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 외교부, 연일 자제 촉구
중재국 역할은 어려울 듯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의 보안 요원들이 8일(현지시간) 순찰하고 있다./AP연합뉴스


중국이 무력 충돌을 지속하고 있는 인도·파키스탄에 연일 자제를 촉구했다. 하지만 중재국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사태 전개를 우려하고 있다”며 “인도와 파키스탄이 평화와 안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유엔 헌장을 비롯한 국제법을 준수하고 침착하게 자제해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린 대변인은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가 전날 밤 인도의 미사일 공격으로 자국 민간인 희생자와 관련해 ‘피의 복수 ’를 다짐한 것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린 대변인은 중국이 인도·파키스탄과 모두 국경을 접한 이웃나라이며 (이번 무력 충돌의 원인이 된 테러를 포함해) 모든 형태의 테리러즘에 반대한다고 전날 외교부 성명에 담긴 내용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현재 긴장을 완화하는 데 건설적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카슈미르 지역에서 벌어진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력 충돌과 관련해 두 차례 공식 성명을 발표하며 양국에 자제를 촉구해 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하지만 중국은 중재국 역할을 하기에 미묘한 입장”이라고 전했다.

파키스탄과 앙숙인 인도는 협력과 갈등을 반복하는 관계다. 1960년대 비동맹 운동이나 2009년 브릭스(BRICS) 창설 등 비서방 국가의 목소리를 높이는 행동에 중국과 인도는 협력해 왔다. 하지만 1960년대 국경문제를 두고 전쟁을 벌였으며, 현재까지도 국경을 획정하지 못했다.

파키스탄은 중국의 대표적 우호국이다. 중국은 파키스탄에 무기를 수출하며 일대일로를 비롯해 경제적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이번 사태를 촉발한 파키스탄 테러리스트들이 신장위구르 분리독립 운동과 연계돼 있다고 판단해 주시하고 있다.

파키스탄이 중국산 무기를 언급하면서 중국은 의도치 않게 양국에서 거론되고 있다. 샤리프 총리는 중국과 공동개발한 J-10 전투기로 인도의 프랑스 라팔 전투기를 격추시켰다고 전했다. 파키스탄은 중국 바깥에서 J-10C를 운용하는 유일한 국가다. 인도에서는 펀자브주에서 중국의 PL-15E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잔해가 발견됐다고 현지 매체가 보도했다.

파키스탄 “희생자 피 한 방울마다 복수할 것”···인도·파키스탄 교전 사망자 46명으로 늘어파키스탄이 자국을 미사일로 공습한 인도에 “피의 복수”를 하겠다고 경고했다.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는 7일(현지시간) 밤 TV 연설에서 “순교자들의 피 한 방울 한 방울마다 복수할 것을 맹세한다”고 밝혔다. 그는 파키스탄 국가안보위원회가 군에 인도 보복 공격 권한을 부여했다며 자신도 군에 “자위권에 따른 조처를 하도록 지시했다”고 말했다. 샤리프...https://www.khan.co.kr/article/202505081640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83 미국, 영국과 첫 무역 합의…기본 관세 10%는 그대로 랭크뉴스 2025.05.09
50082 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개정되면 '제2의 허경영' 처벌 못한다 랭크뉴스 2025.05.09
50081 “어려운 시기에 희망”…각국 정상, 새 교황 선출에 축하 메시지 랭크뉴스 2025.05.09
50080 ‘11일 vs 16일’ 좁히기 힘든 간극… 파국 치닫는 ‘金·韓 단일화’ 랭크뉴스 2025.05.09
50079 [속보] 트럼프, 러-우크라에 30일 휴전 요구…“안하면 더 큰 제재” 랭크뉴스 2025.05.09
50078 尹 "자승스님, 좌파나 간첩에 타살"…그날밤 군 소집했다 [尹의 1060일] 랭크뉴스 2025.05.09
50077 [교황 선출 르포] "파파! 레오네!…새 교황 등장에 바티칸 열광(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076 하이닉스 공장 짓기 천국과 지옥…美 허가에 7시간, 韓 6년째 딴죽 [기업하기 힘든 한국] 랭크뉴스 2025.05.09
50075 트럼프, 감세 위해 부자 증세 추진…‘250만 달러 이상 세금 39.6%로’ 랭크뉴스 2025.05.09
50074 새교황에 '첫 미국 출신' 프레보스트 추기경…교황명 레오 14세(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073 트럼프, 美출신 새 교황 선출되자 "나라에 큰 영광, 만나길 고대" 랭크뉴스 2025.05.09
50072 첫 美 출신 교황 어떻게 가능했나… 페루 빈민가서 사목한 중도파 랭크뉴스 2025.05.09
50071 [교황 선출] 통념 깨고 미국인 추기경 선택…연이은 아메리카 대륙 출신 랭크뉴스 2025.05.09
50070 이재명, 다자대결도 50%…尹에 졌던 PK·충청도 우세[대선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09
50069 이민자 포용한 첫 미국인 교황…'페루의 프란치스코' 레오 14세 랭크뉴스 2025.05.09
50068 김문수 "한덕수 누가 대선에 끌어냈나” 배후 지적... “다름 아닌 너” 반박 랭크뉴스 2025.05.09
50067 "아름다운 단일화도 모자랄 판에"… 단일화 진통에 시너지 '글쎄' 랭크뉴스 2025.05.09
50066 “잠재성장률 이대로면 2040년대에 마이너스”…KDI, 구조개혁 주문 랭크뉴스 2025.05.09
50065 방미 '이재명책사' 김현종 "한미·한미일 협력강화 李입장 전달" 랭크뉴스 2025.05.09
50064 경제계 만난 이재명 “계엄 선포하듯 주 4.5일제 추진 안해”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