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얀마 만달레이 지진 피해 현장. 40일이 지났지만, 건물 잔해들은 치워지지 않고 방치돼 있다. (사진 출처:미얀마 이라와디)

■ 미얀마 강진 40일…최고 42도 폭염에 '이중고'

3월 28일 금요일. 규모 7.7의 강진에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는 초토화됐습니다. 지금까지 사망자는 3천8백 명을 넘어섰습니다.

살아남은 주민들은 '살기 위한' 사투를 시작해야 했습니다. 전기도, 음식도, 물도 부족한 곳에서 살아 남아야 했습니다.

무엇보다 발 딛고 살던 곳이 흔들리고 무너지고, 기울었습니다. 겉으론 멀쩡해도 계속되는 여진에 언제 또 무너질지 몰라, 일상의 공간을 떠나야 했습니다.

만여 채의 건물이 파손됐고, 그래서 4만 2천여 명의 주민이 임시 대피소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미얀마 만달레이의 임시 대피소. 한 여성이 텐트 밖 그늘에서 더위를 피하고 있다. 미얀마의 4월 평균 낮 기온은 40도였다.(사진 출처 : 미얀마 이라와디)

요즘 살아남은 주민들을 더욱 고통스럽게 하는 게 바로 폭염입니다. 미얀마 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4월 한 달 평균 낮 기온이 40도를 기록했습니다.

비정부 구호기구 '세이브 더 칠드런'은 "콜레라와 뎅기열과 같은 질병과 감염의 확산을 막는 데 가장 중요한 깨끗한 물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열악한 위생 상태, 부족한 구호 물품, 제한된 의료 서비스 등으로 인해 질병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강진 이후 40일이 지났지만, 무너진 건물 잔해는 거의 그대로 남아 있고, 주민들은 그때보다 더 혹독한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습니다.

■ 지진 피해 지역까지 공습…말뿐인 휴전

미얀마는 지난 2021년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뒤 내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됐는데, 3월 강진은 주민들을 더 큰 고통으로 내몰았습니다.

미얀마 군정이 반군 장악 지역에는 지원을 외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실제로 진앙과 가장 가까운 사가잉 지역은 반군의 영향력이 큰 곳인데, 이 지역의 피해 규모조차 제대로 집계가 안 된다는 얘기도 나왔습니다.

문제는 군정이 지진 이후에도 반군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달 2일, 군정은 지진 피해 수습을 위해 지난달 22일까지 휴전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또 지난달 30일까지 휴전을 연장한다고도 했습니다.

지진 피해 현장처럼 보이지만 지난달 19일 미얀마 군정 전투기가 폭탄을 떨어뜨린 곳이다. 이 마을에서만 20여 명이 숨졌다.(사진 출처:AFP)

하지만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볼커 튀르크 유엔 인권 최고 대표는 미얀마 군정이 강진 이후 지난달 29일까지 최소 243차례 반군의 영향력이 큰 지역을 공격했고, 민간인 2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일에는 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만달레이의 북쪽 마을을 공습해 20여 명이 숨졌습니다.

■ 또다시 "이달 말까지 휴전 연장"…믿을 수 있을까?

국제 사회의 비난이 컸지만, 미얀마 군정은 아무런 응답도 하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지난달 중순, 아세안(ASEAN) 의장이 미얀마 군부 수장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을 만나 원활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서라도 휴전을 연장해야 한다고 말한 직후에도 공격은 계속됐습니다.

그렇게 미얀마 군정의 '말뿐인 휴전'은 지난달 30일로 종료됐습니다.

종료 여부에 대한 언급도 없던 미얀마 군정, 반군 지역에 대한 공격은 계속됐습니다. 그러다가 오늘(6일), 미얀마 군정이 이달 말까지 휴전을 연장한다는 발표가 나왔습니다.

"지진 피해 지역 복구를 지원하고 지속적인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기 위해 오는 31일까지 휴전을 연장한다"는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발언도 인용됐습니다. (신화통신·블룸버그통신)

반군은 휴전 기간 군정의 병력과 기지를 공격해서도 안 되고 군대 모집도 금지한다는 조건도 달았습니다.

미얀마 군정이 지난 1일 공습을 감행한 만달레이 모고케 지역. 역시 지진 피해가 컸던 지역이지만 군정의 공습은 중단되지 않았다.(사진 출처 : 미얀마 타앙포스트)

하지만 군정이 공격을 멈출 거라 믿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미얀마 내부에선 이번 지진이 군정에게 악재가 될 거라는 분석도 있었습니다. 물론 지진 피해 수습을 명분으로 정권 장악력을 더욱 키울 거라는 분석도 뒤따랐습니다. 그래서인지, 군정은 중국과 러시아 쪽으로 바짝 더 다가가는 모습입니다.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오는 9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전승절 기념행사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97 [속보] 이재명 “지금은 국민주권 실행기…‘파기환송심 연기’ 결정 합당” 랭크뉴스 2025.05.07
49296 한동훈 "李 독재국가 눈앞인데…우리끼리 상투 잡고 드잡이" 랭크뉴스 2025.05.07
49295 탄핵 직전 사표 던진 최상목 “직무에 충실한 공직자 외부에서 흔들어서는 안돼” 랭크뉴스 2025.05.07
49294 [속보] 이재명 “지금은 국민주권 실행 시기…‘파기환송심 연기’ 합당” 랭크뉴스 2025.05.07
49293 민주, 법사위 소위서 '대통령 당선시 재판정지' 형소법 처리 랭크뉴스 2025.05.07
49292 전직 판사 "대법관 탄핵? 지금은 아냐‥마지막 선 넘으면" 랭크뉴스 2025.05.07
49291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뒤 6월18일…서울고법 “공정성 논란 불식” 랭크뉴스 2025.05.07
49290 이준석 “李 ‘K-엔비디아’ 공약, 전형적 박정희 주의… 빅텐트 불참 입장 변함없어” 랭크뉴스 2025.05.07
49289 [속보] 이재명, ‘고법 파기환송심 재판 연기’에 “합당한 결정” 랭크뉴스 2025.05.07
49288 [단독] 현직 부장판사 "사법부는 대법원장 사조직 아냐‥조희대 사퇴해야" 랭크뉴스 2025.05.07
49287 [속보]‘대통령 재판정지법’ 법사위 소위 통과···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법도 랭크뉴스 2025.05.07
49286 "尹부부 어디로 뭐 시켜 먹었지?"…'배달앱 내역' 압수수색 영장에 포함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07
49285 ‘헛걸음’ 권성동 원내대표, 김문수 후보 자택 앞에서 한 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7
49284 한덕수 측 "단일화 불발? 끔찍한 이야기…데드라인 없으나 빨리해야" 랭크뉴스 2025.05.07
49283 ‘백종원 방송중단’도 소용없다…더본코리아, 신저가 기록 랭크뉴스 2025.05.07
49282 미국과 관세 실무협상 중인 일본…“쌀에 손 대면 정권 무너진다” 랭크뉴스 2025.05.07
49281 [단독] 바디프랜드 오너家 강웅철 이사, 9개월간 법카로 유흥업소서 1억 사용…주인 같은 식당선 2억 결제 랭크뉴스 2025.05.07
49280 이재명 파기환송심 첫재판 대선뒤로 연기…"공정성 논란 없애려"(종합) 랭크뉴스 2025.05.07
49279 김문수 ‘페이커 포즈’에 T1 황당… “삭제 위해 노력 중” 랭크뉴스 2025.05.07
49278 [속보] 이재명 측, 대장동·위증교사 재판도 기일변경 신청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