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러 화석연료 퇴출' 로드맵 발표…연말 신규수입 금지·2027년엔 '제로' 목표
"러에 갖다바친 돈, 우크라 원조액보다 많아"…회원국 합의 난항 예상


EU 깃발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에너지와 완전히 결별하겠다고 6일(현지시간) 선언했다.

당장 연말부터 천연가스 신규 수입 계약을 법으로 금지하는 것은 물론, 역내 업체들이 러시아와 체결한 기존 계약도 사실상 강제로 중도 파기하도록 할 방침이다.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이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열린 주간회의에서 2027년까지 러시아산 화석연료를 역내에서 퇴출하기 위한 계획을 담은 '리파워EU(REPowerEU) 로드맵'을 채택했다.

로드맵은 2년에 걸쳐 모든 러시아산 화석연료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기 위한 9가지 대책을 제시했다. 우선 내달 원유·가스·원전연료 수입 관련 입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가스와 관련, 집행위는 연말부터 가스관을 통한 기체 형태 천연가스와 해상으로 수입되는 액화천연가스(LNG) 등 모든 러시아산 가스 수입 신규 계약을 법으로 금지할 방침이다.

기존에 러시아 공급업체와 체결한 1년 미만의 단기 현물계약 역시 중단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다. 또 차질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패스트트랙' 입법 절차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신규 계약과 현물 계약이 중단되면 현재 수입되는 러시아산 가스의 3분의 1가량이 줄어든다. 나머지 수입 물량 3분의 2는 모두 1년 이상의 장기계약 물량으로, 늦어도 2027년 말까지 모두 강제 종료하도록 하는 규정이 법안에 포함된다.

집행위는 이를 위해 러시아산 가스를 구매하는 역내 수입업자에 관련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는 규정을 별도로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늦어도 연말까지 모든 회원국에 러시아산 가스 퇴출 계획과 일정을 짜 제출하라고 요구할 방침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인 러시아산 농축 우라늄 수입을 제한하고 유럽원자력공동체공급청(ESA)에 의한 신규 핵연료 공급계약 공동 체결을 금지하기 위한 입법안도 내놓기로 했다.

러 화석연료 퇴출 로드맵 발표하는 EU 집행위원
(스트라스부르 EPA=연합뉴스) 단 요르겐슨 에너지·주택 담당 집행위원이 6일(현지시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5.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EU 고위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농축 우라늄 수입 제한 조치로는 관세 부과가 선택지 중 하나이지만 최종 방식은 다음달 내놓은 입법안이 마련되는 대로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유의 경우, 이미 시행 중인 러시아산 가격 상한제를 회피하는 데 활용되는 일명 '그림자 함대'를 겨냥한 추가 조처를 마련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번 조치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의 전쟁자금줄로 지목된 에너지 수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단 요르겐슨 에너지·주택 담당 집행위원은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최근까지 우리가 러시아산 에너지를 구매하는 데 쓴 돈이 우크라이나 군사원조액보다 많았다. 새 전투기 2천400대와 맞먹는 금액"이라며 "더는 안 된다"고 말했다.

특히 로드맵에 포함된 신규 법안 시행을 위해선 가중다수결(EU 인구 65% 이상을 대표하는 15개 회원국 찬성) 지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는 '만장일치의 함정'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분석도 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인 가스 수입을 금지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제재이지만,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등 러시아산 의존도가 높은 회원국 반대로 매번 제재안에 포함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헝가리와 슬로바키아는 집행위의 로드맵에도 반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EU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가 서방 제재에 대한 보복으로 해저 가스관을 통한 유럽행 천연가스 공급을 대폭 줄이면서 전례없는 에너지 위기 사태를 겪었다.

이에 EU는 지난 3년여간 '리파워EU'라는 이름으로 러시아산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처를 다각화했으며 동시에 재생에너지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렸다.

그 결과 2021년 기준 전체 수입량의 45% 달했던 러시아산 가스는 지난해 19%로 줄었지만 여전히 비중이 작지 않다.

