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6일 저녁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과 통화해 한미동맹 발전 방안 및 경제 협력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미국이 한국의 정치적 전화기 동안 굳건한 지지를 보낸 데 대해 감사 의사를 전하며 내달 3일 대통령 선거 직후 조속한 한미 정상 통화가 성사될 수 있도록 루비오 장관의 관심을 당부했다.
또한 조 장관은 강력한 대북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동맹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최근 한미 통상당국 간 관세 협의가 상호 호혜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
다만 그는 관세에 대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협의하자는 의사를 표했다.
조 장관은 한미 통상 협의 시 한국이 미국의 동맹국이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서 차별성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도록 루비오 장관의 관심과 역할을 당부했으며, 루비오 장관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또 조 장관은 한미동맹이 ▲한미 상호방위조약 ▲확장억제 ▲무역·투자 등 경제·기술 파트너십 등 3개의 축(pillar)을 바탕으로 강화된 점을 강조, 이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 협력하자고 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미국 군사 역량의 모든 범위를 활용해 한국에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미국의 약속을 재확인했다.
두 장관은 공통의 경제 및 국가 안보 목표를 중심으로 한미동맹 현대화를 진전시키기로 합의했으며 이를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이끄는 양국 간 무역 협의에 따라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통화는 경제 협력 등 현안 논의와 함께 양측이 각국의 상황 변화에 따른 소통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줄사퇴로 지난 2일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체제가 시작됐으며, 미국 또한 마이크 왈츠 전 국가안보보좌관이 최근 경질되면서 루비오 장관이 임시로 안보보좌관을 겸임하고 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 /외교부 제공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미국이 한국의 정치적 전화기 동안 굳건한 지지를 보낸 데 대해 감사 의사를 전하며 내달 3일 대통령 선거 직후 조속한 한미 정상 통화가 성사될 수 있도록 루비오 장관의 관심을 당부했다.
또한 조 장관은 강력한 대북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동맹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최근 한미 통상당국 간 관세 협의가 상호 호혜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
다만 그는 관세에 대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협의하자는 의사를 표했다.
조 장관은 한미 통상 협의 시 한국이 미국의 동맹국이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서 차별성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도록 루비오 장관의 관심과 역할을 당부했으며, 루비오 장관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또 조 장관은 한미동맹이 ▲한미 상호방위조약 ▲확장억제 ▲무역·투자 등 경제·기술 파트너십 등 3개의 축(pillar)을 바탕으로 강화된 점을 강조, 이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 협력하자고 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미국 군사 역량의 모든 범위를 활용해 한국에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미국의 약속을 재확인했다.
두 장관은 공통의 경제 및 국가 안보 목표를 중심으로 한미동맹 현대화를 진전시키기로 합의했으며 이를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이끄는 양국 간 무역 협의에 따라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통화는 경제 협력 등 현안 논의와 함께 양측이 각국의 상황 변화에 따른 소통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줄사퇴로 지난 2일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체제가 시작됐으며, 미국 또한 마이크 왈츠 전 국가안보보좌관이 최근 경질되면서 루비오 장관이 임시로 안보보좌관을 겸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