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인도에 3번째 공장, 왜
LG전자의 세 번째 인도 가전 공장 착공식이 8일(현지시간) 인도 남동부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 건설 현장에서 열렸다. 아랫줄 왼쪽 5번째부터 LG전자 이재성 ES사업본부장(부사장),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 나라 로케시 주(州) 인적자원개발부 장관. [사진 LG전자]
LG전자가 6억 달러(약 8400억원)를 들여 인도에 세 번째 가전 공장을 짓는다. 트럼프 발 관세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아시아·중남미·중동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인 ‘글로벌 사우스’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LG전자는 8일(현지시간) 인도 남동부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 가전공장 건설 현장에서 착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노이다와 푸네 공장에 이은 인도 내 세 번째 생산시설이다. 이날 행사에는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 ES사업본부장 이재성 부사장과 현지 주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부지 100만㎡, 연면적 22만㎡에 들어서는 스리시티 가전공장에는 총 6억달러(약 8400억원)가 투입된다. 1년간 냉장고 80만대, 세탁기 85만대, 에어컨 150만대, 에어컨 컴프 200만대를 한꺼번에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2026년 말 에어컨 초도 생산을 시작으로, 2029년까지 세탁기·냉장고·에어컨 컴프 생산 라인 등이 순차 가동될 예정이다.

이번 스리시티 신공장을 건설은 아시아·중남미·중동아프리카 등 ‘글로벌 사우스’로 불리는 신흥시장에서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LG전자 지역 전략의 일환이다. 인도는 세계 1위 인구 대국이자, 글로벌 평균 대비 2배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 중인 글로벌 사우스의 핵심 국가다. 트럼프가 인도에 상호관세율 26% 부과했음에도, 내수시장의 성장성이 매우 커 여전히 매력 적이다.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올해 첫 해외 출장지로 인도를 방문해 “인도 시장에서 어떤 차별화를 통해 경쟁 기업을 앞서갈 것인지 향후 몇 년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인도 시장 내 세탁기와 에어컨 보급률이 각각 30%와 10% 수준으로 성장 여지가 크다”라며 “빠른 경제 성장으로 프미리엄 가전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 기존 공장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인도 내 LG전자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추가 공장을 건립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LG전자는 인도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해 1997년 현지 법인 설립 이후 약 30년간 입지를 다져왔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레드시어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LG전자의 인도 시장 매출 점유율은 냉장고 28.7%, 세탁기 33.5%, 에어컨 19.4%, TV 25.8% 등으로 해당 품목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LG전자는 인도의 엄청난 잠재력을 인식하고, 인도의 발전에 전념하고 있다”며 “제조업, 혁신 및 인재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우리는 인도가 세계 경제의 핵심 기둥이 되기 위한 여정에 기여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스리시티 신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은 인도 전역과 중동,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등 인근 국가에도 공급될 예정이다. 스리시티는 인도 남동부 거점 도시 첸나이 인근으로 인도양 해안과 인접해 수출에 유리하다. 노이다(북부)와 푸네(중서부) 공장보다 인도 남부 지역에 제품을 공급하기 편리한 지리적 여건도 갖췄다.

한편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을 공식화한 상태다. 지난해 12월 6일 인도증권거래위원회에 기업공개(IPO) 관련 상장 예비심사 서류를 제출했고 상장 관련 후속 준비를 계속 진행 중이다. LG전자는 지난달 24일 실적발표 콘퍼런스 콜에서 IPO 시점에 대해 “무리하게 상장하기보다는 시장 상황과 상장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시점 등을 종합 검토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33 레오 14세, 첫 주일 기도서 '종전과 평화' 역설… "더 이상 전쟁 안 돼" 랭크뉴스 2025.05.11
46532 "너무 많이 올라서"...경총이 주장한 276만 명이 최저임금도 못 받는 이유 랭크뉴스 2025.05.11
46531 119센터 앞 가로막고 사라진 40대 ‘음주운전’ 인정 랭크뉴스 2025.05.11
46530 李 권한대행 “대선 후보자 경호에 만전 기해 달라” 랭크뉴스 2025.05.11
46529 "아파트 받으려면 매달 와라"…가정의달 웃픈 '효도계약서' 랭크뉴스 2025.05.11
46528 당원투표 부결 ‘후보교체’ 무산…혼란의 24시간 랭크뉴스 2025.05.11
46527 대표 126명 중 70명이 소집 반대… ‘李 파기환송’ 법관회의 진통 관측 랭크뉴스 2025.05.11
46526 중도 확장 급한데… 尹, ‘한덕수 카드 배후설’ 와중 재등판 랭크뉴스 2025.05.11
46525 119센터 앞 차량 방치해 긴급출동 방해…40대 음주운전 인정 랭크뉴스 2025.05.11
46524 21대 대선 7명 출사표…이재명 1번·김문수 2번·이준석 4번 랭크뉴스 2025.05.11
46523 반탄 당심 얻은 김문수…대선 레이스에선 ‘극우 연대’ 독 될 수도 랭크뉴스 2025.05.11
46522 6·3 대선에 7명 후보 등록…이재명 1번·김문수 2번·이준석 4번 랭크뉴스 2025.05.11
46521 이재명 1번·김문수 2번·이준석 4번… 21대 대선 후보 7명 등록 랭크뉴스 2025.05.11
46520 푸틴 ‘30일 휴전’ 화답 없이 “우크라와 직접 대화”…젤렌스키 “당장 하자” 랭크뉴스 2025.05.11
46519 “AI 시대 ‘인간다운 노동’ 보장해야…교황은 겸손한 종일 뿐” 랭크뉴스 2025.05.11
46518 검찰, ‘명태균 게이트’ 김건희에 소환장 랭크뉴스 2025.05.11
46517 12일부터 대선 공식 선거운동…구체적 일정은? 랭크뉴스 2025.05.11
46516 미쳤다는 말 들었지만…그녀는 기적을 일궜다 랭크뉴스 2025.05.11
46515 국힘 단일화 갈등 '어부지리'…이준석 유튜브 '실버버튼' 얻어 랭크뉴스 2025.05.11
46514 '무임승차'·'꽃가마론'에 역풍‥한덕수, 9일 만에 대권도전 좌절 랭크뉴스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