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6일 오후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후보 일정 중단을 선언한 뒤 취재진에 둘러싸여 있다. 경북 지역을 방문 중이던 김 후보는 “당이 대선후보까지 끌어내리려 한다”며 “서울에 올라가 남은 현안에 대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후보의 단일화를 둘러싼 국민의힘 내홍이 점입가경이다. 김 후보는 당 지도부에 구체적 일정을 알리지 않은 채 6일 1박2일 일정으로 영남을 찾았고,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김 후보를 설득하기 위해 대구행 KTX에 급히 몸을 실었지만, 이를 단일화 압박으로 간주한 김 후보는 일정을 전격 중단하고 상경하는 초강수를 뒀다.

서울로 온 김 후보는 이날 밤 10시40분쯤 입장문을 내고 “7일 오후 6시 한 후보를 단독으로 만나기로 약속했고, 이는 후보가 제안했다”며 “단일화와 관련해 더는 불필요한 논쟁이 없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당 지도부를 겨냥해서는 대선 후보의 당무우선권을 발동한다고 밝히며 “당 지도부는 더는 단일화에 개입하지 말고, 관련 업무를 즉시 중단해야 한다. 이 시각부터 단일화는 전적으로 대통령 후보가 주도한다”고 했다. 7일 당 지도부가 실시하기로 한 단일화 찬반 당원 조사를 두고는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관련 한 후보 측은 회동일정을 확인하면서도 “단일화 방법에 대해서는 국민의힘 측에 일임한다고 여러 차례 말했다”고 알렸다.

이날 밤 김 후보의 자택을 찾은 권 원내대표는 이에 대해 “단일화가 되면 지도부가 개입할 필요가 없다. 제발 단일화 합의를 해주면 좋겠다”고 했다.

이날 국민의힘은 하루종일 롤러코스터를 탔다. 일단 김 후보가 시·도당 관계자에게도 행선지를 알리지 않은 채 영남으로 내려갔다.

그러다 김 후보는 오후 4시10분쯤 경북 경주에서 취재진에게 “저는 후보 일정을 지금 시점부터 중단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이어 “당은 (전날) 기습적으로 전국위원회와 전당대회를 소집했고, 이는 정당한 후보인 저를 강제로 끌어내리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 측 관계자는 “일정 중단은 전적으로 김 후보의 결단이었고, 우리도 몰랐다”며 “당원을 대상으로 7일 단일화 찬반 조사를 한다는 소식에 불쾌감을 느낀 김 후보가 당 지도부가 상의도 없이 찾아온다고 하니 아예 일정을 중단키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김 후보 측은 당 지도부가 한 후보와 한 몸으로 움직이면서 극적인 대구 회동을 연출한 게 아니냐고 의심했다.

반면에 이른바 ‘쌍권’(권영세·권성동)은 이날 오후 3시50분쯤 대구행 KTX를 탔다가 열차 안에서 김 후보의 일정 중단 소식을 접했다. “대체 이게 무슨 소리냐”는 탄식이 흘렀다.



쌍권, 김문수 만나러 대구 향했지만…김은 “후보 일정 중단” 서울 올라와
당 관계자는 “두 사람은 울며 겨자 먹기로 대전역에서 중도 하차했다”며 “어떤 식으로든 타협점을 찾으려 했는데 김 후보가 너무 독단적으로 반응한다”고 토로했다.

5일 이헌승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의장 명의로 공개한 제6차 전당대회 공고문. [사진 국민의힘]
한 후보 측도 바삐 움직였다. 당 지도부의 대구행 소식에 캠프 참모진은 한 후보에게 “(후보님도) 직접 내려가야 하는 거 아니냐”고 요청했지만, 한 후보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고 한다. 한 후보는 “단일화 여부는 김 후보와 국민의힘 지도부가 먼저 풀어야 할 문제다. 단일화 방식도 그쪽에 전적으로 일임한다고 하지 않았느냐”며 “대신 흠결 있는 단일화를 해선 안 된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한다. 한 후보 측 관계자는 “흠결 있는 단일화란 김 후보를 고의적으로 눌러앉히는 단일화로 (참모진은) 받아들였다”고 전했다.

이날 국민의힘 지도부와 김 후보 측은 계속 삐걱댔다. 김 후보는 오전 입장문을 내고 “당은 후보를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당 운영을 강행하며 공식 대선후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8~9일 전국위, 10~11일 전당대회를 소집한 이유를 분명하게 밝혀 달라”고 강조했다. 당 지도부는 전날 심야에 전국위, 전당대회 일정을 통보했다. 김재원 비서실장은 라디오에서 “김 후보는 단일화가 여의치 않으면 (전대를 통해) 김 후보를 끌어내리려는 것이 아니냐고 강한 의심을 하고 있다”고 했다.

