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지도부 전국위·전대 소집 공고에
金 측 “당무우선권 박탈 노려” 격앙
한덕수 “단일화 실패는 국민 배신”
金 측 “당무우선권 박탈 노려” 격앙
한덕수 “단일화 실패는 국민 배신”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운데)와 김기현, 박덕흠 의원이 6일 밤 대선 후보 단일화 압박에 반발해 일정 중단을 선언한 김문수 후보의 서울 관악구 자택 앞에서 기다리고 있다. 김 후보는 7일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와 회동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 간 후보 단일화 문제를 놓고 국민의힘이 극심한 내홍에 빠져들었다. 후보 단일화 논의 역시 표류하고 있다.
김 후보 측은 ‘당무 우선권’을 갖는 대선 후보가 단일화 논의를 주도해야 마땅한데 지도부가 단일화 추진 기구를 일방 구성하는 등 김 후보를 당의 대선 후보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당 지도부나 한 후보 측은 김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한 후보에게 열세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오는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후보 등록 마감까지 ‘시간 끌기’에 들어간 것 아니냐고 의심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협상 테이블에 앉기도 전에 자중지란을 보인 것이다.
김 후보는 6일 오전 대구·경북(TK) 일정에 들어가면서 “(당이) 단일화에 필수적인 선거대책본부 구성과 당직자 임명에도 아직 협조하지 않고 있고, 후보가 주도해야 할 단일화 추진 기구도 일방적으로 구성하고 통보했다”며 당 지도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단일화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게 지도부의 월권과 비협조 탓이란 논리다. 당 지도부가 8~9일, 10~11일 전국위원회와 전당대회 소집을 공고한 데 대해 김 후보 측은 “당헌·당규 개정으로 대선 후보의 당무 우선권을 박탈하고 후보를 교체하려는 ‘쿠데타’”라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이양수 사무총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 후보가 단일화 협상에서 이길 때를 대비한 절차”라며 “당헌·당규 개정이나 후보 교체는 검토한 적 없다”고 일축했다.
이날 오전 단일화추진위원장인 유상범 의원 주재 첫 단일화 회의 역시 김 후보 측 불참으로 무산됐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의원총회에서 김 후보를 향해 “당무 우선권을 논하기 전에 국민과 당원에게 드린 약속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일부 의원들은 의총에 참석하며 김 후보를 겨눠 “사기 당했다” “예전의 김문수가 아니다” 등의 발언도 했다.
한 후보도 이날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단일화 실패는 국민에 대한 큰 배신이고 배반이 될 것”이라며 김 후보를 직접 겨눴다. 한 후보 측 관계자는 “말로는 빅텐트를 치자 해놓고 발길이 다른 데로 가는 것은 (언행) 불일치 아니냐”고 말했다.
구(舊) 여권에서는 김 후보가 단일화 논의에 소극적으로 바뀐 건 지지율 열세를 의식한 거라는 해석도 나온다. 한국갤럽이 중앙일보 의뢰로 지난 3~4일 전국 성인 1006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단일화 후보로 한 후보(39%)가 김 후보(30%)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 대상 조사에서는 한 후보가 65%로 27%에 그친 김 후보를 압도했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자세한 사항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벌써 김 후보 ‘사퇴’를 언급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은 페이스북에서 “단일화할 마음이 없다면 후보 자격을 내려놓고 길을 비키라”고 김 후보를 직격했다.
다만 당내 경선에서 선출된 후보를 몰아세우는 분위기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국민의힘 한 원로는 “지도부가 당이 선출한 후보에게 힘을 실어줘야지 단일화 얘기부터 꺼낸 게 실수”라고 지적했다. 김 후보도 지방 일정 중단 후 “김 후보에게 당무 우선권이 있기 때문에 현재 비대위 해체 권한도 있다”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언론 인터뷰 기사를 페이스북에 올리며 응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