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02년 '후단협 사태'와 비교>
'당 주류가 비주류 후보에 단일화 요구'는 닮은 점
1위 후보와 격차 크고, 지지층 겹치는 건 다른 점
2002년 11월 16일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대선후보와 정몽준 국민통합21 대선후보가 국민여론조사에 의한 후보단일화에 전격 합의한 뒤 활짝 웃으며 얼싸안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지금 후보로는 정권 재창출이 불가능하다.”


“국민경선은 사기극이었다.”


언뜻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단일화 과정에서 나오는 말처럼 들리지만 아니다. 실은 23년 전 16대 대선을 앞두고 새천년민주당(현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같은 당 노무현 대선 후보를 향해 내놓은 발언들이다.

당시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노 후보의 지지율이 이회창 한나라당 대선 후보에게 밀리는 것으로 나타나자 제3지대의 정몽준 국민통합21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를 강하게 압박했다. 당 지도부도 이를 묵인했다. 이른바 후보 단일화 협의회(후단협) 사태였다.

노 후보가 압박에 못 이겨 단일화 카드를 받았지만 예상을 뒤엎고 단일화 여론조사에서 앞서며 노 후보 중심의 단일화에 성공했고 기세를 몰아 대권까지 거머쥐었다. 단일화 명목으로 사실상 정몽준 후보에게 베팅하며 자당 후보를 압박했던 후단협 의원들은 정치적 타격을 입었고 일부는 정계에서 은퇴했다.

'당 주류가 비주류 후보에 단일화 요구'는 닮은 점



현 국민의힘 상황도 후단협 사태와 닮았다. 당 주류가 대선 후보에게 외부 인사(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를 요구한다는 점이 그렇다.
김문수 후보는 그간 중앙정치와 떨어져 지내 당내 세력이 미약한 비주류라는 점도 노무현 후보와 비슷
하다.

김문수(오른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지지층 겹쳐 중도확장 의문... 이재명 사법리스크는 변수



다른 면도 있다. 2002년 대선을 앞둔 여론조사에서 이회창 후보가 1위, 노무현 후보와 정몽준 후보가 2위권을 형성했지만 1, 2위권의 격차가 지금처럼 크지는 않았다. 당시 대선을 26일 앞두고 실시된 한국갤럽의 지지율 조사를 보면
이회창 후보는 32%, 노무현 후보와 정몽준 후보는 각각 25%
로 동률이었다. 반면 지난 3, 4일 실시된 중앙일보·한국갤럽 조사를 보면 차기 대통령 선호도로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가 47%, 한덕수 전 총리 23%, 김문수 후보 13%,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 4%
였다. 4, 5일 실시된 YTN·엠브레인퍼블릭의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도 이재명 후보 45%, 한 전 총리 18%, 김문수 후보 12%, 이준석 후보 4%로 나타났다. 범보수 후보 3명의 지지율을 더해도 이 후보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후보 단일화를 해도 2002년과 달리 승리가 보장된 여건이 아니다.

더구나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는 진보와 중도보수의 결합으로 외연 확장의 시너지
가 있었다. 이와 달리
'김문수-한덕수'는 지지층이 대체로 보수층으로 겹쳐 외연 확장이 제한적
이란 평가가 나온다.

다만 2002년 대선과 달리 1위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가 변수가 될 수 있다. 실제 리얼미터가 지난달 30일부터 사흘간 실시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민주당은 42.1%, 국민의힘은 41.6%로 오차 범위(2.5%포인트) 안에서 팽팽했다. 사법리스크 영향으로 중도층 표심이 흔들리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기사에 인용된 중앙일보·한국갤럽 조사는 지난 3, 4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7.8%, 오차 범위는 ±3.1%포인트다. YTN·엠브레인퍼블릭 조사는 지난 4, 5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6.9%, 오차 범위는 ±3.1%포인트다. 에너지경제신문·리얼미터 조사는 4월 30일~5월 2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509명을 대상으로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6.4%, 오차 범위는 ±2.5%포인트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156 트럼프 "8, 9일에 지각 뒤흔들 매우 큰 발표…무역과는 무관"(종합) 랭크뉴스 2025.05.07
49155 미국 "이번 주 스위스서 중국과 무역·경제 현안 논의 랭크뉴스 2025.05.07
49154 [장석광의 세계는 첩보 전쟁] 나를 사랑한 스파이? ‘미남계’가 더 무섭다 랭크뉴스 2025.05.07
49153 쿠팡 김범석 “한국 로켓배송 대만서 통했다... 코카콜라·펩시도 손잡아” 랭크뉴스 2025.05.07
49152 “삼성 갤럭시 노렸나”…애플, 20년 만에 출시 전략 바꾼다[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5.07
49151 [속보] 파키스탄 "인도 미사일 공격에 8명 사망" 랭크뉴스 2025.05.07
49150 트럼프 “8~9일 사이 세상 놀라게 할 중대 발표···무역과는 무관” 랭크뉴스 2025.05.07
49149 “10만분의 1 확률”…미국서 머리 2개 ‘쌍두사’ 탄생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5.07
49148 [속보] 미국 "이번 주 스위스서 중국과 무역·경제 현안 논의 랭크뉴스 2025.05.07
49147 "IMF 때보다 더하다"…여수산단에 드리운 불황의 그늘, 왜 [르포] 랭크뉴스 2025.05.07
49146 인도, 파키스탄 미사일 공격… 카슈미르 '관광객 테러' 확전되나 랭크뉴스 2025.05.07
49145 투자자들이 푹 빠진 ‘이곳’…미국장도, 금도 아니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5.07
49144 쿠팡, 10억 달러 자사주 매입… "최고 수준 주주 가치 창출 목표" 랭크뉴스 2025.05.07
49143 [속보] ①쿠팡이츠 ②파페치 ③대만도 날개 달았다...쿠팡, 역대 1분기 최대 실적 랭크뉴스 2025.05.07
49142 국영수 1등 '이 학원' 다닌다…엄마들 쉬쉬한 대치동 비밀 랭크뉴스 2025.05.07
49141 트럼프 “캐나다, 51번째 주 돼야”…캐나다 총리 “결코 팔지 않아” 랭크뉴스 2025.05.07
49140 이재명, 대법 결정 이후에도 50% 안팎 압도적 우위 이어가 랭크뉴스 2025.05.07
49139 조태열 장관, 美국무와 통화…“대선 감안, 시간 갖고 관세 협의” 랭크뉴스 2025.05.07
49138 "5000만원 선지급" 스폰서 제안 박제한 여배우 "내가 우습냐" 랭크뉴스 2025.05.07
49137 진보정당, 6·3 대선서 ‘빛의 혁명’ 목소리 담는 통로될까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