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당원조사 결과 공개·단식농성 이어
'8일 토론 후 여론조사' 단일화 강행
金 측 "일방적 발표 따를 수 없어"
김문수(오른쪽)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후보 단일화와 관련해 회동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일대일 담판마저 소득 없이 끝나며 범보수 단일화가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안갯속에 접어들었다. 초조해진 국민의힘 지도부는 김 후보와 한 전 총리가 8일 추가 회동에서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TV토론과 양자 여론조사를 골자로 한 단일화 로드맵을 밀어 붙이겠다고 사실상 최후통첩을 날렸다. 후보 교체 가능성을 닫아두지 않은 만큼 당과 후보 간 갈등이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7일 국민의힘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 당원을 대상으로 △김 후보와 한 전 총리 간 단일화가 필요한지 △시기를 후보 등록 전에 해야 하는지를 묻는 자동응답방식(ARS) 조사를 실시했다. 전날 김 후보가 입장문을 내고 "불필요한 여론조사는 당의 화합을 해치는 행위"라며 즉각 중단을 촉구했는데도 아랑곳없이 강행한 것이다.

이날 김 후보와 한 전 총리의 일대일 회동이 평행선만 달리다 끝나자 당 지도부는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응답률이 82.82%에 달하고, 찬성 응답자의 86.7%가 후보 등록 마감일(11일) 전에 해야 한다고 답한 당원 조사 결과를 김 후보 보란듯 공표했다. 사흘 연속 의원총회를 열어 단일화 합의를 성토하기도 했다. 사실상 김 후보를 고립시키기 위한 여론전에 나선 것이다. 김무성 전 대표 등 고령의 원로로 구성된 상임고문단이 이날 당사 앞에서 '단일화 촉구 단식'을 시작하자 권성동 원내대표도 동조 단식에 돌입하며 김 후보에 대한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당 중심의 강제 단일화 시나리오까지 가시화하자 김 후보 측은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김재원 후보 비서실장은 이날 회동 도중 기자들과 만나 "권영세 비대위원장이 황우여 전 선거관리위원장을 찾아 담판은 결렬이 명확하므로 다시 선관위를 열어 토론회, 여론조사를 실시해 후보를 정하는 절차를 진행해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며 "김 후보를 끌어내리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후 의원 총회를 마친 뒤 신동욱 수석대변인이 단일화 로드맵을 공개 제안하면서 우려는 현실이 됐다. 국민의힘은 심야 비상대책위원회를 열어 이양수 사무총장을 새 선관위원장으로 위촉한 뒤 곧바로 선관위를 개최해 계획안을 의결했다. 8일 오후 6시 유튜브 토론회를 실시한 뒤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후 4시까지 당원투표 50%, 일반 여론조사 50%로 후보 선호도를 조사하겠다는 내용이다. 신 수석대변인은 "토론회가 무산되더라도 여론조사 진행이 가능하다"며 김 후보가 응하지 않더라도 강행할 뜻을 시사했다. 김 후보 캠프 관계자는 통화에서 "어떻게 이렇게 일방적으로 발표할 수 있느냐. 정말 부당하고 따를 수 없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지도부는 공식적으로 선을 긋고 있지만, 여론조사 결과가 한 전 총리 우세로 나온다면 후보 교체 논의가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상당한 사유가 있을 시 비대위 의결로 후보 선출에 관한 사항을 정할 수 있다'는 당헌 제 74조의 2를 적용해서다. 다만 단일화에 소극적이란 이유가 후보를 바꿀 만한 '상당한 사유'로 인정되는지부터 논란의 소지가 있어 김 후보 측과 볼썽사나운 법정 다툼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당장 이날 김 후보를 지지하는 원외 당협위원장은 지도부가 한 전 총리로의 후보 교체 가능성에 대비해 공고한 8, 9일 전국위원회와 10, 11일 전당대회 소집을 중단해달라는 가처분을 법원에 신청했다.

한 전 총리가 후보 등록 마감일까지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무소속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는 만큼 시간은 김 후보 편이란 시각도 적지 않다. 여론조사상 두 사람의 본선 경쟁력이 한쪽으로 뚜렷하게 기울지 않은 점도 김 후보의 '버티기'에 힘을 싣는다. 뉴스1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4, 5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전화 조사원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양자대결에서 김 후보와 한 후보는 각각 38%, 40%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내 접전인 만큼 당의 후보로 선출돼 명분과 정통성을 확보한 김 후보로선 먼저 양보할 이유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306 삼성·SK·현차·LG·롯데가 국내 GDP 40% 차지... 전체 대기업은 80% 육박 랭크뉴스 2025.05.09
50305 ‘수업 거부’ 의대생 8305명 집단 유급…전체 재학생 43% 랭크뉴스 2025.05.09
50304 김문수 “강제 단일화 불응”…손하트로 시작한 의총 파열음 랭크뉴스 2025.05.09
50303 진보진영 5당, 후보 단일화 합의… “이재명, 광장 대선 후보로 선정” 랭크뉴스 2025.05.09
50302 [속보]전국법관대표회의, 26일 회의 개최···‘이재명 파기환송·사법 독립’ 등 논의 랭크뉴스 2025.05.09
50301 [속보] 김문수, 선대위원장에 홍준표 임명…미국 안가고 선거 지원 랭크뉴스 2025.05.09
50300 [속보] 김문수, 홍준표 상임선대위원장 임명 랭크뉴스 2025.05.09
50299 ‘수업 거부’ 의대생 8305명 집단 유급…전제 재학생 43% 랭크뉴스 2025.05.09
50298 김문수 측 “홍준표, 상임선대위원장 수락” 랭크뉴스 2025.05.09
50297 [속보] 전국법관대표회의 26일 개최…사법신뢰·재판독립 논의 랭크뉴스 2025.05.09
50296 [속보] 홍준표, 김문수 선대위 상임선대위원장으로 정치 활동 재개 랭크뉴스 2025.05.09
50295 [속보] 김문수, 상임선대위원장에 홍준표 전격 임명...완주 의지 랭크뉴스 2025.05.09
50294 국민의힘 “가처분 기각시, 추가 절차 여부는 여론조사 보고 판단” 랭크뉴스 2025.05.09
50293 선대위 상임선대위원장에 홍준표 합류… ‘국회 동기’ 김문수 지원사격 랭크뉴스 2025.05.09
50292 김문수 "강제 단일화 응할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5.09
50291 ‘어른’ 김장하-이재명 내일 전격 만남…“평범한 사람이 사회 지탱” 랭크뉴스 2025.05.09
50290 트럼프 "아이들에게 인형 30개는 필요없다...3개만 사라" 랭크뉴스 2025.05.09
50289 [단독]서울경찰청, 종로서와 협의해 ‘한덕수 후보 자택 24시간 경비’ 결정했다 랭크뉴스 2025.05.09
50288 반려견 찾으려 수락산 오른 80대, 실종 하루 만에 숨진채 발견 랭크뉴스 2025.05.09
50287 [속보] 민주·진보당 단일화 합의…김재연 대선 후보 사퇴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