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과학 R&D 정책, 의료개혁 시작 높이 평가"
계엄 재차 사죄···'김건희 리스크' 중립적 답변
"당시 상황에 재판관 지명 않으면 직무유기"
한덕수 후보는 6일 이낙연(위 사진 오른쪽) 상임고문, 김종인(아래 사진 오른쪽) 전 위원장 등을 잇따라 만나 개헌 연대, 단일화 방향 등을 논의했다. 국회사진기자단(위)·서울경제DB(아래)

[서울경제]

한덕수 무소속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지성에 기초한 행정을 하겠다는 취임사에 가장 공감했었다"며 "노동개혁, 과학계 연구개발(R&D) 정책, 의료개혁을 시작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또 국회 몫의 헌법재판관은 임명하지 않은 반면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을 지명한 이유도 설명했다.

한 후보는 6일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관훈클럽이 주최한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지난해 10월 인터뷰에서 윤 전 대통령을 '가장 개혁적인 대통령'이라고 평가했는데 결과적으로 2개월 후 비상계엄 사태가 벌어졌고, 지금의 평가는 어떠한가"라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한 후보는 "계엄은 잘못됐다 생각하고, (당시)반대하려 노력했으나 윤 전 대통령을 설득하지 못한 데 국민들께 한없이 죄송하다"고 재차 사죄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이 잘 한 일로 노동개혁, 과학계 R&D 정책, 의료개혁 시도 등을 꼽았다. 그는 "노조 재정공개 등 어느 정부도 못했던 문제를 풀었고 불필요한 보조금 지출에 과감히 메스를 댄 일, 과학계에서 100% 동의하지 않겠습니다만 R&D 분야에서 낭비되던 부분을 해결해보려 노력한 점"도 언급했다.

이어 "지방의료, 필수의료 중심으로 제대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개혁을 시작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도 말했다. 다만 한 후보는 "어느 대통령도 과(過)가 없는 분은 없다"며 "그런 과정에서 더 시간을 갖고 원활히 하기 위해 좀더 노력했어야 한다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또 "한마디로 그 분은 그렇게 삿된 분은 아니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건희 리스크'와 관련해선 "가끔 윤 전 대통령에게 '여러가지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 말씀드렸습니다만 짐작으로 얘기해서는 안 되는 문제이고, 최근 수사기관들이 들여다보기 시작했으니 결과가 나오면 그에 따라 확실히 제도적 개편을 해야 한다"고 중립적인 입장을 표했다.

윤 전 대통령과 오랜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완규 법제처장을 헌법재판관으로 지명한 데 대해서는 "(대통령과) 절친이라는 이야기와 훌륭한 헌법재판관이 되는 것과 무슨 관련인지 모르겠다"며 "2년 반쯤 법제처장으로 일한, 워낙 훌륭한 분이라 생각했고 대통령과의 친소 관계는 알지도 못했다"고 반박했다. 또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되기 전 국회 몫의 헌법재판관 임명을 거부했지만 대통령 파면 후 대통령 몫의 지명 권한을 행사한 데 대해서는 "대통령이 돌아올 가능성이 없는 상황에서, 4월 18일이면 헌법재판관 두 분의 임기가 만료되는데 이런 절차를 시작하지 않는 것이 직무유기"라고 지적했다.

한 후보는 또 국회 몫의 헌법재판관 임명을 늦춘 이유에 대해 "국회 몫 3명 중 1명은 여당이, 1명은 야당이 추천하고 나머지 한 명은 합의해야 하는데 그 관례가 깨졌다"며 "국회에서 합의해주면 즉각 임명하겠다고 했는데, 두세 시간 만에 탄핵소추가 의결되고 저는 직무 정지됐다"고 말했다. "우리가 다수니까 2명을 지명하고 국회에서 통과시켜버리는 것은 가짜 법치주의"라며 더불어민주당을 비판하기도 했다. 한 후보는 이와 관련해 상원이 절반, 하원이 절반의 헌법재판관을 임명하는 독일의 사례도 거론했다. 그는 "헌법재판관 임명 역시 국회 3분의 2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생각하고, 그렇게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10 이재명, 파기환송심 공판 연기에 "헌법정신 따른 합당한 결정" 랭크뉴스 2025.05.07
49309 이재명 ‘당선시 재판 여부’에 “그때 가서 판단하면 돼” 랭크뉴스 2025.05.07
49308 한덕수 "단일화는 국민의 명령…잘 이뤄질 것" 랭크뉴스 2025.05.07
49307 안철수, 단일화 갈등에 “가위바위보로 후보 정하는 편이 나았을 것” 랭크뉴스 2025.05.07
49306 복지부, 사직 전공의 복귀 길 열어주나…5월 추가 모집 검토 랭크뉴스 2025.05.07
49305 이재명 다른 재판도 대선 후로 기일변경 신청‥대장동·위증교사 랭크뉴스 2025.05.07
49304 [단독]약사들 반대해도 대세는 '다이소'…안국약품·동국제약도 입점한다 랭크뉴스 2025.05.07
49303 한덕수 "지금 정치는 폭력…개헌으로 정치 바꿔야 경제 살아나" 랭크뉴스 2025.05.07
49302 공수처, 대통령실 압수수색…채 상병 ‘VIP 격노설’ 수사 랭크뉴스 2025.05.07
49301 “조희대 사퇴” “이러고도 대법관이냐”···현직 판사들, 잇따라 성토 랭크뉴스 2025.05.07
49300 이재명, 공판 연기에 "합당한 결정…국민주권행사 방해않는게 중요" 랭크뉴스 2025.05.07
49299 이재명 측, 대장동·위증교사 재판도 기일변경 신청 랭크뉴스 2025.05.07
49298 대선 후보 '이재명 vs 김문수'…테마주 승자는 누구[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5.07
49297 [속보] 이재명 “지금은 국민주권 실행기…‘파기환송심 연기’ 결정 합당” 랭크뉴스 2025.05.07
49296 한동훈 "李 독재국가 눈앞인데…우리끼리 상투 잡고 드잡이" 랭크뉴스 2025.05.07
49295 탄핵 직전 사표 던진 최상목 “직무에 충실한 공직자 외부에서 흔들어서는 안돼” 랭크뉴스 2025.05.07
49294 [속보] 이재명 “지금은 국민주권 실행 시기…‘파기환송심 연기’ 합당” 랭크뉴스 2025.05.07
49293 민주, 법사위 소위서 '대통령 당선시 재판정지' 형소법 처리 랭크뉴스 2025.05.07
49292 전직 판사 "대법관 탄핵? 지금은 아냐‥마지막 선 넘으면" 랭크뉴스 2025.05.07
49291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뒤 6월18일…서울고법 “공정성 논란 불식”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