당 지도부도 맞불을 놨다. 권 위원장은 이날 오후 2시 당 의원총회에서 “김 후보의 단일화 약속을 믿고 선택했는데, 이제 와서 신의를 무너뜨리면 국민과 당원을 배신하는 것”이라며 “목표 시한(11일) 내에 단일화에 실패하면 위원장직에서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 후보 측근 그룹을 겨냥해 “당권을 장악하고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을 노리는 사람이 단일화에 부정적이라는 이야기까지 돈다”고 말했다.

의총에서는 중진 의원을 중심으로 “김 후보가 올 때까지 밤샘 의총을 열자”는 주장도 나왔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은 페이스북에 “단일화할 마음이 없다면 김 후보는 후보 자격을 내려놓고 길을 비키십시오”라고 썼다.

이후 오후 8시 재개된 의총에서는 “권 위원장과 권 원내대표가 오늘 밤 김 후보를 다시 찾아 설득하는 게 어떠냐”는 의견이 나왔고, 다른 의원들은 “그렇게 하면 지나치게 압박하는 모양새”라며 반대 의견을 냈다고 한다. 결국 이날 저녁 권 원내대표와 김기현·박덕흠 의원 등이 김 후보의 봉천동 자택을 찾아갔지만, 김 후보는 별도의 장소에서 본인이 단일화 협상을 주도한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양측의 충돌에는 단일화 시점에 대한 뚜렷한 시각차가 자리 잡고 있다. 당내에선 김 후보의 강공에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을 넘겨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한 후보보다 인력·재정 면에서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렸다고 본다. 실제로 김 후보 측 인사는 “단일화가 빠르면 좋지만, 재외국민 선거 전날인 19일이나 투표용지 인쇄 전인 24일까지 이뤄져도 된다”며 “단일화는 막판에 성사돼야 효과가 큰데, 지도부가 11일을 마지노선으로 정한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405 이재명 파기환송심 공판 대선 이후로 연기‥"선거운동 기회 보장" 랭크뉴스 2025.05.07
49404 [속보]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합의 불발...75분 빈손회동 랭크뉴스 2025.05.07
49403 [속보] 이재명 ‘대장동’ 재판도 연기…서울중앙지법 “6월24일로” 랭크뉴스 2025.05.07
49402 김재원 “권영세, 황우여 찾아가 김문수 끌어내리려해” 랭크뉴스 2025.05.07
49401 [속보] 김문수 “韓, 당에 맡긴단 말만…의미있는 진척 없어” 랭크뉴스 2025.05.07
49400 [속보]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담판 결렬 “합의된 사안 없다” 랭크뉴스 2025.05.07
49399 [속보] 김문수-한덕수 90분 만찬 빈손으로 회동 종료… “합의된 내용 없다” 랭크뉴스 2025.05.07
49398 [속보]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회담 종료…“합의된 건 없다” 랭크뉴스 2025.05.07
49397 [속보] 김문수-한덕수 1시간15분 회동 “특별히 합의된 사안 없다” 랭크뉴스 2025.05.07
49396 김재원 "권영세, 황우여 찾아가 '김문수 끌어내리기' 시도" 랭크뉴스 2025.05.07
49395 최소 수십억원 '쩐의 전쟁' 선거 비용... 얼마나 들길래 랭크뉴스 2025.05.07
49394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뒤’ 첫 재판…“선거운동 기회 보장” 랭크뉴스 2025.05.07
49393 [속보] 김재원 "권영세, 황우여 찾아가 '김문수 끌어내리기' 시도" 랭크뉴스 2025.05.07
49392 故 김새론 유족 측, 김수현 아동복지법 위반·무고 혐의로 고소 랭크뉴스 2025.05.07
49391 [속보]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담판’ 시작···극적 타협이냐 파국이냐 랭크뉴스 2025.05.07
49390 [속보] 김문수·한덕수 회동 시작, 단일화 진전 되나 랭크뉴스 2025.05.07
49389 환율, 20원 등락 끝에 1398원에 마감… 비상계엄 이후 첫 1300원대 랭크뉴스 2025.05.07
49388 "아이고 의원님 어서 오십시오" 김문수 보자마자 한덕수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5.07
49387 김문수 한덕수 '동상이몽 단일화'... 담판이냐, 파국이냐 랭크뉴스 2025.05.07
49386 이재명 대장동 재판도 대선 이후로 연기…다음달 24일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