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 공개 회동 또 ‘빈손’으로
金 “韓 입당하면 단일화 논의 차원 달라져“
韓 “당 지도부와 경선 영향 줄 소통 안 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8일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의 2차 담판 회동 이후 “내일이라도 다시 만나자고 제안할 것”이라고 했다. 한 후보는 ’11일 전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향후 행보에 대해 개헌연대 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두 후보는 이날 오후 국회 사랑재 야외 커피숍에서 1시간 공개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 후보는 단일화 추가 협상을 위한 회동 여부에 대해 “언제든지 더 만나고 내일이라도 다시 만나자고 제안할 것”이라고 했다.
단일화를 둘러싸고 깊어진 당 내홍을 수습할 방안에 대해선 “선거운동이라는 건 자기와 생각이 다르거나 모르는 분들을 확보하는 과정”이라며 “당내에서 저를 지지하지 않는 분들은 당연히 제가 찾아뵙고 설득할 것”이라고 했다.
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여론조사 지지율에 대해선 “여론조사 지지율이 고정된 게 아니다. 방법과 시점에 따라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금방 해결될 수 있고 공식적으로 당 선거대책위원회가 발족하고 선거운동을 하기 시작하면 바로 급상승할 것으로 믿고 있다”고 했다. 당의 공식 후보로 최종 확정되면 지지율이 올라가고 당 내부도 단합하면서 갈등이 봉합될 것이란 뜻으로 풀이된다.
그는 이른바 ‘한덕수 차출론’을 기획한 세력이 있을 것이란 배후설도 재차 제기했다. 김 후보는 “경선과정에서 계속 다른 작업이 있었다. 이 부분은 올바르지도 않고 반드시 나중에 찾아서 엄중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했다.
김 후보는 회담 내내 한 후보에게 당에 먼저 입당할 것을 요청했다. 이와 관련, ‘한 후보가 입당할 경우 후보등록 전까지 단일화 방안이 있나’라는 물음에 김 후보는 “입당하게 되면 우리 당원”이라며 “어떻게 할 건지는 지금 바깥에서 얘기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지 않나”라면서도 구체적인 방안은 언급하지 않았다.
김 후보에 이어 카메라 앞에서 선 한 후보는 ‘단일화 불협화음으로 시너지 효과가 이미 줄어든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정치 최고 전문가들이 판단할 일이다. 그 문제는 판단하지 않겠다”라고 했다.
특히 한 후보는 마지노선으로 정한 오는 11일까지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후 행보에 대해 김 후보를 지원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끼리 뭉쳐야 한다”며 “단일화가 어느 쪽으로 되든 저는 김 후보를 열심히 제가 할 수 있는 한 도울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게 국민에 경제 문제를 제대로 설명하는 게 될지, 외교 문제를 설명하는 게 될지 모르겠지만 50년 쌓은 경험을 총동원해 힘을 모을 것”이라며 “개헌연대가 힘을 합치도록 제 나름대로 하겠다”고 했다.
또 대선 출마 과정에서 국민의힘 지도부와의 소통 여부에 대해선 “경선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아울러 김 후보가 경선 과정에서 자신과의 단일화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히지 않았더라도 출마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단일화가 전제되지 않는 이번 선거는 굉장히 어려운 선거가 될 것”이라며 “반드시 돼야 하고 되리라 믿는다.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후보 등록을 하는 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했다.
金 “韓 입당하면 단일화 논의 차원 달라져“
韓 “당 지도부와 경선 영향 줄 소통 안 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8일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의 2차 담판 회동 이후 “내일이라도 다시 만나자고 제안할 것”이라고 했다. 한 후보는 ’11일 전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향후 행보에 대해 개헌연대 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회동을 마친 후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두 후보는 이날 오후 국회 사랑재 야외 커피숍에서 1시간 공개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 후보는 단일화 추가 협상을 위한 회동 여부에 대해 “언제든지 더 만나고 내일이라도 다시 만나자고 제안할 것”이라고 했다.
단일화를 둘러싸고 깊어진 당 내홍을 수습할 방안에 대해선 “선거운동이라는 건 자기와 생각이 다르거나 모르는 분들을 확보하는 과정”이라며 “당내에서 저를 지지하지 않는 분들은 당연히 제가 찾아뵙고 설득할 것”이라고 했다.
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여론조사 지지율에 대해선 “여론조사 지지율이 고정된 게 아니다. 방법과 시점에 따라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금방 해결될 수 있고 공식적으로 당 선거대책위원회가 발족하고 선거운동을 하기 시작하면 바로 급상승할 것으로 믿고 있다”고 했다. 당의 공식 후보로 최종 확정되면 지지율이 올라가고 당 내부도 단합하면서 갈등이 봉합될 것이란 뜻으로 풀이된다.
그는 이른바 ‘한덕수 차출론’을 기획한 세력이 있을 것이란 배후설도 재차 제기했다. 김 후보는 “경선과정에서 계속 다른 작업이 있었다. 이 부분은 올바르지도 않고 반드시 나중에 찾아서 엄중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했다.
김 후보는 회담 내내 한 후보에게 당에 먼저 입당할 것을 요청했다. 이와 관련, ‘한 후보가 입당할 경우 후보등록 전까지 단일화 방안이 있나’라는 물음에 김 후보는 “입당하게 되면 우리 당원”이라며 “어떻게 할 건지는 지금 바깥에서 얘기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지 않나”라면서도 구체적인 방안은 언급하지 않았다.
김 후보에 이어 카메라 앞에서 선 한 후보는 ‘단일화 불협화음으로 시너지 효과가 이미 줄어든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정치 최고 전문가들이 판단할 일이다. 그 문제는 판단하지 않겠다”라고 했다.
특히 한 후보는 마지노선으로 정한 오는 11일까지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후 행보에 대해 김 후보를 지원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끼리 뭉쳐야 한다”며 “단일화가 어느 쪽으로 되든 저는 김 후보를 열심히 제가 할 수 있는 한 도울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게 국민에 경제 문제를 제대로 설명하는 게 될지, 외교 문제를 설명하는 게 될지 모르겠지만 50년 쌓은 경험을 총동원해 힘을 모을 것”이라며 “개헌연대가 힘을 합치도록 제 나름대로 하겠다”고 했다.
또 대선 출마 과정에서 국민의힘 지도부와의 소통 여부에 대해선 “경선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아울러 김 후보가 경선 과정에서 자신과의 단일화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히지 않았더라도 출마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단일화가 전제되지 않는 이번 선거는 굉장히 어려운 선거가 될 것”이라며 “반드시 돼야 하고 되리라 믿는다.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후보 등록을 하는 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