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오늘 이러한 생중계는 만날 장소와 시간을 정하고 한덕수 후보를 불러들인, 김문수 후보 측 요청으로 이뤄졌습니다.
생중계로 서로의 입장차만 거듭 확인되고 지지자들의 고성과 항의까지 그대로 노출되면서 갈등만 더 부각됐단 평가가 나오는데요.
상대와 맞설 땐, 대결 방식은 물론이고 때와 장소도 중요하다는데, 과연 누구에게 더 유리한 회동이었을까요?
홍의표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국회 사랑재 앞 회동 장소로 향하는 입구에 국민의힘 의원들이 도열했습니다.
소속 당 김문수 후보뿐 아니라 무소속 한덕수 후보에게도 꽃다발을 건넸습니다.
[박형수/국민의힘 의원]
"두 분께서는 저희들의 이 호소를 잘 받아들이셔서 오늘 중으로 반드시 단일화 협상을 끝내고…"
의원들은 '후보 등록 전 단일화' 손팻말로 김문수 후보를 압박했습니다.
대화 시작은 화기애애했습니다.
[한덕수/무소속 대선 후보 - 김문수/국민의힘 대선 후보]
"제가 제일 좋아하는 국무위원이셨습니다, 장관님. 최고! <제가 제일 좋아하는 우리 총리님.>"
하지만, 논의에 진전은 없었습니다.
한덕수 후보는 "22번 단일화를 약속했다"는 말을 반복하며 압박했고, 김문수 후보는 "왜 입당하지 않느냐"고 맞받았습니다.
두 번째 회동은 첫 회동과 달리 모든 내용이 공개됐고, 심지어 실시간으로 생중계됐습니다.
김 후보 측이 국회 사랑재 뒤 야외 테이블 공개된 장소를 제안하며 벌어진 상황인데, 비공개 1차 회동 이후 설명이 엇갈리며 뒷말이 나왔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한덕수/무소속 대선 후보]
"언론들이 다 이렇게 있는 데서 얘기를 할 수 있었다는 게 너무 다행입니다. 이렇게 그냥 얘기를 하고 헤어진 다음에 또 일방적인 말씀을 하시니까…"
사상 초유의 공개 회담이다 보니, 속 깊은 얘기보다 원론적인 얘기만 평행선을 달렸고, 지지자들의 고성은 끼어들기 일쑤였습니다.
[한덕수/무소속 대선 후보]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있는 정당이 우리 국민을, <대통령은 김문수다!> 일종의 국민의 대표로서 통치하고 국가를 통치하는 것은 저는 그것은… <대통령은 김문수입니다!>"
초유의 생중계 회동으로 극적인 효과도 노린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두 후보 모두 타협의 여지가 전혀 없다는 사실만 부각되면서 다음 회동을 기약하기는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MBC뉴스 홍의표입니다.
영상취재: 권혁용 / 영상편집: 유다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