가격 상한제가 시행 중인 원유 수입량은 과거 27%에서 현재 3% 수준으로 급감했고 마찬가지로 제재 대상인 러시아산 석탄은 현재는 전혀 수입되지 않는다.

이날 발표는 EU가 대미 관세협상 국면에서 미국산 LNG 수입 확대 의향을 밝힌 가운데 이뤄진 것이기도 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EU에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미국산 LNG 수입을 늘리라고 요구해왔다.

요르겐슨 집행위원은 러시아산을 대체하는 과정에서 자칫 미국 등에 또다시 의존하게 되고 가격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에 "전 세계 LNG 생산량 예상치와 우리가 매년 전체적인 가스 소비량을 감축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EU의 결정에 대해 로이터 통신에 "유럽이 제 발등을 찍고 있다"고 혹평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러시아 에너지를 배제하는 것이 유럽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그들은 미국과 다른 나라의 더 비싼 상품을 선호하며 경쟁적인 환경을 줄이고 있다"며 "차세대 유럽 정치인들은 상황을 더 냉정하게 평가하기를 바랄 뿐"이라고 비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179 리튬이온배터리 쓰레기 때문에…일본, 연간 8천 건 화재 랭크뉴스 2025.05.07
49178 강진 이후 폭염 덮친 미얀마…군정은 또 ‘말뿐인 휴전’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5.05.07
49177 경북 칠곡 저수지서 승용차 추락, 50대 운전자 숨져 랭크뉴스 2025.05.07
49176 최태원, 오늘 SKT 해킹 사태 대국민 사과…수습 총력 방침 랭크뉴스 2025.05.07
49175 쫓겨났던 이준석 “김문수 상황에 기시감…국힘 변한 것 없어” 랭크뉴스 2025.05.07
49174 인도, 파키스탄 9곳 미사일 공격…파키스탄 “인도 전투기 5대 격추” 랭크뉴스 2025.05.07
49173 [속보] 국힘, 전 당원 대상 단일화 찬반 여론조사 시작 랭크뉴스 2025.05.07
49172 체코 원전 계약날 서명 못하는 팀코리아...안덕근 장관 "나머지 일정 예정대로" 랭크뉴스 2025.05.07
49171 "단일화 승리" 자신했지만‥시간 갈수록 '초조' 랭크뉴스 2025.05.07
49170 "한국으로 취업하면 월급 4배"…베트남인 수만명 몰린 까닭 랭크뉴스 2025.05.07
49169 쿠팡 김범석 “한국 로켓배송 대만서 통했다… 코카콜라·펩시도 손잡아” 랭크뉴스 2025.05.07
49168 [속보] 대만달러 ‘초강세’ 여파… 원·달러, 25.3원 내린 1380원 개장 랭크뉴스 2025.05.07
49167 산업장관 “체코 원전 계약 체결 연기 불가피… 큰 문제는 없을 것” 랭크뉴스 2025.05.07
49166 美하원의원, '한국의 美 플랫폼기업 차별 제지 법안' 재발의 랭크뉴스 2025.05.07
49165 [속보] 파키스탄군 "印비행기 5대 격추…실질통제선 곳곳서 교전" <로이터> 랭크뉴스 2025.05.07
49164 체코 원전 계약 중단에···한수원 “체코 법적절차 존중, 경쟁사에는 유감” 랭크뉴스 2025.05.07
49163 트럼프 “8~9일에 지각 뒤흔들 큰 발표할 것…무역 관련은 아냐" 랭크뉴스 2025.05.07
49162 미중 드디어 협상 개시... 中 허리펑, 美 베선트 이번주 스위스에서 만난다 랭크뉴스 2025.05.07
49161 "한화에어로, 황제주 간다…유럽 방위비 수혜"[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5.07
49160 ‘카슈미르 테러 갈등’ 인도-파키스탄 급기야 무력 충돌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