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 - 6.3 대선주자 탐구 6.3 대선에 도전장을 내민 사람들. 나라를 맡겠다는 그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그들이 언제 어떻게 정치 무대에 올랐는지, 정치를 하기 전에는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기억하시나요? 세월이 바꾸는 건 강산만이 아닙니다. 노래 가사처럼 사람들은 모두 변하고 세상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6.3 대선주자 탐구(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2)’입니다. 그들의 사상과 전략, 공약, 지지 기반 같은 것에 천착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들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면서 탄생과 성장과 사랑과 투쟁의 이야기, 즉 땀냄새나는 삶 속으로 들어가 보려 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선주자 탐구-한덕수②

노무현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 중앙포토

" 사람이 참 착하고 선해. 아주 참 양종(良種)이야. "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이하 경칭 생략)에 대해 내린 평가다. 노무현 정부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던 A가 최근 ‘대선주자 탐구’ 취재팀에 전해준 말이다.

요즘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양종’이란 단어는 말 그대로 ‘좋은 종자’라는 뜻이다. 사람에게 적용하면 ‘타고 난 품성이 우수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만큼 노 전 대통령은 한덕수를 좋아했다. 능력 있는 관료로선 말할 것도 없고 사람 자체를 좋아했다. 그에게 잇따라 중책을 맡긴 이유다.

‘관료 한덕수’라는 종자는 김대중 정부 때 꽃을 피웠고, 노무현 정부 때 결실을 보았다. 김대중 대통령은 1998년 신설한 통상교섭본부의 본부장(장관급)으로 당시 49세인 한덕수를 발탁했고 이후 청와대 정책기획수석·경제수석으로 소중하게 썼다.

노 전 대통령 역시 그를 귀하게 여겼다. ‘한·중 마늘 협상’(2002년)으로 인한 여론 악화에 책임을 지고 공직을 떠났던 한덕수를 다시 정부로 불러 국무조정실장이란 중책을 맡겼다. 그건 시작에 불과했다.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 관료의 꿈인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거쳐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인 국무총리에까지 올랐다.

그런데 한덕수는 노무현 정부의 후계자이자 적자임을 자임했던 문재인 정부에선 공직을 하나도 맡지 못했다. 왜 그랬을까. 노무현 정부가 종료되고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전임 정부 사람들이 모여 회동한 적이 있었다. 그 자리에 있었던 A에 따르면 그때 모인 사람들의 대화 속에서 그 이유에 대한 힌트가 나왔다.

" 한덕수는 없네? " 누군가 꺼낸 혼잣말에 또 다른 누군가가 화답했다. 비아냥이었다.
" 그 양반? 어제는 노무현 사람이었는데 오늘은 다른 이의 사람이 됐잖아? "
그가 가리킨 ‘다른 이’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었다.

이명박 대통령과 한덕수 주미대사가 26일 청와대에서 임명장 수여식 후 환담장으로 향하고 있다. 중앙포토
노무현 정부의 마지막 국무총리이자 이명박 정부의 초대 주미대사. 한덕수의 이력 중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이다. 전 정부의 주요 인사가 다음 정부에서 장관급인 초대 주미대사로 기용한 건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A는 그의 행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 노무현 정부에서 실장·수석·장관으로 함께 일한 사람들이 모여서 가끔 식사 자리를 가져요. 그런데 그런 자리에 한덕수는 한 번도 안 불렀죠. 노 대통령 임기가 끝난 뒤 바로 이명박 정부로 갔잖아요. 솔직히 좀 서운했죠. 어떤 이는 ‘어제까진 노무현 사람이었다가 오늘부턴 이명박 사람인 거냐’고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어요. " 서운함은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분노, 그리고 배신감을 바뀌었다. 한덕수가 노 전 대통령 장례식에 불참한 게 도화선이 됐다. 노무현의 사람들이 보기에 한덕수는 ‘노무현의 총리에서 이명박의 주미대사가 된 변절자’ ‘자신을 총리로 기용해준 대통령의 장례식에도 불참한 배신자’였던 셈이다.

그런데 이건 온당한 평가일까. 한덕수는 왜 그 장례식에 불참했을까. 그리고 어찌 보면 공직의 급을 낮춰서까지 이명박 정부에 들어간 이유는 무엇일까. 또한 “김대중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호남이 고향이라는 사실을 숨겼다”는 비판자들의 지적은 맞는 이야기일까.

