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잘 죽을 권리 프란치스코 교황이 지난달 21일 산타 마르타의 집에서 조용히 눈을 감았습니다. 교황은 수년 전부터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하지 않겠다는 뜻을 전했는데요. 교황의 선종은 많은 이들에게 ‘좋은 죽음이란 무엇인가’ 질문을 던졌습니다. 오늘 ‘추천! 더중플’에선 이 질문에 답을 주는 기사를 소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하세요.
사진 pexels

58세 A씨는 일평생 가족에 헌신하며 살았다. 가장의 무게를 기꺼이 견디며 열심이 살았던 그에게 췌장암 선고는 날벼락이나 다름없었다. 이제 노년을 즐길 일만 남았는데…. A씨는 마지막 희망을 품고 암 제거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암은 얄궂게도 6개월 뒤 재발했다. 죽음이 그의 삶에 깊게 드리우고 있었다.

극심한 통증이 그의 마지막 길을 힘들게 했다. 말기암 환자에게 처방하는 진통제, 모르핀을 써야 했다. 문제는 모르핀 부작용으로 호흡 기능이 떨어지고 있었다. 주치의였던 박광우 (가천대길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기관 내 삽관을 통해 호흡을 살리려고 했다. 그러자 A씨 단호하게 말했다. “저는 기관 삽관 절대 안 합니다.”

A씨의 굳은 의지에, 자녀들도 아버지의 선택을 존중했다. A씨는 10명이 넘는 가족, 친척, 지인에게 연락을 돌렸다. 병실에 찾아온 사람들의 이름을 부르고, 그동안 못했던 말을 전했다. 아들에겐 이런 말을 남겼다.

“아들아, 고생이 많았다. 네가 내 아들이어서 고맙고 자랑스러웠다. 내가 없으니 어머니에게도 나에게 해준 것처럼 그렇게 훌륭한 아들로 있어주려무나.”

며칠 후 환자는 편안하게 자는 듯이 죽었다. 박 교수는 “내가 본 환자 중에 작별 인사를 가장 잘 하고 떠난 분이었다”고 회고했다. 박 교수는 신경외과·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 자격증을 동시에 취득한 더블보드(2개 전문의 자격 취득) 의사다. 난치성 질환인 파킨슨병과 치매, 말기암 환자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살핀다. 20년 간 약 4000명이 넘는 환자에게 사망 선고를 내리면서, 죽음에 대해 생각했다.

4000명의 죽음을 마주하며, 그는 어떤 깨달음을 얻었을까. 삶에 아쉬움과 미련을 남기지 않으려면, 어떻게 마지막을 정리해야 할까? 박 교수는 “태어난 건 선택할 수 없지만 죽음은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며 적극적 안락사를 지지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가 이런 생각을 갖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계속)
박 교수와의 인터뷰 전문엔 다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000명 죽음 보고 깨달은 것
뇌까지 암 퍼졌지만 “일하고 싶다”
“아들아” 말기암 환자의 특별한 작별인사
부모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법
5년간 엄마 사진 매일 찍은 사연
‘가생비’(가격 대비 생존율)의 딜레마
적극적 안락사를 찬성하는 이유
☞“죽을 권리를 왜 안 줍니까” 4000명 보낸 의사의 깨달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291

가천대길병원 신경외과 박광우 교수는 처음 환자의 사망선고를 내렸던 2003년 인턴 시절부터 "잘 죽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장진영 기자
추천! 더중플 - 잘 죽을 권리 ▶아빠·엄마·할머니·남편도 잃다…“왜 하필 나인가요?”
열 살에 기차 사고로 아버지를 여의고, 스무 살엔 교통사고로 어머니를 잃었다. 마흔 일곱의 가을, 사랑하는 남편마저 교통사고로 떠나보낸 이정숙(52)씨. 가족의 죽음을 맞닥뜨린 순간부터 아픔을 벗어나기까지, 이씨에겐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그리고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보았을까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90

▶“집사람 따라가” 노인의 편지…형사는 그 밥값에 울었다
20년째 고독사 현장을 찾아다니고 있는 부산영도경찰서 권종호 경감의 이야기. 권 경감이 가장 눈물을 쏟은 현장은? 잘 살고 잘 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고독사 현장에서 답을 찾아봅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2171

▶이경규 “이거 참 미치겠더라” 44년 개그맨 대부의 질투
이 시대의 예능 대부, 이경규가 말하는 불안과 죽음. 그는 불안이 자신의 DNA라면, 죽음은 곧 삶의 이유라고 말합니다. 어디에서도 듣지 못한 이경규의 삶과 죽음, 불안과 두려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76

▶“아버님 편히 가시게 박수!” 이 가족의 특별한 ‘임종 MC’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5022

▶아내 장례식 울지도 않는다…“그 남편 이상해” 소문의 진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3329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64 [속보] 권영세 “단일화 이틀 내 성사돼야… 여론 조사 예정대로” 랭크뉴스 2025.05.08
49663 [속보] 김문수 "날 끌어내리려는 작업에서 손 떼라···굴복하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5.08
49662 [속보] 권성동 “알량한 후보 자리 지키려는 김문수 한심해” 랭크뉴스 2025.05.08
49661 [속보] 김문수 "한덕수와 일주일 후 단일화... 강제 단일화 중단하라" 랭크뉴스 2025.05.08
49660 [속보] 김문수, 당무우선권 발동… 지도부, 강압적 단일화 중단하라 랭크뉴스 2025.05.08
49659 [속보] 김문수 “강압적 단일화 요구 즉각 중단하라… 일방적 토론회, 응분의 조치 취할 것” 랭크뉴스 2025.05.08
49658 [속보] 김문수 “14일 토론, 15~16일 여론조사로 후보 단일화 하자” 랭크뉴스 2025.05.08
49657 [속보] 김문수 "지도부, 강제단일화 손떼라…어떤 불의에도 굴복 안해" 랭크뉴스 2025.05.08
49656 카카오, 1분기 영업익 전년 대비 12.4% 감소한 1054억원… 콘텐츠 사업 부진 탓 랭크뉴스 2025.05.08
49655 면허 정지·음주 20대 벤츠 운전자, 중앙선 침범 정면충돌…2명 사망 랭크뉴스 2025.05.08
49654 [속보] 김문수, 오늘 긴급 회견…단일화 입장 밝히나 랭크뉴스 2025.05.08
49653 [속보] 이재명 “일하는 어르신 국민연금 감액…취약계층 ‘주치의 제도’ 확대” 랭크뉴스 2025.05.08
49652 현 공기업 임원인데‥극우 유튜브로, 국힘으로 랭크뉴스 2025.05.08
49651 단일화 입장 밝히나...김문수, 오전 8시30분 긴급 회견 랭크뉴스 2025.05.08
49650 김문수, 오전 8시 30분 긴급 회견… 단일화 입장 발표하나 랭크뉴스 2025.05.08
49649 [속보] 합참 “북,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 랭크뉴스 2025.05.08
49648 [속보] 北,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 랭크뉴스 2025.05.08
49647 [속보] 합참 “북한, 동해로 미상 탄도미사일 발사” 랭크뉴스 2025.05.08
49646 [속보] 합참 "北, 동해로 미상 탄도미사일 발사"…두 달만에 도발 랭크뉴스 2025.05.08
49645 "트럼프 관세 때문에"...연준, 기준금리 또 동결 랭크뉴스 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