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합뉴스

부동산 시장 양극화가 서울-지방의 전세가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방은 부동산 자산가치가 낮아지면서 매매보다 전세 쏠림이 심화하면서 전세가율이 높아지는 반면, 서울은 ‘똘똘한 한 채’ 영향으로 매매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전셋값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다. 특히 서울 강남권은 올해 2~4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당시 집값이 폭등하면서 전세가율이 역대 최저치 수준으로 떨어졌다.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는 7일 한국부동산원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올해 3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이 68.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12월(68.2%) 이후 2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전세가율은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의 비율이다. 통상 높은 전세가율은 집값 상승의 불쏘시개가 되곤 했다. 전세가율이 높아지면 세입자는 세 부담이 커지는 한편 매매와의 가격 차가 줄어 매매 전환 심리가 높아지고, 투자자로선 매매-전세 격차가 줄면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매하는 갭투자가 쉬워진다.

하지만 최근 상황은 다르다. 지방의 부동산 자산가치가 낮아지면서 매매보다 전세로 수요가 쏠리면서 전세가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수요자 매수심리, 투자자의 투자심리 모두 낮다.

실제 전세가율은 지방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다. 지역별로 전북이 79%로 가장 높았고, 충북(78.4%) 전남(78.3%) 경북(77.9%) 충남(77.0%) 경남(76.9%) 강원(76.8%)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 광역시도 울산(73.2%) 대전(70.9%) 대구(68.9%)가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지방 부동산의 자산가치가 떨어지고 있어 ‘굳이 집을 살 필요가 없다. 전세가 유리하다’는 심리가 반영된 것”이라며 “지방은 향후 시장 기대치도 낮아 당분간 갭투자 수요도 늘어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서울 등 수도권은 지방과 달리 전세가율이 낮아지고 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3.52%다. 지난해 5월(53.43%)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특히 강남 4구(서초·강남·송파·강동)는 역대 최저치 수준이다. 강남구 전세가율은 40.7%로 KB국민은행이 구별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3년 4월(50.1%) 이후 역대 최저치다. 송파구(43.1%), 강동구(50.0%)도 조사 이래 가장 낮다. 서초구는 45.4%로 2023년 9월(45.2%)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저치다.

강남권 전세가율 하락은 올해 서울시의 토허제 해제 및 확대 재지정 이슈로 아파트값이 폭등한 영향이 크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올해 2월 한 달간 0.06% 올랐는데 2월 13일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토허제 해제 영향으로 3월 0.65% 올랐고, 4월은 0.98% 뛰었다. 이 기간 전셋값도 2~4월 0.03%→0.16%→0.27%로 상승 폭을 키웠지만, 매매가격 상승에 비하면 큰 차이가 난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20 "여기가 홍준표 고향 맞나? 창녕 간 이재명, 거침없이‥[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5.10
50819 이재명, ‘김영삼 성대모사’ 한 이유?…“가만 있으면 상대방 자빠져”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10
50818 서울 한 초등학교에서 100여명 식중독 의심 증세 랭크뉴스 2025.05.10
50817 홍준표 “약탈교체로 파이널 자폭…보수는 이준석만 남는구나” 랭크뉴스 2025.05.10
50816 한덕수, 긴급 회견 “대선 승리 위해 입당…모두 끌어안고 받들겠다” 랭크뉴스 2025.05.10
50815 법원, 오늘 김문수 ‘후보 선출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심문 랭크뉴스 2025.05.10
50814 배우 김보라, 결혼 11개월 만에 이혼…"상호 합의로 원만히" 랭크뉴스 2025.05.10
50813 국민의힘 내부, 지도부 직격 "지지율 논할 거면 이재명 영입하라" 랭크뉴스 2025.05.10
50812 지진 발생 연천 주민 "포탄 떨어진 줄"…피해 신고는 없어 랭크뉴스 2025.05.10
50811 [속보] 한덕수 “단일화는 국민 명령, 이기려면 뭉쳐야… ‘김덕수’ 되겠다” 랭크뉴스 2025.05.10
50810 한덕수 “국힘 후보들, 끌어안겠다… 저는 짧게 스쳐가는 디딤돌" 랭크뉴스 2025.05.10
50809 [속보] 한덕수, 긴급 회견 “대선 승리 위해 입당…모두 끌어안고 받들겠다” 랭크뉴스 2025.05.10
50808 한덕수 "단일화는 국민의 명령...모두 끌어안겠다" 랭크뉴스 2025.05.10
50807 법원, 김문수 '후보 선출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오늘 오후 5시 심문 랭크뉴스 2025.05.10
50806 [속보]한덕수 “대선 이기기 위해서라면 김덕수·홍덕수·한덕수·나덕수 되겠다” 랭크뉴스 2025.05.10
50805 “한덕수의 후보 등록 기간 입당은 선거법 위반”…국수본에 고발장 접수 랭크뉴스 2025.05.10
50804 국민의힘 입당한 한덕수 "이기기 위해 김덕수·홍덕수, 어떤 덕수라도 되겠다" 랭크뉴스 2025.05.10
50803 [속보] 법원,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오늘 심문 랭크뉴스 2025.05.10
50802 [속보]한덕수 “단일화, 이유 여하 떠나 죄송… 모두 끌어안겠다” 랭크뉴스 2025.05.10
50801 [속보] 한덕수 "이기기 위해 김덕수·홍덕수·안덕수·나덕수 되겠다" 랭크뉴스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