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02년 '후단협 사태'와 비교>
'당 주류가 비주류 후보에 단일화 요구'는 닮은 점
1위 후보와 격차 크고, 지지층 겹치는 건 다른 점
2002년 11월 16일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대선후보와 정몽준 국민통합21 대선후보가 국민여론조사에 의한 후보단일화에 전격 합의한 뒤 활짝 웃으며 얼싸안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지금 후보로는 정권 재창출이 불가능하다.”


“국민경선은 사기극이었다.”


언뜻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단일화 과정에서 나오는 말처럼 들리지만 아니다. 실은 23년 전 16대 대선을 앞두고 새천년민주당(현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같은 당 노무현 대선 후보를 향해 내놓은 발언들이다.

당시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노 후보의 지지율이 이회창 한나라당 대선 후보에게 밀리는 것으로 나타나자 제3지대의 정몽준 국민통합21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를 강하게 압박했다. 당 지도부도 이를 묵인했다. 이른바 후보 단일화 협의회(후단협) 사태였다.

노 후보가 압박에 못 이겨 단일화 카드를 받았지만 예상을 뒤엎고 단일화 여론조사에서 앞서며 노 후보 중심의 단일화에 성공했고 기세를 몰아 대권까지 거머쥐었다. 단일화 명목으로 사실상 정몽준 후보에게 베팅하며 자당 후보를 압박했던 후단협 의원들은 정치적 타격을 입었고 일부는 정계에서 은퇴했다.

'당 주류가 비주류 후보에 단일화 요구'는 닮은 점



현 국민의힘 상황도 후단협 사태와 닮았다. 당 주류가 대선 후보에게 외부 인사(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를 요구한다는 점이 그렇다.
김문수 후보는 그간 중앙정치와 떨어져 지내 당내 세력이 미약한 비주류라는 점도 노무현 후보와 비슷
하다.

김문수(오른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지지층 겹쳐 중도확장 의문... 이재명 사법리스크는 변수



다른 면도 있다. 2002년 대선을 앞둔 여론조사에서 이회창 후보가 1위, 노무현 후보와 정몽준 후보가 2위권을 형성했지만 1, 2위권의 격차가 지금처럼 크지는 않았다. 당시 대선을 26일 앞두고 실시된 한국갤럽의 지지율 조사를 보면
이회창 후보는 32%, 노무현 후보와 정몽준 후보는 각각 25%
로 동률이었다. 반면 지난 3, 4일 실시된 중앙일보·한국갤럽 조사를 보면 차기 대통령 선호도로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가 47%, 한덕수 전 총리 23%, 김문수 후보 13%,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 4%
였다. 4, 5일 실시된 YTN·엠브레인퍼블릭의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도 이재명 후보 45%, 한 전 총리 18%, 김문수 후보 12%, 이준석 후보 4%로 나타났다. 범보수 후보 3명의 지지율을 더해도 이 후보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후보 단일화를 해도 2002년과 달리 승리가 보장된 여건이 아니다.

더구나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는 진보와 중도보수의 결합으로 외연 확장의 시너지
가 있었다. 이와 달리
'김문수-한덕수'는 지지층이 대체로 보수층으로 겹쳐 외연 확장이 제한적
이란 평가가 나온다.

다만 2002년 대선과 달리 1위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가 변수가 될 수 있다. 실제 리얼미터가 지난달 30일부터 사흘간 실시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민주당은 42.1%, 국민의힘은 41.6%로 오차 범위(2.5%포인트) 안에서 팽팽했다. 사법리스크 영향으로 중도층 표심이 흔들리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기사에 인용된 중앙일보·한국갤럽 조사는 지난 3, 4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7.8%, 오차 범위는 ±3.1%포인트다. YTN·엠브레인퍼블릭 조사는 지난 4, 5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6.9%, 오차 범위는 ±3.1%포인트다. 에너지경제신문·리얼미터 조사는 4월 30일~5월 2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1,509명을 대상으로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6.4%, 오차 범위는 ±2.5%포인트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01 [속보] 최태원 “위약금 면제 이사회서 논의 중…이용자 형평성·법적 문제 검토” 랭크뉴스 2025.05.07
49200 홍준표 "김문수 밀어줘 날 떨어트리더니…왜 김문수 비난하나" 랭크뉴스 2025.05.07
49199 [속보] 최태원 SK 회장 “위약금 문제, 이사회서 논의 중” 랭크뉴스 2025.05.07
49198 [속보] SKT 해킹에 최태원 "뼈 아프게 반성"...사고 발생 19일 만에 사과 랭크뉴스 2025.05.07
49197 “대형 사고 터졌는데도” 우리은행, 금융사 경영평가 종합 1위 차지 랭크뉴스 2025.05.07
49196 “한덕수 부인, 영발도사 자문 받아…정신세계 많은 관심” 랭크뉴스 2025.05.07
49195 동료 흉기 살해한 베트남 국적 30대 노동자 긴급 체포 랭크뉴스 2025.05.07
49194 트럼프 “8~9일, 세상 놀라게 할 중대 발표…무역과는 무관” 랭크뉴스 2025.05.07
49193 홍준표 "한덕수, 무상열차 노리고 윤석열 아바타 자처" 맹비난 랭크뉴스 2025.05.07
49192 이재명 “너무 털어 먼지는 안 나고 아파···불의한 사법살인에 지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5.07
49191 “SKT 보안 전면 재정비” 최태원, 해킹 사고 19일 만에 사과 랭크뉴스 2025.05.07
49190 김문수 측 "단일화 약속 변함 없어‥후보 부당하게 압박해 문제" 랭크뉴스 2025.05.07
49189 [속보] 최태원 SK 회장 “해킹 사태 이후 소통 미흡 안타까워... 뼈 아프게 반성” 랭크뉴스 2025.05.07
49188 최태원, 드디어 입장 밝힌다...SKT 해킹 사태 대국민 사과 예정 랭크뉴스 2025.05.07
49187 이준석 "김문수 상황, 언젠가 겪어본 듯... 변한 것 없는 사람들" 랭크뉴스 2025.05.07
49186 홍준표 “윤석열, 나라 망치고 당도 망쳐···용산·지도부 공작 있었다” 랭크뉴스 2025.05.07
49185 서울 시내버스 ‘준법투쟁’ 재개…시민들 “큰 불편은 없다” 랭크뉴스 2025.05.07
49184 [속보] 이주호 대행 “조속한 원전 최종계약 위해 체코와 긴밀 소통할 것” 랭크뉴스 2025.05.07
49183 체코원전 제동에 원전株 '급락' 랭크뉴스 2025.05.07
49182 산업장관 "'체코 원전 계약 지연' 안일한 대응 아냐‥일정 지연은 불가피"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