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합뉴스

부동산 시장 양극화가 서울-지방의 전세가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방은 부동산 자산가치가 낮아지면서 매매보다 전세 쏠림이 심화하면서 전세가율이 높아지는 반면, 서울은 ‘똘똘한 한 채’ 영향으로 매매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전셋값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다. 특히 서울 강남권은 올해 2~4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당시 집값이 폭등하면서 전세가율이 역대 최저치 수준으로 떨어졌다.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는 7일 한국부동산원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올해 3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이 68.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12월(68.2%) 이후 2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전세가율은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의 비율이다. 통상 높은 전세가율은 집값 상승의 불쏘시개가 되곤 했다. 전세가율이 높아지면 세입자는 세 부담이 커지는 한편 매매와의 가격 차가 줄어 매매 전환 심리가 높아지고, 투자자로선 매매-전세 격차가 줄면서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매하는 갭투자가 쉬워진다.

하지만 최근 상황은 다르다. 지방의 부동산 자산가치가 낮아지면서 매매보다 전세로 수요가 쏠리면서 전세가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수요자 매수심리, 투자자의 투자심리 모두 낮다.

실제 전세가율은 지방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다. 지역별로 전북이 79%로 가장 높았고, 충북(78.4%) 전남(78.3%) 경북(77.9%) 충남(77.0%) 경남(76.9%) 강원(76.8%)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 광역시도 울산(73.2%) 대전(70.9%) 대구(68.9%)가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지방 부동산의 자산가치가 떨어지고 있어 ‘굳이 집을 살 필요가 없다. 전세가 유리하다’는 심리가 반영된 것”이라며 “지방은 향후 시장 기대치도 낮아 당분간 갭투자 수요도 늘어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서울 등 수도권은 지방과 달리 전세가율이 낮아지고 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3.52%다. 지난해 5월(53.43%)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특히 강남 4구(서초·강남·송파·강동)는 역대 최저치 수준이다. 강남구 전세가율은 40.7%로 KB국민은행이 구별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3년 4월(50.1%) 이후 역대 최저치다. 송파구(43.1%), 강동구(50.0%)도 조사 이래 가장 낮다. 서초구는 45.4%로 2023년 9월(45.2%)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저치다.

강남권 전세가율 하락은 올해 서울시의 토허제 해제 및 확대 재지정 이슈로 아파트값이 폭등한 영향이 크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올해 2월 한 달간 0.06% 올랐는데 2월 13일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토허제 해제 영향으로 3월 0.65% 올랐고, 4월은 0.98% 뛰었다. 이 기간 전셋값도 2~4월 0.03%→0.16%→0.27%로 상승 폭을 키웠지만, 매매가격 상승에 비하면 큰 차이가 난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987 이재명 "5년 안에 코스피 5000, 이론적으론 가능해" new 랭크뉴스 2025.05.08
49986 [팩트 다이브] 단일화 불발=선거비용 독박? 김문수 등록만 하면 ‘200억대 보조금’ 랭크뉴스 2025.05.08
49985 경찰, 한덕수 자택 주변 24시간 경비…"후보 요청 등 종합 고려" 랭크뉴스 2025.05.08
49984 이재명 “경제 살리기 중심은 기업…주식 장기보유 세제 혜택” 랭크뉴스 2025.05.08
49983 김문수, 단일화 난항·지도부 압박에 9일 대구·부산 일정 취소 랭크뉴스 2025.05.08
49982 이재명 “주 4.5일제·정년 연장 공약, 일방적으로 추진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5.08
49981 시진핑, 트럼프 보란듯 “일방주의 맞서자”…푸틴 “협력 강화” 랭크뉴스 2025.05.08
49980 김문수·한덕수, 2차 담판도 ‘결렬’…‘단일화’ 입장차만 확인 랭크뉴스 2025.05.08
49979 소설 ‘둔황의 사랑’, ‘하얀 배’ 작가 윤후명 별세···향년 79세 랭크뉴스 2025.05.08
49978 콘클라베 둘째날 오전도 ‘검은 연기’…오후엔 새 교황 나올까 랭크뉴스 2025.05.08
49977 [법조 인사이드] 코레일, SH공사 상대로 ‘4000억 세금 분담’ 소송 1심에서 승소 랭크뉴스 2025.05.08
49976 당원·국민이 뽑은 후보를 왜?‥민주당 "역모, 야바위" 총공세 랭크뉴스 2025.05.08
49975 소설 '하얀 배' 윤후명 작가 별세... 향년 79세 랭크뉴스 2025.05.08
49974 이준석 "국민의힘 후보, 김문수가 될 것…나와 단일화는 불가능" 랭크뉴스 2025.05.08
49973 휴가 나온 군인 아들 데리러 가던 60대 女 '날벼락' …음주·무면허 운전의 비극 랭크뉴스 2025.05.08
49972 '코인 고수' 100명 투자 패턴 분석…최다 거래 종목은? 랭크뉴스 2025.05.08
49971 김문수, '단일화 조사' 강행에 내일 대구·부산 일정 취소 랭크뉴스 2025.05.08
49970 '방송중단' 백종원, 이번엔 '닭뼈튀김기'로 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5.05.08
49969 시진핑 “중러, 일방주의 함께 대응해야” 랭크뉴스 2025.05.08
49968 파국 치닫는 단일화…김문수·한덕수 '빈손 회동'에 적전분열(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