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 - 6.3 대선주자 탐구 6.3 대선에 도전장을 내민 사람들. 나라를 맡겠다는 그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그들이 언제 어떻게 정치 무대에 올랐는지, 정치를 하기 전에는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기억하시나요? 세월이 바꾸는 건 강산만이 아닙니다. 노래 가사처럼 사람들은 모두 변하고 세상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6.3 대선주자 탐구(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2)’입니다. 그들의 사상과 전략, 공약, 지지 기반 같은 것에 천착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들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면서 탄생과 성장과 사랑과 투쟁의 이야기, 즉 땀냄새나는 삶 속으로 들어가 보려 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선주자 탐구-한덕수②

노무현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 중앙포토

" 사람이 참 착하고 선해. 아주 참 양종(良種)이야. "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이하 경칭 생략)에 대해 내린 평가다. 노무현 정부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던 A가 최근 ‘대선주자 탐구’ 취재팀에 전해준 말이다.

요즘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양종’이란 단어는 말 그대로 ‘좋은 종자’라는 뜻이다. 사람에게 적용하면 ‘타고 난 품성이 우수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만큼 노 전 대통령은 한덕수를 좋아했다. 능력 있는 관료로선 말할 것도 없고 사람 자체를 좋아했다. 그에게 잇따라 중책을 맡긴 이유다.

‘관료 한덕수’라는 종자는 김대중 정부 때 꽃을 피웠고, 노무현 정부 때 결실을 보았다. 김대중 대통령은 1998년 신설한 통상교섭본부의 본부장(장관급)으로 당시 49세인 한덕수를 발탁했고 이후 청와대 정책기획수석·경제수석으로 소중하게 썼다.

노 전 대통령 역시 그를 귀하게 여겼다. ‘한·중 마늘 협상’(2002년)으로 인한 여론 악화에 책임을 지고 공직을 떠났던 한덕수를 다시 정부로 불러 국무조정실장이란 중책을 맡겼다. 그건 시작에 불과했다.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 관료의 꿈인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거쳐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인 국무총리에까지 올랐다.

그런데 한덕수는 노무현 정부의 후계자이자 적자임을 자임했던 문재인 정부에선 공직을 하나도 맡지 못했다. 왜 그랬을까. 노무현 정부가 종료되고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전임 정부 사람들이 모여 회동한 적이 있었다. 그 자리에 있었던 A에 따르면 그때 모인 사람들의 대화 속에서 그 이유에 대한 힌트가 나왔다.

" 한덕수는 없네? " 누군가 꺼낸 혼잣말에 또 다른 누군가가 화답했다. 비아냥이었다.
" 그 양반? 어제는 노무현 사람이었는데 오늘은 다른 이의 사람이 됐잖아? "
그가 가리킨 ‘다른 이’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었다.

이명박 대통령과 한덕수 주미대사가 26일 청와대에서 임명장 수여식 후 환담장으로 향하고 있다. 중앙포토
노무현 정부의 마지막 국무총리이자 이명박 정부의 초대 주미대사. 한덕수의 이력 중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이다. 전 정부의 주요 인사가 다음 정부에서 장관급인 초대 주미대사로 기용한 건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A는 그의 행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 노무현 정부에서 실장·수석·장관으로 함께 일한 사람들이 모여서 가끔 식사 자리를 가져요. 그런데 그런 자리에 한덕수는 한 번도 안 불렀죠. 노 대통령 임기가 끝난 뒤 바로 이명박 정부로 갔잖아요. 솔직히 좀 서운했죠. 어떤 이는 ‘어제까진 노무현 사람이었다가 오늘부턴 이명박 사람인 거냐’고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어요. " 서운함은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분노, 그리고 배신감을 바뀌었다. 한덕수가 노 전 대통령 장례식에 불참한 게 도화선이 됐다. 노무현의 사람들이 보기에 한덕수는 ‘노무현의 총리에서 이명박의 주미대사가 된 변절자’ ‘자신을 총리로 기용해준 대통령의 장례식에도 불참한 배신자’였던 셈이다.

그런데 이건 온당한 평가일까. 한덕수는 왜 그 장례식에 불참했을까. 그리고 어찌 보면 공직의 급을 낮춰서까지 이명박 정부에 들어간 이유는 무엇일까. 또한 “김대중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호남이 고향이라는 사실을 숨겼다”는 비판자들의 지적은 맞는 이야기일까.

