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숍에서 1시간 2차 공개 회동
기존 주장 반복하며 대화 헛바퀴
표현·행동 묘사에 불쾌감 표시도
기존 주장 반복하며 대화 헛바퀴
표현·행동 묘사에 불쾌감 표시도
김문수(오른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만나 회동 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후보께서 저와 단일화하겠다고 22번이나 말씀하셨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
"선거운동도, 등록도 안 하겠다는 건 그냥 자리 내놔라 아닌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8일 오후 4시 30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 옆 커피숍.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1차 담판 결렬 하루 만에 다시 마주 앉았다. 웃는 표정으로 시작한 둘의 만남은 결국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고 얼굴만 붉히다 끝이 났다. "결판을 내자"고 끈질기게 밀어 붙이는 한 전 총리를 향해 김 후보는 "청구서 내미느냐"며 냉랭한 반응을 보였다.
이날 2차 회동은 모든 과정이 공개된 장소에서 이뤄졌다. 약속시간 5분전 김 후보가 먼저 도착하자 지지자들은 "쌍권 사퇴" "김문수 화이팅" 등을 외쳤다. 이어 약 3분 후 한 전 총리도 도착해 김 후보와 반갑게 손을 맞잡았다. 지지자들의 외침으로 어수선한 분위기에도 일단 둘의 만남은 화기애애하게 시작했다. 한 전 총리가 "제가 가장 좋아하는 국무위원이셨다"면서 먼저 김 후보를 추켜세웠고, 김 후보도 "제일 좋아하는 총리님"이라며 화답했다. 회동 직전 국민의힘 현역 의원 30여 명은 현장에 집결해 '후보 등록 전 단일화'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두 사람에게 꽃다발을 증정하며 합의를 압박했다.
그러나 둘의 대화가 본론에 들어가자 분위기는 한순간에 얼어붙었다. 한 전 총리가 "김 후보께서 18일 동안 22번이나 단일화를 하겠다고 했다"면서 "오늘 (단일화) 제대로 못 해내면 후보님이나 저나 속된 말로 '바로 가버린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모든 방법은 다 당에서 하라는 대로 받겠다"며 지연의 책임을 김 후보 측에 돌렸다. 김 후보는 "경선이 다 끝난 다음 나타나서 왜 약속을 22번 해놓고 안 지키느냐고 청구서를 내미는 건 문제"라며 '무임승차론'으로 맞받았다.
양측 감정이 격해지자 표현이나 행동을 불쾌해하며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김 후보가 "11일 지나면 후보 등록을 안 하겠다는 분이 단일화를 하라는 건 그냥 자리를 내놓으란 것 아니냐"고 하자 한 전 총리는 "선을 넘어서 말씀하신 것 같다"며 불쾌해 했다. 또 김 후보가 전날 한 전 총리의 기자회견을 거론하며 턱을 들고 가슴을 쫙 펴는 제스쳐를 취하자 한 전 총리는 "그렇게 하지 않고 깊이 인사드리며 했다"면서 허리를 숙이는 시늉을 했다.
한 시간 동안 한치의 양보 없이
김문수(오른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경내 커피숍에서 후보 단일화 관련 공개 회동을 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그 후로도 김 후보와 한 전 총리는 대화 내내 기존 주장만 반복하면서 한 발도 양보하지 않았다. 1시간여가 지나자 한 전 총리가 "똑같은 얘기를 계속하는 것도 국민에 대한 얘기가 아니니 이 정도에서 끝내자"고 말하면서 회동은 오후 5시 32분 공식 종료됐다.
하지만 기싸움은 장외에서까지 이어졌다. 김 후보는 회동 후 자리를 떠나며 기자들에게 "한 전 총리 때문에 경선의 김이 다 빠지고 전체적으로 (지지율이) 낙하했다"며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도 여론조사 지지율은 높았지만 실제로 못 뛰고 졌다"고 꼬집었다. 한 전 총리도 "김 후보가 실제로 단일화를 말한 건 (앞서 지적한) 22번보다 수십 번은 더 얹어야 할 것"이라고 불편한 심경을 에둘러 표현했다. 두 사람은 이날도 다시 만날 약속을 잡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