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OpenAI DALL·E 제작


고령의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이 GDP(국내총생산)의 6.4% 수준인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50년에는 488조원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투명한 관리 및 보호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본 등에서 이미 사회 문제로 대두된 이른바 ‘치매머니’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첫 시도다. 치매머니는 ‘잠자는 돈’이라고도 불리는데 인지기능이 저하된 치매환자의 금융 거래에 제한이 걸리며 사망으로 인한 상속 전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묶이는 돈을 의미한다. 일본의 경우 2030년이면 치매머니 규모가 230조엔(약 23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사회문제가 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고령 치매환자는 약 124만 명으로 확인됐다. 이중 자산을 보유한 사람이 전체의 61%인 76만명으로 추산됐는데 이들이 보유한 총 자산이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1인당 평균 자산으로 환산하면 약 2억원이다. 고령 치매환자는 전체 인구의 약 2.4% 수준이지만 이들이 보유한 자산은 전체 GDP의 6.4% 수준으로 인구 대비 자산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저고위 제공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 중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부동산 자산으로 전체의 74.1%인 약 114조원에 달했다. 금융자산은 전체의 21.7%인 약 33조4000억원을 차지했다. 다만, 금융자산은 치매환자의 금융소득(이자, 배당 등)을 토대로 추정한 값이라는 한계가 있고, 건보공단 자료에는 연간 2000만원 미만의 금융소득 발생자는 포함되지 않아서 실제보다 적게 추정됐을 가능성이 있다. 즉 전체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이 더욱 많을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은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시간이 갈수록 치매머니로 인한 사회문제는 심각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한국의 치매환자는 2030년 178.7만명, 2040년 285.1만명, 2050년에는 396.7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치매머니도 급속히 늘어나 2050년에는 지금보다 3배 이상 늘어난 488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2050년 예상 GDP의 15.6%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조사를 주도한 저고위 관계자는 “고령 치매환자의 실물자산과 소득을 전수조사해 치매머니의 전체 규모와 실체를 처음으로 파악하게 됐다”며 “치매머니는 환자 개인적으로는 자산을 스스로 관리하지 못해 가족이나 제3자에 의한 무단 사용 또는 사기에 노출될 위험이 있고, 사회적으로는 자산이 동결돼 투자 및 소비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가 붕괴되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추가로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해 치매머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연말에 발표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30 가덕도신공항 공사 기간 논란 “2년 연장” vs “절차상 수용 불가” 랭크뉴스 2025.05.06
48929 최태원, 'SKT 해킹 사태' 국회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5.06
48928 국민의힘 “내일 단일화 찬반 당원조사”…김문수 “후보 끌어내리려 해” 랭크뉴스 2025.05.06
48927 베트남서 '고임금' 한국 파견 노동자 선발에 2만3천명 몰려 랭크뉴스 2025.05.06
48926 ‘찬성률 100%’ 이사회 뒤에 숨는 SKT [한겨레 프리즘] 랭크뉴스 2025.05.06
48925 ‘유심 해킹’ SKT, 불과 반년 전 정부 보안 심사 통과…제도 실효성 논란 랭크뉴스 2025.05.06
48924 美 의회, 엔비디아 AI칩 위치추적 추진…“中 밀수 차단 목적” 랭크뉴스 2025.05.06
48923 서울 시내버스 노조, 7일 첫차부터 준법운행 재개 랭크뉴스 2025.05.06
48922 김문수를 강제할 방법이 없다?…‘제2의 옥새 나르샤’ 파동 벌어지나 랭크뉴스 2025.05.06
48921 "주식을 왜 사? 금 사야지"…골드뱅킹 잔액 1.1조원 돌파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5.06
48920 이재명 "조봉암도 사법 살인"… 민주당은 '공판 연기' 여론전 사활 랭크뉴스 2025.05.06
48919 국힘 ‘쌍권’, 단일화 압박하러 대구행···김문수 “일정 중단, 난 서울로 간다” 랭크뉴스 2025.05.06
48918 "베트남산 새우를…" 警, 백종원 '덮죽' 허위광고 논란 수사 랭크뉴스 2025.05.06
48917 메르츠, 의회 과반수 못 얻어 총리 선출 실패… 獨 역사상 처음 랭크뉴스 2025.05.06
48916 홍성수 교수 “대법원, 상고이유서 제출 기일 보장 약속해야” 랭크뉴스 2025.05.06
48915 대학 캠퍼스 돌아다니며 책·이불에 불붙인 中 유학생, 실형 선고 랭크뉴스 2025.05.06
48914 법원, 이재명 파기환송심 서류 7일 송달 시도…9일까지 안 되면 재판 연기 랭크뉴스 2025.05.06
48913 이재명 “의대생, 돌아와 달라…정치가 반드시 답하겠다” 랭크뉴스 2025.05.06
48912 대법 파기환송 이후에도 50% 안팎···흔들리지 않은 이재명 대선 지지율 랭크뉴스 2025.05.06
48911 15일 파기환송심 불출석한다는 이재명···재판부, 대선 전 선고 강행할까 랭크뉴스 2025.05.06