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지난 2월 김건희 여사의 석사 논문을 조사 착수 3년이 지나서야 표절로 결론 낸 숙명여대인데, 학위 취소나 징계 조치는 내리지 않고 있습니다.

'학위 취소'가 가능한 규정은 김 여사가 학위를 받은 뒤에 만들어졌고, '논문 취소'는 당사자가 철회하는 방법밖에 없다며 결정을 미루고 있는 건데요.

이해선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김건희 여사는 1999년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석사 학위 논문이 4년 먼저 나온 번역서를 베꼈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숙명여대는 조사에 나선 지 3년이 지나서야 올해 2월 "표절"로 확정했습니다.

숙명여대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는 "참고문헌에서조차 원문 표기를 누락한 것은 사회적 통념과 학계의 보편적·통상적 기준에 근거하면 '표절'로 볼 수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후 73일째, 숙명여대는 김 여사에 대해 학위 취소는 물론 어떤 징계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징계 수위를 논의하는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가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결정을 미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숙명여대 교육대학원이 '부정한 방법으로 받은 학위를 취소할 수 있다'고 규정한 건 2015년, 그 전에 받은 김 여사의 석사 학위를 취소할 수 있는지를 두고 결론을 내리지 못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 규정에 따라 석사 학위의 근거가 되는 '표절' 논문을 "철회"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역시 당사자인 김 여사가 스스로 "철회"하지 않으면 강제로 적용할 수는 없다고 봤습니다.

"논문을 강제로 취소하는 건 당사자의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란 주장까지 나온 걸로 전해졌습니다.

숙명여대는 '학위 취소'가 가능한 규정을 소급 적용할 수 있을지 정부에 문의했지만, 교육부는 "학칙에 대한 유권 해석은 정부가 하지 않는다"고 답변했습니다.

[신동순/숙명여대 중어중문학부 교수]
"김건희 씨 논문 표절에는 학위 취소가 원칙입니다. 그것이 공정이고 상식입니다."

숙명여대는 조사 이후 징계를 확정하기까지의 기한을 별도로 두지 않고 있습니다.

'표절 비율'도 끝내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문시연 숙명여대 총장은 지난해 총장 선출에 앞서 김 여사의 논문 표절 의혹을 두고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라고 말해 왔습니다.

MBC뉴스 이해선입니다.

영상취재 : 정영진 / 영상편집 : 김관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84 이민자·빈민 품어온 첫 미국 출신 교황…'레오 14세' 그는 누구 랭크뉴스 2025.05.09
50083 미국, 영국과 첫 무역 합의…기본 관세 10%는 그대로 랭크뉴스 2025.05.09
50082 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개정되면 '제2의 허경영' 처벌 못한다 랭크뉴스 2025.05.09
50081 “어려운 시기에 희망”…각국 정상, 새 교황 선출에 축하 메시지 랭크뉴스 2025.05.09
50080 ‘11일 vs 16일’ 좁히기 힘든 간극… 파국 치닫는 ‘金·韓 단일화’ 랭크뉴스 2025.05.09
50079 [속보] 트럼프, 러-우크라에 30일 휴전 요구…“안하면 더 큰 제재” 랭크뉴스 2025.05.09
50078 尹 "자승스님, 좌파나 간첩에 타살"…그날밤 군 소집했다 [尹의 1060일] 랭크뉴스 2025.05.09
50077 [교황 선출 르포] "파파! 레오네!…새 교황 등장에 바티칸 열광(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076 하이닉스 공장 짓기 천국과 지옥…美 허가에 7시간, 韓 6년째 딴죽 [기업하기 힘든 한국] 랭크뉴스 2025.05.09
50075 트럼프, 감세 위해 부자 증세 추진…‘250만 달러 이상 세금 39.6%로’ 랭크뉴스 2025.05.09
50074 새교황에 '첫 미국 출신' 프레보스트 추기경…교황명 레오 14세(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073 트럼프, 美출신 새 교황 선출되자 "나라에 큰 영광, 만나길 고대" 랭크뉴스 2025.05.09
50072 첫 美 출신 교황 어떻게 가능했나… 페루 빈민가서 사목한 중도파 랭크뉴스 2025.05.09
50071 [교황 선출] 통념 깨고 미국인 추기경 선택…연이은 아메리카 대륙 출신 랭크뉴스 2025.05.09
50070 이재명, 다자대결도 50%…尹에 졌던 PK·충청도 우세[대선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09
50069 이민자 포용한 첫 미국인 교황…'페루의 프란치스코' 레오 14세 랭크뉴스 2025.05.09
50068 김문수 "한덕수 누가 대선에 끌어냈나” 배후 지적... “다름 아닌 너” 반박 랭크뉴스 2025.05.09
50067 "아름다운 단일화도 모자랄 판에"… 단일화 진통에 시너지 '글쎄' 랭크뉴스 2025.05.09
50066 “잠재성장률 이대로면 2040년대에 마이너스”…KDI, 구조개혁 주문 랭크뉴스 2025.05.09
50065 방미 '이재명책사' 김현종 "한미·한미일 협력강화 李입장 전달"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