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해킹’ 사고 19일 만에 최태원 회장 대국민 사과
최태원 회장 “고객·국민 불안 사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에서 가진 유심(USIM) 해킹 사태에 관한 브리핑 도중 허리 숙여 사과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가입자 20만명 ‘썰물’…그룹 ‘보안 정보보호 혁신위’ 신설 밝혀
“위약금 면제는 이사회에서 논의 중, 좋은 해결 방안 도출 기대”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위기에 봉착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7일 대국민 사과를 했다.
최 회장은 그룹 차원의 ‘보안 정보보호 혁신위원회’ 설치 계획을 밝혔지만, 가입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에는 SK텔레콤 이사회 멤버가 아니라며 해법을 내놓지 못했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에서 열린 해킹 사태 관련 일일 브리핑에 참석해 “고객분들과 국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 SK그룹을 대표해 사과드린다”며 “사고 이후 소통과 대응이 미흡했던 부분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의 사과는 해킹 사고 이후 19일 만이다.
최 회장은 “지금까지 보안 영역을 정보기술(IT) 영역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 같지만, 국방이라고 생각해야 할 것 같다”며 “안보, 생명의 문제로 보고 임하겠다”고도 했다.
나아가 최 회장은 전 그룹사를 대상으로 보안 체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룹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를 중심으로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보안 정보보호 혁신위를 구성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번 사고로 통신사를 옮기려는 가입자의 위약금 면제 요구에 대해선 “현재 SK텔레콤 이사회가 논의 중이고 좋은 해결 방안이 나오기를 기대하지만, 저는 이사회 멤버가 아니라서 드릴 말씀이 여기까지”라고 했다.
김희섭 SK텔레콤 PR센터장은 “법적 검토와 더불어 영업 현장, 고객 차별 문제, 재무적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느라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8일에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청문회가 예정돼 있지만, 최 회장은 대미 통상 관련 행사를 이유로 불출석한다.
사고 수습 과정에서 위약금 면제 등으로 재무적 부담이 늘어날 경우 SK텔레콤이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인공지능(AI) 수익화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3월 그래픽처리장치(GPU) 6만장이 들어가는 초대형 AI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 등을 담은 ‘AI 피라미드 2.0’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SK텔레콤은 이날 오전 기준 유심보호서비스 자동 가입 대상자(알뜰폰 포함) 2411만명 전원의 서비스 가입이 완료됐으며, 유심을 바꾼 가입자는 107만명이라고 밝혔다.
오는 14일 해외 로밍에 가입해도 유심보호서비스를 쓸 수 있도록 개선되면, 당초 밝힌 가입자 2500만명의 가입이 모두 마무리된다. 유심 물량은 다음주부터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오픈런’이 해소될지 주목된다.
해킹 사태가 알려진 지난달 22일 이후 전날까지 SK텔레콤에서 다른 통신사로 이동한 사용자는 모두 24만8069명으로 집계됐다. 다른 통신사에서 SK텔레콤으로 이동한 사용자를 합쳐도 순감 인원이 20만7897명에 달한다.
해킹 사태의 파장이 일파만파 번지면서 KT·LG유플러스 주가는 우상향 흐름을 보이며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올해 초 SK텔레콤 시가총액을 넘어섰던 KT는 격차를 2조원 가까이 벌렸다.
정원석 신영증권 연구원은 “SK텔레콤의 가입자 이탈 규모가 더욱 확대되거나, 신규 가입자 유치 제한 조치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은 리스크 요인”이라며 “유심 물량이 충분히 확보될 6월까지 관련 이슈는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