※ 기사의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노무현 “사람이 참 양종이야”…그 한덕수, 盧장례식 불참 사연 [한덕수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455
더중앙플러스 - 6.3 대선주자 탐구 “한덕수, 이재명 때문에 베네수엘라화 되는 것에 분노” [한덕수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960

"박근혜 '정권연장' 강한 의지…한덕수 나오면 밀어줄 수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094

“이 빨갱이! 심상정 불어!” 통닭구이 고문 버틴 김문수[김문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4

수배고 뭐고 고향 달려갔다…“문수야 안아줘” 엄마의 마지막 [김문수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3

그 여자, 김문수랑 결혼한다고? 경찰은 ‘닭장차 5대’ 보냈다 [김문수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85

욕먹고 여당 간 혁명가 김문수…첫 상대, 무려 박지원이었다 [김문수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312

김문수에 “밥 한끼 사주고 싶소”…98년 성탄전야, 한 노인의 접대 [김문수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432

43세 김문수, 서울대 졸업…모친의 ‘마지막 유언’ 지켰다 [김문수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86

이재명, 수면제 수십알 삼켰다…아버지 죽도록 미웠던 17살 [이재명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76

고졸 따낸 이재명 “최고의 날”…아버지는 “다시 공장 다녀라” [이재명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43

이재명 “저 사시 붙었어요”…부친의 눈물, 그게 임종이었다 [이재명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44

이재명 생가마을서 만난 노인 “재맹이? 아버지 닮아 머리 좋아” [이재명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680

대낮 납치된 성남노조 간부…“이변”이라 불린 청년의 등장 [이재명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95

이재명도 아버지도 움찔했다…“내를 때리소!” 모친의 반란 [이재명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71

“니들은 되고 김문수는 안되냐” 30년 동지 홍준표 ‘마지막 의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147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082 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 개정되면 '제2의 허경영' 처벌 못한다 랭크뉴스 2025.05.09
50081 “어려운 시기에 희망”…각국 정상, 새 교황 선출에 축하 메시지 랭크뉴스 2025.05.09
50080 ‘11일 vs 16일’ 좁히기 힘든 간극… 파국 치닫는 ‘金·韓 단일화’ 랭크뉴스 2025.05.09
50079 [속보] 트럼프, 러-우크라에 30일 휴전 요구…“안하면 더 큰 제재” 랭크뉴스 2025.05.09
50078 尹 "자승스님, 좌파나 간첩에 타살"…그날밤 군 소집했다 [尹의 1060일] 랭크뉴스 2025.05.09
50077 [교황 선출 르포] "파파! 레오네!…새 교황 등장에 바티칸 열광(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076 하이닉스 공장 짓기 천국과 지옥…美 허가에 7시간, 韓 6년째 딴죽 [기업하기 힘든 한국] 랭크뉴스 2025.05.09
50075 트럼프, 감세 위해 부자 증세 추진…‘250만 달러 이상 세금 39.6%로’ 랭크뉴스 2025.05.09
50074 새교황에 '첫 미국 출신' 프레보스트 추기경…교황명 레오 14세(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073 트럼프, 美출신 새 교황 선출되자 "나라에 큰 영광, 만나길 고대" 랭크뉴스 2025.05.09
50072 첫 美 출신 교황 어떻게 가능했나… 페루 빈민가서 사목한 중도파 랭크뉴스 2025.05.09
50071 [교황 선출] 통념 깨고 미국인 추기경 선택…연이은 아메리카 대륙 출신 랭크뉴스 2025.05.09
50070 이재명, 다자대결도 50%…尹에 졌던 PK·충청도 우세[대선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09
50069 이민자 포용한 첫 미국인 교황…'페루의 프란치스코' 레오 14세 랭크뉴스 2025.05.09
50068 김문수 "한덕수 누가 대선에 끌어냈나” 배후 지적... “다름 아닌 너” 반박 랭크뉴스 2025.05.09
50067 "아름다운 단일화도 모자랄 판에"… 단일화 진통에 시너지 '글쎄' 랭크뉴스 2025.05.09
50066 “잠재성장률 이대로면 2040년대에 마이너스”…KDI, 구조개혁 주문 랭크뉴스 2025.05.09
50065 방미 '이재명책사' 김현종 "한미·한미일 협력강화 李입장 전달" 랭크뉴스 2025.05.09
50064 경제계 만난 이재명 “계엄 선포하듯 주 4.5일제 추진 안해” 랭크뉴스 2025.05.09
50063 서울 도심서 마약 후 롤스로이스 몬 남성…결국 사고 내고 구속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