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조사
게티이미지뱅크

국민 절반 이상이 ‘장기적 울분 상태’에 시달리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나 나왔다. 30대, 저소득층일수록 심한 울분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강재난 통합대응을 위한 교육연구단은 지난달 15∼21일 만 18살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신건강 증진과 위기 대비를 위한 일반인 조사’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수준을 묻는 질문에 48.1%가 ‘좋지 않음’이라 답했다. ‘보통’은 40.5%, ‘좋음’은 11.4%에 불과했다.

정신건강 수준이 좋지 않다고 답한 이유로는 ‘경쟁과 성과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37.0%), ‘타인이나 집단의 시선과 판단이 기준과 규범이 되는 사회 분위기’(22.3%), ‘물질적 안락함이나 부가 성공과 행복의 기준으로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16.6%) 등이 꼽혔다.

연구진이 자가보고형 측정 도구를 적용해 불안, 우울 등 주요 감정과 정서 상태를 측정한 결과, 응답자의 26.3%가 ‘중간 정도 이상의 불안’에 해당했으며, 33.1%는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43.3%는 ‘외롭다고 느낀다’, 33.7%는 ‘소외돼 있다고 느낀다’고 답변했다.

주요 감정·정서 상태를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12.8%는 ‘높은 수준의 심각한 울분’(2.5점 이상)에 해당했으며, 이들을 포함한 54.9%는 ‘장기적 울분 상태’(1.6점 이상)였다. 심각한 울분의 비율은 30대가 17.4%로, 60살 이상(9.5%)보다 높았고,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에서 21.1%인 반면, 월 소득 1천만원 이상 집단에서는 5.4%로 차이가 컸다. 지난 조사와 비교하면, 올해 심각한 울분 비율은 2018년(14.7%), 2021년(13.9%)보다 낮고, 2020년(11.9%)과 지난해(9.3%)보다는 높았다.

연구진은 공정에 대한 신념이 낮을수록 울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정치·사회 사안별로 울분 정도를 측정한 결과, ‘정부(입법·사법·행정)의 비리나 잘못 은폐’(85.5%)로 울분을 느꼈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85.2%), ‘안전관리 부실로 초래된(의료, 환경, 사회) 참사’(85.1%) 순이었다. 한편, ‘기본적으로 세상은 공정하다고 생각한다’는 문항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69.5%였다.

응답자의 47.1%는 지난 1년 동안 건강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40대(55.4%)와 30대(51.7%),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58.8%)에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비율이 높았다. 스트레스 경험 비율은 소득이 올라갈수록 낮아져 월 소득 1천만원 이상 집단의 경우 38.7%로 집계됐다. 스트레스를 일으킨 원인으로는 ‘건강변화’(42.5%), ‘경제수준 변화’(39.5%), 국가통치권의 부정부패 및 권력 오남용 등 ‘정치환경 변화’(36.3%) 등이 꼽혔다.

지난 1년 동안 기존에 하던 역할이나 책임을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큰 정신건강 위기가 왔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27.3%였다. 이 중 51.3%는 스스로 목숨을 끊을 생각을 해본 적이 있었고, 20.5%는 계획까지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13.0%는 실제로 목숨을 끊으려는 시도를 했다고 답했다.

정신건강 위기를 겪은 응답자의 60.6%가 정신건강 위기 상황에서 ‘도움을 구하지 않았다’고 답했으며, 그 이유는 낙인·타인의 시선 등 ‘우려와 두려움’(41.9%), ‘어떻게 도움을 요청해야 할 지 몰라서’(22.6%) 등이었다.

조사를 총괄한 유명순 교수는 “사회의 안전과 안정성을 높게 유지하고, 특히나 기본이 되는 믿음을 굳건히 하는 노력이 사실상 사회의 개인과 집단의 정서적 웰빙과 정신건강을 위하는 길”이라면서 “정신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나 의료적 노력은 물론, 그 경계를 넘어서서 보다 사회적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사회의 정신건강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436 "니들은 되고 김문수는 안되냐" 30년 동지 홍준표 '마지막 의리' [대선주자 탐구] 랭크뉴스 2025.05.07
49435 [속보] 김문수, 한덕수에 내일 추가 단일화 회동 제안 랭크뉴스 2025.05.07
49434 김문수-한덕수 75분 담판 결렬…“다시 만날 약속도 못 잡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7
49433 "한덕수 들러리였나"... 국민의힘 경선 탈락자들 '김문수 힘 싣기' 랭크뉴스 2025.05.07
49432 웃으며 만났지만…김문수-한덕수 협상 결렬 “합의 안돼” 랭크뉴스 2025.05.07
49431 신청 1시간 만에 이재명 재판 연기…'신속 재판' 뜻 뒤집은 고법, 왜 랭크뉴스 2025.05.07
49430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담판 결렬…"합의된 사항 없다"(종합) 랭크뉴스 2025.05.07
49429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될 때까지 단식" 국힘 상임고문단 선언 랭크뉴스 2025.05.07
49428 사법부 '항복'에도 멈추지 않는 민주당… "청문회·특검" 압박 랭크뉴스 2025.05.07
49427 [영상]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담판 결렬 "합의된 사안 없다" 랭크뉴스 2025.05.07
49426 열심히 바코드 찍더니…결제 금액은 ‘0원?’ [이슈클릭] 랭크뉴스 2025.05.07
49425 [단독]한덕수 "당에 맡겼다" 김문수 "내가 당이다" 단일화 협상 결렬 랭크뉴스 2025.05.07
49424 다시 만날 날짜도 못 잡았다... 빈손으로 끝난 김문수 한덕수 단일화 독대 랭크뉴스 2025.05.07
49423 공수처, 'VIP 격노설' 대통령실 압수수색‥'피의자 윤석열' 적시 랭크뉴스 2025.05.07
49422 국민의힘 당내 갈등 격화 "후보 교체 안 돼"‥"단일화까지 단식" 랭크뉴스 2025.05.07
49421 [단독]한덕수 "당에 맡겼다" 김문수 "내가 당" 단일화 협상 결렬 랭크뉴스 2025.05.07
49420 미신고 조리시설서 식사를?…초고가 산후조리원의 ‘민낯’ 랭크뉴스 2025.05.07
49419 ‘독서가’ 문형배, 퇴임 뒤 밑줄친 문장 “직접 겪어봐야 알 수 있는 것들” 랭크뉴스 2025.05.07
49418 김문수-한덕수 빈손 회동…“단일화 논의 진척 없었다” 랭크뉴스 2025.05.07
49417 [속보]김문수, 한덕수 만난 뒤 “후보 등록 생각도 없는 분, 누가 끌어냈나”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