※ 기사의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노무현 “사람이 참 양종이야”…그 한덕수, 盧장례식 불참 사연 [한덕수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455
더중앙플러스 - 6.3 대선주자 탐구 “한덕수, 이재명 때문에 베네수엘라화 되는 것에 분노” [한덕수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960

"박근혜 '정권연장' 강한 의지…한덕수 나오면 밀어줄 수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094

“이 빨갱이! 심상정 불어!” 통닭구이 고문 버틴 김문수[김문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4

수배고 뭐고 고향 달려갔다…“문수야 안아줘” 엄마의 마지막 [김문수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3

그 여자, 김문수랑 결혼한다고? 경찰은 ‘닭장차 5대’ 보냈다 [김문수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85

욕먹고 여당 간 혁명가 김문수…첫 상대, 무려 박지원이었다 [김문수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312

김문수에 “밥 한끼 사주고 싶소”…98년 성탄전야, 한 노인의 접대 [김문수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432

43세 김문수, 서울대 졸업…모친의 ‘마지막 유언’ 지켰다 [김문수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86

이재명, 수면제 수십알 삼켰다…아버지 죽도록 미웠던 17살 [이재명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76

고졸 따낸 이재명 “최고의 날”…아버지는 “다시 공장 다녀라” [이재명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43

이재명 “저 사시 붙었어요”…부친의 눈물, 그게 임종이었다 [이재명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44

이재명 생가마을서 만난 노인 “재맹이? 아버지 닮아 머리 좋아” [이재명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680

대낮 납치된 성남노조 간부…“이변”이라 불린 청년의 등장 [이재명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95

이재명도 아버지도 움찔했다…“내를 때리소!” 모친의 반란 [이재명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71

“니들은 되고 김문수는 안되냐” 30년 동지 홍준표 ‘마지막 의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147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84 친윤 등에 업은 한덕수의 ‘노욕극’…당원 퇴짜 맞고 ‘폐막’ 랭크뉴스 2025.05.11
46483 새벽 틈탄 무리한 후보교체에 돌아선 당심… 金 “놀라운 기적” 랭크뉴스 2025.05.11
46482 “밥에 돌이 없어야 한다” 김장하 선생에게 들은 말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11
46481 레오 14세 교황, 첫 부활 삼종기도서 '종전·평화' 촉구 랭크뉴스 2025.05.11
46480 "원팀으로 승리" 金, 다시 權 손잡았지만…국힘 파열음 여전 랭크뉴스 2025.05.11
46479 김문수 기사회생…분열만 낳은 ‘자폭 단일화’ 랭크뉴스 2025.05.11
46478 영국에겐 자동차 품목 관세 인하한 미국... "한국은 상황 다르다" 랭크뉴스 2025.05.11
46477 국힘, 尹 출당 요구에 “지나간 일 매몰돼 미래 희석되지 않도록 할것” 랭크뉴스 2025.05.11
46476 "결혼 할래요" 미혼남녀 돌변…출생아 수 줄었는데,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5.11
46475 '첫날 10시간 마라톤회담' 미·중, 이틀째 무역 협상 돌입 랭크뉴스 2025.05.11
46474 '아무것도 생각 않는다'…분주한 일상 잊고 멍때리기 한판 랭크뉴스 2025.05.11
46473 안철수·한동훈 저격에 당원이 지원사격… 김문수 어떻게 살아났나 랭크뉴스 2025.05.11
46472 ‘명태균 의혹’ 김건희 檢 소환 통보…尹은 12일 첫 포토라인 랭크뉴스 2025.05.11
46471 "96점 받았는데 떨어졌습니다"…'역대급 합격선' 9급 공무원 직렬은? 랭크뉴스 2025.05.11
46470 "10만 원 넣으면 10만 원 얹어준다"…목돈 마련할 수 있는 기회 '대박' 랭크뉴스 2025.05.11
46469 "제가 동생을 죽였어요"…알고보니 계모짓? 학대받는 '어린 의뢰인' 안 나오려면 [김수호의 리캐스트] 랭크뉴스 2025.05.11
46468 선거운동 개시 앞두고 전열 정비 나선 국민의힘... 후보교체 여진은 ‘아직’(종합) 랭크뉴스 2025.05.11
46467 석탄 제친 원자력작년 발전원 ‘1위’… 18년 만에, 생산 전력 ⅓ 차지 랭크뉴스 2025.05.11
46466 국힘, 후보교체 후폭풍…비주류 반발 속 통합 앞세워 봉합 시도(종합) 랭크뉴스 2025.05.11
46465 다시 의총 나온 김문수, ‘큰절 사과’ 하자 ‘기립 박수’…권성동 한 말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