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계속된 금리 인하 요구에도 미국 기준 금리는 또 동결됐습니다.
수입 요인을 제외하면 경기가 괜찮다면서도 불확실성은 더 커졌다는 게 미 연준의 판단입니다.
상승세로 출발한 주식 시장은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뉴욕 박일중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시장의 예상대로였습니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금리 결정 회의를 열고 기준 금리를 연 4.25~4.5%로 동결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세 번 연속 금리를 내린 뒤 동결 결정이 세 번 이어졌습니다.
먼저 경기 상황에 대해선 무역 적자를 제외하면 경제 상황은 견조하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은 3월보다 더 커졌다고 밝혔습니다.
[제롬 파월/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위험이 커졌습니다. 현재의 통화 정책이 시기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금리를 올리고 실업률이 높아지면 금리를 내려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두 개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면 금리를 선제적으로 조정하기 어렵다는 설명입니다.
파월 의장은 이런 상황이 현실화될 경우 정책 결정이 어려울 거라고 말하면서도 어느 쪽이 목표에서 더 멀어졌는지를 따져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제롬 파월/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 "그것들(물가 안정과 완전 고용)이 얼마나 목표에서 먼가? 얼마나 멀어질 건가? 언제 돌아올 건가를 모두 살필 겁니다. 그리고 어려운 결정을 할 겁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시작될 거라는 소식에 상승 출발했던 뉴욕 주식 시장은 잠시 혼조세를 보였지만 결국 상승 마감했습니다.
시장에선 기준금리가 7월부턴 인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 금리를 조정할 수 있을지 시간표를 말할 수 없다는 게 현 상황을 바라보는 파월 의장의 시각이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