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접겠다” 선언 직후 최저가 ‘뚝’
상장 6개월간 주가는 ‘내리막길’
위기 타개에 소통방식 변화 거론
상장 6개월간 주가는 ‘내리막길’
위기 타개에 소통방식 변화 거론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지난 6일 유튜브 채널을 통해 방송활동을 중단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유튜브 채널 ‘백종원 PAIK JONG WON’ 캡처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최근 방송 활동을 접겠다고 특단의 조치를 내놓으며 오너리스크 해소에 나섰음에도, 시장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6개월간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지만 반등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더본코리아 주식은 2만6400원에 거래가 마감됐다. 이날 장중엔 더본코리아 주가가 2만6100원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지난달 장중 기록한 역대 최저가가 다시 한번 나온 것이다. 더본코리아 주가는 지난해 11월 상장 첫날 장중 최고가인 6만4500원까지 치솟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만6000원대까지 내려갔다. 상장 당시 공모가는 3만4000원이었다.
더본코리아 주가 하락의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백 대표의 오너리스크가 있다. 더본코리아는 백 대표의 스타성에 힘입어 주목받았으나, 백 대표 개인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았던 점이 발목을 잡았다. 상장 무렵 백 대표는 “이 나이에 사고 칠 것이 뭐가 있나”라며 자신감을 드러냈지만, 그 자신을 둘러싼 여러 논란들이 문제가 됐다. 빽햄 논란, 원산지 표기 오류 등 악재가 잇달아 발생하고 있음에도 호재는 좀처럼 나오지 않고 있다.
더본코리아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반응이 나온다. 특정 브랜드에만 매출이 집중돼있기 때문이다. 더본코리아의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25개에 달하지만, 빽다방 한 브랜드가 전체 매출의 40% 가까이를 책임지고 있다. 매출 비중이 10%를 넘어가는 브랜드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가맹점들의 수익성도 계속해서 악화하고 있다.
상장 6개월이 지나면서 특정인이 보유한 주식을 일정 기간 매도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보호예수기간이 종료됐다는 점도 주가에 부담이 되고 있다. 백 대표와 더본코리아 2대 주주인 강석원 각자대표가 보유한 주식이 시장에 풀릴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다만 두 대표는 주식 매도 계획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전문 경영인을 선임하는 것도 위기를 타개할 방안 중 하나로 거론된다. 대신 백 대표가 전문 경영인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아야 하고, 백 대표 자신도 임직원과의 소통방식에 변화를 줘야 한다는 전제가 깔린다.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제품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는 점도 핵심 과제로 꼽힌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백 대표가 여러 논란에 대해 진정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가맹점주에 대한 상생 지원책 등 현재 백 대표가 내놓은 해결책만으로는 돌파구를 찾기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