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얀마 만달레이 지진 피해 현장. 40일이 지났지만, 건물 잔해들은 치워지지 않고 방치돼 있다. (사진 출처:미얀마 이라와디)

■ 미얀마 강진 40일…최고 42도 폭염에 '이중고'

3월 28일 금요일. 규모 7.7의 강진에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는 초토화됐습니다. 지금까지 사망자는 3천8백 명을 넘어섰습니다.

살아남은 주민들은 '살기 위한' 사투를 시작해야 했습니다. 전기도, 음식도, 물도 부족한 곳에서 살아 남아야 했습니다.

무엇보다 발 딛고 살던 곳이 흔들리고 무너지고, 기울었습니다. 겉으론 멀쩡해도 계속되는 여진에 언제 또 무너질지 몰라, 일상의 공간을 떠나야 했습니다.

만여 채의 건물이 파손됐고, 그래서 4만 2천여 명의 주민이 임시 대피소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미얀마 만달레이의 임시 대피소. 한 여성이 텐트 밖 그늘에서 더위를 피하고 있다. 미얀마의 4월 평균 낮 기온은 40도였다.(사진 출처 : 미얀마 이라와디)

요즘 살아남은 주민들을 더욱 고통스럽게 하는 게 바로 폭염입니다. 미얀마 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4월 한 달 평균 낮 기온이 40도를 기록했습니다.

비정부 구호기구 '세이브 더 칠드런'은 "콜레라와 뎅기열과 같은 질병과 감염의 확산을 막는 데 가장 중요한 깨끗한 물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열악한 위생 상태, 부족한 구호 물품, 제한된 의료 서비스 등으로 인해 질병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강진 이후 40일이 지났지만, 무너진 건물 잔해는 거의 그대로 남아 있고, 주민들은 그때보다 더 혹독한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습니다.

■ 지진 피해 지역까지 공습…말뿐인 휴전

미얀마는 지난 2021년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뒤 내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됐는데, 3월 강진은 주민들을 더 큰 고통으로 내몰았습니다.

미얀마 군정이 반군 장악 지역에는 지원을 외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실제로 진앙과 가장 가까운 사가잉 지역은 반군의 영향력이 큰 곳인데, 이 지역의 피해 규모조차 제대로 집계가 안 된다는 얘기도 나왔습니다.

문제는 군정이 지진 이후에도 반군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달 2일, 군정은 지진 피해 수습을 위해 지난달 22일까지 휴전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또 지난달 30일까지 휴전을 연장한다고도 했습니다.

지진 피해 현장처럼 보이지만 지난달 19일 미얀마 군정 전투기가 폭탄을 떨어뜨린 곳이다. 이 마을에서만 20여 명이 숨졌다.(사진 출처:AFP)

하지만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볼커 튀르크 유엔 인권 최고 대표는 미얀마 군정이 강진 이후 지난달 29일까지 최소 243차례 반군의 영향력이 큰 지역을 공격했고, 민간인 2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일에는 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만달레이의 북쪽 마을을 공습해 20여 명이 숨졌습니다.

■ 또다시 "이달 말까지 휴전 연장"…믿을 수 있을까?

국제 사회의 비난이 컸지만, 미얀마 군정은 아무런 응답도 하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지난달 중순, 아세안(ASEAN) 의장이 미얀마 군부 수장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을 만나 원활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서라도 휴전을 연장해야 한다고 말한 직후에도 공격은 계속됐습니다.

그렇게 미얀마 군정의 '말뿐인 휴전'은 지난달 30일로 종료됐습니다.

종료 여부에 대한 언급도 없던 미얀마 군정, 반군 지역에 대한 공격은 계속됐습니다. 그러다가 오늘(6일), 미얀마 군정이 이달 말까지 휴전을 연장한다는 발표가 나왔습니다.

"지진 피해 지역 복구를 지원하고 지속적인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기 위해 오는 31일까지 휴전을 연장한다"는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발언도 인용됐습니다. (신화통신·블룸버그통신)

반군은 휴전 기간 군정의 병력과 기지를 공격해서도 안 되고 군대 모집도 금지한다는 조건도 달았습니다.

미얀마 군정이 지난 1일 공습을 감행한 만달레이 모고케 지역. 역시 지진 피해가 컸던 지역이지만 군정의 공습은 중단되지 않았다.(사진 출처 : 미얀마 타앙포스트)

하지만 군정이 공격을 멈출 거라 믿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미얀마 내부에선 이번 지진이 군정에게 악재가 될 거라는 분석도 있었습니다. 물론 지진 피해 수습을 명분으로 정권 장악력을 더욱 키울 거라는 분석도 뒤따랐습니다. 그래서인지, 군정은 중국과 러시아 쪽으로 바짝 더 다가가는 모습입니다.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오는 9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전승절 기념행사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56 이재명, ‘어른’ 김장하와 차담…“우리 사회, 밥에 돌이 없어야” 랭크뉴스 2025.05.10
50855 “미중, 스위스 제네바서 고위급 무역협상 시작” 랭크뉴스 2025.05.10
50854 새벽에 딱 1시간, 32개 서류 제출…한덕수만 가능했던 국힘 후보등록 ‘미션’ 랭크뉴스 2025.05.10
50853 "넷플릭스 4900원에 보세요"…가격 인상 안한다는 네이버 멤버십 랭크뉴스 2025.05.10
50852 남부지법, 김문수 가처분 심문 종료…“3번 경선 선출 취소 사례 있나” 랭크뉴스 2025.05.10
50851 국힘, 새벽에 딱 1시간 후보등록 받아…“대통령 당선도 취소할 하자” 랭크뉴스 2025.05.10
50850 파키스탄, 인도 상대 대규모 군사작전 개시‥"공군기지 공격" 랭크뉴스 2025.05.10
50849 김택우 의협 회장 "의대생 1명이라도 제적되면 좌시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5.10
50848 SKT “위약금 면제 때 7조 손실”…“과장 말아요! 그건 국민 협박”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10
50847 조경태 “김문수 후보 취소, 12·3 비상계엄과 흡사…지도부 사퇴해야” 랭크뉴스 2025.05.10
50846 [속보] "미중, 스위스 제네바서 고위급 무역협상 시작" <신화> 랭크뉴스 2025.05.10
50845 [속보] “미중, 스위스 제네바서 고위급 무역협상 시작” 랭크뉴스 2025.05.10
50844 안철수 “막장 정치 쿠데타…한덕수, 지도부와 함께 당 떠나라” 랭크뉴스 2025.05.10
50843 교전 수위 높였던 인도∙파키스탄 “상대가 도발 중단하면 우리도 중단” 랭크뉴스 2025.05.10
50842 김문수 쪽 “단일화 여론조사는 북한식…한덕수 검증된 바 없어” 랭크뉴스 2025.05.10
50841 "살다 살다 이런 경험 처음"…돈 내고 '난민체험' 했다는 최악의 축제, 어땠길래? 랭크뉴스 2025.05.10
50840 경남 향한 이재명, 홍준표와 통화…해병대 격상·항공우주 육성 발표 랭크뉴스 2025.05.10
50839 재난의 아픔에도 우린 숨죽입니다, 하소연도 못하기에··· [하상윤의 멈칫] 랭크뉴스 2025.05.10
50838 20대 세입자 목숨 끊었는데...집주인은 게임 아이템 사고, 재산 은닉까지 랭크뉴스 2025.05.10
50837 민주 "한덕수 배우자 일가 소유 인천 땅 특혜 의혹…해명해야" 랭크뉴스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