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대로면…한국 미래 ‘암울’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전망총괄이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잠재성장률 전망과 정책적 시사점’ 브리핑에서 영상으로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KDI “비관 시나리오 땐 ‘역성장’…생산성 개선해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인구 고령화로 인해 한국 잠재성장률이 15년 뒤부터는 0.1%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KDI가 3년 전 발표한 전망치보다 크게 떨어진 수치로 한국은행 전망치(0.7%)보다도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KDI는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생산성이 높은 혁신기업이 생길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추고, 일·가정 양립 등을 통해 노동력 감소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DI는 8일 내놓은 ‘잠재성장률 전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하락세를 지속해 2040년대에는 0.1%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KDI는 올해 1.8%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이 2030년대에는 평균 0.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잠재성장률이란 한 나라 경제가 가진 자본, 노동력, 자원 등을 모두 활용해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이룰 수 있는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말한다.

이번 수치는 3년 전 KDI 전망치보다 한참 낮다. 당시 KDI는 2030년대에는 평균 잠재성장률이 1.3%, 2040년대에는 0.7%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잠재성장률 전망치와 비교해도 비관적이다. 한은은 2040년대 초반 잠재성장률은 0.7%, 중후반에는 0.6%를 각각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KDI는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를 잠재성장률 하락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가 노동 투입은 물론 생산성 향상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인구 고령화에 총요소 생산성이 낮아지는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019년 정점(3763만명)을 찍은 뒤 빠르게 줄고 있으며, 고령인구(65세 이상)는 2025년 20.3%에서 2050년 40.1%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KDI는 그러나 인공지능(AI) 기술 발전과 경제 구조개혁 등의 영향으로 생산성이 반등하면 2040년대에도 평균 0.5% 성장할 것이라는 ‘낙관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반면 통상갈등이 지속되고 경제 구조개혁이 지체되는 ‘비관 시나리오’에서는 2040년대에 -0.3%까지 잠재성장률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경제 구조개혁을 통한 총요소 생산성 개선에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진입장벽을 완화해 생산성이 높은 혁신기업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경쟁을 제한하는 규제를 개선해 생산성 향상의 유인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를 완화하기 위해 일·가정 양립, 고령층 경제활동 촉진, 노동시장 개방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KDI는 이어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공적 연금이 정부 재정에 작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공적 연금 체계를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33 AI 과속하다 본업 소홀했나, 회장까지 사과하게 만든 SKT 사태 랭크뉴스 2025.05.09
50132 [단독]오늘도 ‘쿵쿵’···층간소음 기준 미달에도 ‘준공’, 성능검사는 하나 마나? 랭크뉴스 2025.05.09
50131 홍준표, 권영세·권성동 겨냥 "윤석열 데리고 올 때부터 망조" 랭크뉴스 2025.05.09
50130 단일화 난항에, 국힘서 뜨는 '동탄모델'…"중도·무당층 30%" 랭크뉴스 2025.05.09
50129 [단독]층간소음 기준 미달에도 ‘준공 승인’…구멍 난 층간소음 성능검사제도 랭크뉴스 2025.05.09
50128 이재명 당선 땐 ‘불소추특권’ 쟁점…또 헌재의 시간 오나 랭크뉴스 2025.05.09
50127 미·영 무역 협상 합의에 뉴욕증시 강세 마감 랭크뉴스 2025.05.09
50126 "간장게장 만들어야 하는데 어쩌나"…연평도 꽃게 어획량 90% 급감한 이유가 랭크뉴스 2025.05.09
50125 3월 한국 경상수지 91.4억달러…23개월 연속 흑자 랭크뉴스 2025.05.09
50124 ‘첫 미국 출신’ 프레보스트 추기경 새 교황으로…교황명 ‘레오 14세’ 랭크뉴스 2025.05.09
50123 김현종, 이재명 메시지 들고 백악관 고위급 면담…“통상 협상 시간 필요” 랭크뉴스 2025.05.09
50122 미국·영국 첫 무역 합의···영국산 자동차 관세 인하, 철강 관세는 폐지 랭크뉴스 2025.05.09
50121 “각목만 안 든 당권 찬탈전”…국힘 지도부 ‘김문수 축출’ 무리수 랭크뉴스 2025.05.09
50120 국민의힘, '단일후보' 여론조사 종료…김문수, 영남 방문 취소 랭크뉴스 2025.05.09
50119 새 교황에 ‘첫 미국인’ 프레보스트 추기경…“모두에게 평화 있기를” 랭크뉴스 2025.05.09
50118 '새 교황' 레오 14세, 2년 뒤 한국 온다…역대 교황 4번째 방한 랭크뉴스 2025.05.09
50117 [교황 선출] 레오 14세 2년 후 한국 온다…역대 4번째 방한 예약 랭크뉴스 2025.05.09
50116 "10% 할인에 10% 또 환급"…전통시장서 '이 상품권' 쓰세요 랭크뉴스 2025.05.09
50115 [르포] “스벅 커피 한잔에 9200원”...‘인플레 공포’에 떠는 튀르키예 랭크뉴스 2025.05.09
50114 "알량한 후보직" 비난‥'파국' 수준 충돌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