과 2013년(프란치스코) 콘클라베도 둘째날 결과가 나왔다. 투표 횟수는 각각 4차례, 5차례씩 진행됐다.

레오 14세로 즉위한 프레보스토 추기경은 1955년 미국 시카고 출신으로 중도 성향으로 평가받는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23년 그를 추기경으로 임명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 시절에는 전 세계 주교 임명을 관장하는 ‘주교성성’의 위원으로도 발탁된 바 있다.

페루 북부 도시 치클라요에서 주교로 봉직하는 등 선교지에서의 풍부한 경험을 갖추고 있다. 2015년에는 페루 시민권을 획득하기도 했다. 그는 2022년 주교 후보 지명을 심사하는 바티칸 사무국 위원에 자리에 3명의 여성을 임명한 개혁 조치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조치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주요 가톨릭 개혁 중 하나로 꼽힌다.

그동안 바티칸은 세속적인 글로벌 영향력을 지녔다는 점에서 미국 출신 교황에 거리를 두는 분위기였지만 프레보스토 추기경의 경우 페루 등에서 오래 봉사한 점과 고위직을 두루 거친 점 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25 119센터 앞 차량 방치해 긴급출동 방해…40대 음주운전 인정 랭크뉴스 2025.05.11
46524 21대 대선 7명 출사표…이재명 1번·김문수 2번·이준석 4번 랭크뉴스 2025.05.11
46523 반탄 당심 얻은 김문수…대선 레이스에선 ‘극우 연대’ 독 될 수도 랭크뉴스 2025.05.11
46522 6·3 대선에 7명 후보 등록…이재명 1번·김문수 2번·이준석 4번 랭크뉴스 2025.05.11
46521 이재명 1번·김문수 2번·이준석 4번… 21대 대선 후보 7명 등록 랭크뉴스 2025.05.11
46520 푸틴 ‘30일 휴전’ 화답 없이 “우크라와 직접 대화”…젤렌스키 “당장 하자” 랭크뉴스 2025.05.11
46519 “AI 시대 ‘인간다운 노동’ 보장해야…교황은 겸손한 종일 뿐” 랭크뉴스 2025.05.11
46518 검찰, ‘명태균 게이트’ 김건희에 소환장 랭크뉴스 2025.05.11
46517 12일부터 대선 공식 선거운동…구체적 일정은? 랭크뉴스 2025.05.11
46516 미쳤다는 말 들었지만…그녀는 기적을 일궜다 랭크뉴스 2025.05.11
46515 국힘 단일화 갈등 '어부지리'…이준석 유튜브 '실버버튼' 얻어 랭크뉴스 2025.05.11
46514 '무임승차'·'꽃가마론'에 역풍‥한덕수, 9일 만에 대권도전 좌절 랭크뉴스 2025.05.11
46513 ‘정치인 한덕수’ 8일 만에 초라한 퇴장 랭크뉴스 2025.05.11
46512 김건희 여사 첫 검찰청 출석 조사 초읽기‥불응 시 '체포'도 검토 랭크뉴스 2025.05.11
46511 21대 대선에 후보 7명 등록…1번 이재명, 2번 김문수, 4번 이준석 랭크뉴스 2025.05.11
46510 김장하 만나고 홍준표와 통화… 11일간 소도시 훑은 이재명, 광화문으로 랭크뉴스 2025.05.11
46509 "역대 여행상품 중 최고가"…3000만원 '럭티브여행' 꺼낸 현대홈쇼핑 랭크뉴스 2025.05.11
46508 이재명, 지역 행보 마무리 "김문수 선출 다행이지만 사과부터 해야" 랭크뉴스 2025.05.11
46507 깜짝 등판 尹에 ‘분노’한 국민의힘 의원들…지도부는 ‘신중 기류’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11
46506 최저임금도 못받은 근로자 276만명…숙박·음식점 3명 중 1명 달해 랭크뉴스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